-
5와 1/4을 가분수로 쓰시오
-
가분수는 순수한 분수로서 분자가 분모보다 큰 수입니다
-
여기 이 수는 순수한 분수가 아닙니다
자연수와 분수가 섞여있기 때문입니다
-
우리는 이걸 대분수라고 부릅니다.
-
이제 5와 1/4이 무었을 나타내는지 생각해 봅시다
-
다시 써볼게요
-
5와 1/4
-
우리는 이 숫자를 말 그대로
5 '와' 1/4, 또는 5 더하기 1/4이라고 생각 할 수 있습니다.
-
이것이 5와 1/4이 나타내는 것이죠.
-
5에 대해서 생각해 봅시다
-
5는 완전한 5개입니다
-
이걸 파이로 생각해 본다면
5개의 파이를 그릴 수 있겠죠.
-
우리가 1/4을 가지고 일을 해야 하니까
파이를 4조각으로 잘라볼께요
-
바로 여기서 파이를 잘라보죠
-
여기 한개의 파이가 있구요,
-
이걸 복사하고 붙여넣어 볼께요
-
복사, 붙여넣기
-
2개의 파이가 있구요, 3개, 4개, 5개의 파이가 있습니다
-
여기 이것이 바로 5가 나타내는 것입니다.
-
5는 여기 이 동그라미 친 이 부분을 나타냅니다
-
5개의 온전한 파이요
-
'5개의 온전한 파이'
-
저는 이 파이들을 4부분으로 잘랏습니다
-
한 조각이 1/4을 나타내는 것이죠
-
이 5개의 파이에 제가 몇 조각을 가지고있죠?
-
한개의 파이당 4조각이 있으니까
-
여기다 써볼게요,
한개의 파이당 4조각 곱하기 5개의 파이는 20 조각이죠
-
다른 방법으로 생각을 해 보자면요,
한 조각이 1/4이니까
-
20 곱하기 1/4
-
또는 20/4요
-
5개의 파이는 20개의 1/4과 같습니다
-
또는 20/4로 쓸 수도 있죠
-
이게 5개의 파이가 나타내는 것입니다
-
20개의 1/4 또는 20/4
-
여기 있는 이 1/4은 파이의 1/4
또는 한개의 조각을 나타냅니다
-
또 다른 파이를 한개 더 그려볼게요
-
4조각으로 나눕니다
-
1/4은 이 조각중 하나만을 의미합니다,
4조각중 하나요
-
분모가 몇조각이 있는지 알려주고
-
분자는 그중에 몇조각인지를 알려주니까요
-
그래서 이 한조각이 되는것입니다
-
이게 바로1/4인거죠
-
방금 우리가 5가 20개의 1/4인걸 확인했죠?
그래서 5와 1/4을 다시 쓰려면
-
5와 1/4은 5 더하기 1/4로 다시 쓸 수 있고
-
이것은 우리가 방금 본거같이
5는 20/4와 같기때문에,
-
이걸 확인하려면 20을 4로 나눠보면 되죠
나머지 없이 5가 나오니까요
-
20/4와 5가 같으니까
20/4 더하기 1/4을 계산하면
-
20/4에 또하나의 1/4를 더하는 것이기 때문에
몇개의 1/4이 있나 계산 할 수 있겠죠?
-
21개의 1/4이 있네요
-
21/4요
-
또 다른 방법으로 생각해 보면
여기에 이 5가 20개의 조각이고
-
이건 심지어 하나라나 세어서 확인 할수도 있네요,
1, 2, 3, ... 20개요
-
그러나 더 빠른 방법은 1개의 파이가 4조각 이니까
5개의 파이면 5 곱하기 4 해서 20 이요
-
여기 1/4은 한조각을 나타내니까
더하기 한조각이네요
-
그래서 결국 우리는 21조각을 가지게 됩니다
-
한조각이 1/4인 조각 21개니까
-
21 곱하기 1/4,
21/4개의 파이조각이네요
-
어떻게 생각하던 결국 문제는 풀었네요
-
가분수를 썻으니까요,
5와 1/4를 가분수로 썻으니까요
-
저는 매우 힘들게 5와 1/4이 무었을 의미하는지
알아봤지만
-
바로 가분수로 가는 더 쉬운 방법이 있습니다
-
만약
-
색을 좀 넣어볼께요,
-
만약 5와 4 분의 1를 가분수로 바꾼다면
-
분모는 그대로 유지하고
-
여기 답에 분모 4를 써볼께요
-
분자는 1/4의 분자인 1 더하기
자연수 곱하기 분모인 20 이 됩니다
-
1 더하기,
제가 생각하는 방식대로 해 볼께요
-
일단 분모 4 곱하기 자연수 5를 쓰고요,
마지막에 분자였던 1을 더하죠
-
4 곱하기 5는 20
20 더하기 1은 21이요
-
그래서 결국 4분의 21이 되는거죠
빨리 하긴 했지만 전에 한 과정이랑 같습니다
-
자연수 5는 1/4이 20개 있는것과 같구요,
-
여기는 4 곱하기 5로 해결했죠
-
그리고 여기 1이 있으니까
4 곱하기 5 더하기 1은 21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