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비디오에서는
-
대수학의 기원에 대하여 생각해보겠습니다.
-
대수학의 기원에 대하여 생각해보겠습니다.
-
우리 주제는 대수학의 기원, 그리고 대수학이라는 용어가
-
특별히 오늘날 대수학을 의미하는 관념들의 집합이 이 책에서 나옵니다.
-
관념들의 집합이 이 책에서 나옵니다.
-
관념들의 집합이 이 책에서 나옵니다.
-
아니면 실제로 저쪽에 있는 책 한 페이지에 있습니다.
-
이 책의 제목은 '완성과 균형을 활용한 계산 개론'입니다
-
영문명은 The Compendious book on Calculation
by Completion and Balancing입니다.
-
이 책은 기원후 8, 9세기에
-
바그다드에 살았던 알 콰리즈미라는
-
한 페르시아 수학자가 쓴 책입니다
-
그 사람이 이 책을 썼을 때가
-
기원후 820년이었을 거에요
-
기원후 820년
-
대수학이라는 단어는 아랍어인데,
-
알 콰리즈미가 지은
-
이 책의 제목을 해석하면
-
'대수학은 복원 혹은 완성을 의미한다.'
-
복원...복원 혹은 완성...완성
-
그는 방정식에서
한쪽 변에 있는 항을
-
반대편 쪽 변으로 옮기는
한 구체적인 연산방법을 통해
-
대수학의 의미를
설명하고자 했습니다
-
여기서 그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저는 아랍어를 잘 모르지만
-
아랍어에서 유래한 말이나
-
아랍어의 어원이 된 단어 정도는
알고 있습니다
-
여기에 '알 키탑'이라고 써 있습니다
-
저는 인도 영화를 알아들을 정도의 우르두어와
힌디어를 아는데
-
'알 키탑'에서 '키탑'은 책을 의미합니다
-
그래서 이 부분은 책이라는 뜻이지요
-
'알 무크타잘'은 아마 '필요한 내용을 모두 담은'이라는
뜻일거에요
-
정확히 아랍어로 알지 못하지만
문맥상 맞는 것 같습니다
-
'피 히삽'에서 '히삽'은 힌디어나 우르두어로
계산이라는 뜻입니다
-
'알 자바르'가 바로 유명한 '대수학'의 어원입니다
-
바로 여기에 나오네요
-
이 말은 '완성'을 뜻합니다
-
그래서 이 말을 완성이라고 봅시다
-
그리고 '알 무카발라'는
-
기본적으로 '균형'이라는 뜻입니다
-
그럼 완성과 균형이라는 뜻이겠네요
-
아랍어 번역에 대한 비디오는 아니지만
-
이 문장을 번역한다면
-
-
'완성과 균형을 통한 계산에 대한 모든 내용을 담았다'
-
라고 대강 해석할 수 있겠군요
-
이 책은 '대수학'이라는 단어가 유래한
-
매우 중요한 책입니다
-
이 책이 단순히 대수학이라는 용어를 처음으로 사용해서가 아니라
-
많은 사람들이 이 책에서 처음으로
-
단순한 한쪽 방향 계산이 아닌
-
방정식에서 양쪽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
이항하는 것과 같은 현대적인 수학 개념을
-
살펴 볼 수 있었기 때문입니다
-
하지만 알 콰리즈미가 이런 생각을 해낸
-
첫 번째 사람은 아니었습니다
-
그는 바그다드에 살고 있었지요
-
이 지역은 대수학의 역사에
-
자주 등장합니다
-
그는 8~ 9세기에 걸쳐 그 곳에서 살고 있었습니다
-
자, 일련의 사건을 설명하는
-
작은 연표를 그려 볼까요?
-
자, 이것이 연표입니다
-
그리고 당신이 종교가 있던, 없던
-
우리가 쓰는 대부분의 날짜는 예수의 탄생을
기준으로 하지요
-
자, 그래서 여기에 예수의 탄생을
-
십자가로 표현하겠습니다
-
종교적인 의미를 담고 싶지 않다면
-
'서기'라고 합시다
-
종교적인 의미를 담고 싶으면
-
'기원후'라고 하면 되겠습니다
-
'기원'이라는 말은 그리스도력을 의미합니다
-
라틴어로 'Anno Domini'라고 하는데
-
'예수 그리스도의 해'라는 뜻입니다
-
그리고 우리는 그걸 사용할 때,
종교적인 문맥에서는
-
'서력 기원 이전'이라고 하기보다는
-
우린 '그리스도 이전'을 B.C.라고 합니다.
-
하지만 어느 쪽이든, 어느 쪽이든, 1000년입니다.
-
서력 기원입니다.
-
서력기원 2000년입니다.
-
그리고 분명히 우리는 드디어
이 시대에 앉아 있지요.
-
제가 이 비디오를 만들 때,
난 저 시점에 앉아 있었어요.
-
그리고 여긴 서력 기원 이전
1000년입니다.
-
그리고 여기는 서력 기원 2000년 전입니다
-
그래서 처음에 나온 아이디어들은
-
일단 건너 뛸 거에요
-
더 알아보면 더 많은
-
서로 다른 문화와 다른 사람들이
-
대수학에 대해 알게 되었다는
-
증거가 더 있겠지만요
-
하지만 첫번째로 기록되어져 있는
-
대수학을 탐구한 사람들은
-
바빌론 사람들입니다
-
그들은 서기 2000년 전에 살았지요
-
그래서 저 주변에는 사람들이
-
기초적인 대수학을
-
탐구했던 것처럼 보이는
-
진흙판들이 있습니다
-
그들은 같은 기호를 사용하고 있지 않습니다
-
그들은 숫자를 표기하는 방법도 서로 다르게 썼지요
-
하지만 그들이 연구했던 것은 대수학이었습니다
-
그리고 그것은 다시 한 번 역사에 등장합니다
-
바빌론은 이 쪽에 위치해 있었고
-
그리고 바빌론은 수메르의 전통을 어느정도
지키고 있었습니다
-
저 지역 전체는 메소포타미아라고 불립니다
-
그 말은 두 강 사이의 땅이라는 뜻이지요
-
그것은 진짜 대수학이라고 불릴 만한
-
학문을 하던 사람들의
-
첫 번째 흔적입니다
-
그리고 좀더 빠르게 앞 년도로 가면
-
역사학자들은 대수학을 사용한 사람들의
-
모든 기록을 알지는 못하겠지만
-
이 곳 바빌론 사람들이 2000년 전에
-
대수학에 지대한 공헌을 했습니다
-
그래서 우리가 조금 더 앞 년도로 가서
-
기원후 200~300년 정도로 간다면
-
우리는 알렉산드리아에 사는 그리스인 신사를
볼 수 있을 겁니다
-
그리스는 여기 있지만, 그는 알렉산드리아에
살았습니다
-
그 때는 로마 제국의 일부였지요
-
알렉산드리아는 여기 있고요
-
그 그리스 신사의 이름은
-
디오판토스였습니다
-
-
-
그는 대수학의 아버지라고 불리기도 합니다
-
디오판토스와 알콰리즈미 중 누가 대수학의 아버지라고
불려야 하는지 논란이 있지요
-
알콰리즈미는 양변의 수의 크기를 맞추는 것을 시작했고
-
순수한 수학을 연구했다면
-
디오판토스는 특정한 문제 풀이에 집중했지요
-
그리고 두 사람 모두 자신만의 방법으로 수학에
기여했지만
-
바빌론 사람들에게서 영향을 받았지요
-
하지만 그들은 그냥 바빌론 사람들을 베낀 것은
아니었습니다
-
그들은 우리가 오늘날 대수학이라고 불리는 학문에
-
그들만의 특별한 기여를 했습니다
-
하지만 많은 역사학자들, 특히 서구 역사학자들은
-
디오판토스를 대수학의 아버지라고 합니다
-
그리고 알콰리즈미는 현재
-
다른 사람들이 진짜 대수학의 아버지라고
주장하는 사람입니다
-
그는 눈에 띄는 기여를 해냈습니다
-
그래서 이제 기원후 600년쯤에 가면
-
기원후 600년으로 이동합시다
-
그 곳에서 우리는 대수학 역사에서 또 다른 유명한
-
수학자인 인도인 브라마 굽타를 만날 수 있습니다
-
인도에 살았던 브라마 굽타입니다
-
아쉽게도 저는 브라만 굽타가
-
인도의 어떤 곳에 살았는지는 잘 모르는데요
알아봐야겠어요
-
그 곳은 대략 이 쪽에 있겠지요
-
그리고 그는 또한 큰 업적을 남겼습니다
-
그리고 우리는 당연히 알콰리즈미도 기억해야죠
-
저 지역에 살았던 사람인 알콰리즈미 말입니다
-
그리고 그는 당연히도
-
대수학이라는 말을 처음 만든 사람입니다
-
그 말은 아랍어로 '복원'이라는 뜻이었습니다
-
그리고 어떤 사람들은 그가 대수학의 아버지라고
생각하고
-
그가 대수학의 아버지가 아니더라도
-
그는 대수학의 아버지 중 하나라고 볼 수 있습니다
-
그는 이론적으로 대수학을 정립하기 시작한 첫 사람이고
-
-
Not Sync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