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eturn to Video

Scale of Solar System

  • 0:00 - 0:01
    번역 및 최종수정인 : YoonSik Eom
  • 0:01 - 0:02
    우리가 저번 비디오에서 태양이 지구와 비교했을 때
  • 0:02 - 0:10
    얼마나 큰지, 그리고 지구가 태양으로부터 얼마나 먼지에 대하여 알아보았을 때
  • 0:10 - 0:13
    깊은 인상을 받았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 0:13 - 0:16
    과학 교과서에 있는 대부분의 그림들은
  • 0:16 - 0:19
    실제 태양계의 비율이 잘 나타나있지 않습니다.
  • 0:19 - 0:23
    만약에 제가 지름이 5에서 6인치 정도인 이 태양의 그림을 보여줬다면
  • 0:23 - 0:31
    지구는 좌측이나 우측으로 40피트 떨어진 여기 이 작은 점일 것이며,
  • 0:31 - 0:34
    공전궤도의 반지름은 약 40피트 정도 될 것입니다.
  • 0:34 - 0:38
    그렇다면 지구는 잘 보이지 않을 것입니다.
  • 0:38 - 0:42
    태양이 이 크기라면 지구는 엄청나게 멀고 먼 거리에서 공전하고있는 이 작은 점일테니까요.
  • 0:42 - 0:46
    만약에 제가 이 그림에 나타나있는 태양의 나머지를 그린다면
  • 0:46 - 0:50
    이 태양의 지름은 20인치정도일 겁니다.
  • 0:50 - 0:55
    그런 상황에서 이 지구는 (최대한 비율에 맞춰서 그렸습니다.)
  • 0:55 - 0:57
    이렇게 태양에 가까울리가 없을 겁니다.
  • 0:57 - 1:06
    한 200피트 정도 저 멀리 떨어져있어야 하죠. 혹은 60에서 70미터정도 떨어져있어야 합니다.
  • 1:06 - 1:10
    만약에 이 태양이 미식축구 경기장 안에 있다면
  • 1:10 - 1:19
    이 작은 점인 지구는 60미터 정도 떨어진 다른 40야드 선에 가서 있을겁니다.
  • 1:19 - 1:22
    그 거리에서 이 작은 점을 볼 수 있을지는 모르겠지만
  • 1:22 - 1:25
    아마도 이 작은 점인 지구를 볼 수 없을겁니다.
  • 1:25 - 1:27
    그리고 다른 행성들은 더 멀리에 위치해있을 겁니다.
  • 1:27 - 1:28
    뭐 모든 행성들은 아니지만요.
  • 1:28 - 1:32
    여기에는 수성이 있습니다.
  • 1:32 - 1:34
    이 동영상을 보는 시청자의 대부분은 다 알고 있겠지만,
  • 1:34 - 1:36
    혹시 모르니까 행성들의 이름을 쭉 나열해드리겠습니다.
  • 1:36 - 1:38
    저 행성은 수성이고, 이 행성은 금성입니다.
  • 1:38 - 1:42
    수성은 행성인지 아닌지에 대한 논란이 없는 행성들중에서 가장 작은 행성입니다.
  • 1:42 - 1:45
    명왕성이 가장 작지만, 어떤 사람들은
  • 1:45 - 1:50
    명왕성이 진짜로 행성인지 혹은 왜소행성이나 다른 것들인지에 대하여 토론하고는 합니다.
  • 1:50 - 1:52
    그리고 그 다음에 금성이 위치하고 있습니다.
  • 1:52 - 1:57
    아마도 지구와 가장 비슷한 크기를 하고 있는 행성일겁니다.
  • 1:57 - 2:01
    그리고 그 뒤에는 목성이 있고 그 뒤에는 토성이 있습니다.
  • 2:01 - 2:04
    이 행성들이 얼마나 멀리 떨어져있는지 다시 한번 말해주자면,
  • 2:04 - 2:08
    이것을 태양에 크기에서 유추해보면
  • 2:08 - 2:11
    목성은 태양으로부터 지구보다 5배 더 멀리 떨어져있습니다.
  • 2:11 - 2:15
    이 비율로 태양에서 목성까지의 거리를 구해보면
  • 2:15 - 2:20
    약 300m정도 떨어져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 2:20 - 2:25
    만약에 태양이 메디신 볼(근력 운동용의 가죽을 씌운 큰 공. : 다음 어학사전)만한 크기라면,
  • 2:25 - 2:26
    혹은 태양이 농구공 만한 크기라면
  • 2:26 - 2:29
    -아마 농구공보다 조금 클 겁니다.
  • 2:29 - 2:33
    그 다음에 이 탁구공보다 작은 것을
  • 2:33 - 2:39
    미식 축구 경기장 3개 만큼의 거리에 놓을거에요. 목성은 그만큼 멀리 있습니다.
  • 2:39 - 2:41
    그리고 토성은 태양과 목성의 거리의 2배 만큼 떨어져 있습니다.
  • 2:41 - 2:43
    토성은 지구와 태양의 거리에 9배 정도 떨어져 있어요.
  • 2:43 - 2:45
    명확하게 하자면,
  • 2:45 - 2:49
    지구는 태양으로부터 한 1AU정도 떨어져있습니다. (AU:Astronomical Unit:태양과 지구의 평균 거리)
  • 2:49 - 2:53
    완전한 구형의 공전궤도에 있지 않기 때문에 거리가 매번 변합니다.
  • 2:53 - 2:58
    목성은 한 5AU 넘게 떨어져있습니다.
  • 2:58 - 3:07
    태양에서 지구까지의 거리의 5배보다 조금 더 길어요. 그리고 토성은 한 9AU 정도 떨어져 있죠.
  • 3:07 - 3:11
    또는 태양에서 지구로부터의 거리의 9배라고 말할수도 있습니다.
  • 3:11 - 3:14
    이 거리는 9개의 미식축구 경기장의 길이라고 말할 수도 있죠.
  • 3:14 - 3:17
    다른 방법으로 생각하자면 1킬로미터 떨어졌다고 하고,
  • 3:17 - 3:20
    만약 태양이 메디신 볼만하다면
  • 3:20 - 3:26
    이 작은 탁구공보다 조금 더 작은 토성은 1킬로미터 떨어진 곳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 3:26 - 3:29
    왜 이렇게 똑같은 예를 반복하느냐 하면
  • 3:29 - 3:30
    그렇게 하지 않으면 이미지화 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입니다.
  • 3:30 - 3:33
    이 페이지 안에 그려내기 위해서
  • 3:33 - 3:36
    이런 그림을 사용하고 있는데
  • 3:36 - 3:38
    이래서는 실제의 태양과 비교해서
  • 3:38 - 3:41
    각각의 행성이 얼마나 작은가나
  • 3:41 - 3:46
    어느 정도 떨어져 있는지는 이미지화 할 수 없을 거에요.
  • 3:46 - 3:58
    그리고 토성의 밖에는 천왕성과 해왕성이 있는데
  • 3:58 - 4:00
    이 들은 더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 4:00 - 4:02
    거리를 짐작하기 위해서
  • 4:02 - 4:08
    간단하게 은하와 우주에 대한 이야기를 해볼까 합니다.
  • 4:08 - 4:10
    하지만 지금까지도 충분히
  • 4:10 - 4:15
    터무니 없이 멀고 큰 스케일의 이야기를 해왔습니다.
  • 4:15 - 4:20
    지구로부터 태양까지는 제트기로 17년 걸린다는 이야기도 했으니까요.
  • 4:20 - 4:24
    목성부터 태양까지는 그것에 5배를 하고, 약 100년이 걸립니다.
  • 4:24 - 4:27
    게다가 토성으로부터 태양까지는 200년.
  • 4:27 - 4:31
    그러니까 링컨 대통령이 당시에 제트기에 타고 있었다고 해도
  • 4:31 - 4:34
    토성으로부터 출발했다면
  • 4:34 - 4:36
    아직까지도 태양에는 도착하지 못한 것입니다.
  • 4:36 - 4:38
    이런 엄청나고 엄청난 거리라는 소리이지요.
  • 4:38 - 4:40
    하지만 그런데도 아직 태양계에 대해 끝난 것이 아닙니다.
  • 4:40 - 4:46
    또 거리를 이미지화 하기 위해 이 그림을 살펴보겠습니다. 여기 있는 것이 바로 태양입니다.
  • 4:46 - 4:49
    그리고 태양계의 행성은 이 궤도보다 작습니다.
  • 4:49 - 4:50
    지금 행성의 궤도를 그린거지만
  • 4:50 - 4:54
    실제로 이 축척에서 행성들은 보이지 않을 정도로 작아져 버립니다.
  • 4:54 - 4:57
    아무튼 여기까지가 1 AU로
  • 4:57 - 4:59
    태양으로부터 지구까지의 거리이고
  • 4:59 - 5:03
    그리고 이것이 화성이고,
  • 5:03 - 5:07
    또 여기에 있는 것이 소행성 입니다.
  • 5:07 - 5:09
    이것들도 꽤나 큽니다.
  • 5:09 - 5:12
    소행성들은 행성이 될 수도 있었던 것들의 모임이라고 불려지고 있지요.
  • 5:12 - 5:14
    유명한 소행성 케레스는 이 근처에 있습니다
  • 5:14 - 5:17
    그리고 그 주위에 목성이 있어요.
  • 5:17 - 5:19
    그리고 다시 한번 말하지만 거기까지 가는데는 100년 정도가 걸립니다.
  • 5:19 - 5:23
    목성부터 태양까지는 제트기로 100년 정도 걸립니다.
  • 5:23 - 5:27
    이렇게 커다란 박스는
  • 5:27 - 5:31
    거의 5 AU 정도 됩니다.
  • 5:31 - 5:37
    태양으로부터 목성은 빛의 속도로 40분 정도 걸리므로
  • 5:37 - 5:42
    아주 길고 긴 거리입니다. 하지만 이런 긴 거리에도 불구하고
  • 5:42 - 5:47
    여기의 그림에서는 이렇게 작은 박스가 되어버리지요.
  • 5:47 - 5:55
    여기의 이 박스가, 저기에서는 이 박스에 맞아떨어집니다.
  • 5:55 - 5:59
    행성의 궤도를 올바르게 나타내려고 하면 이런 식이 되어버리는 것이죠.
  • 5:59 - 6:04
    이 축척에서는 지구와 금성, 수성이나 화성의 궤도가
  • 6:04 - 6:06
    태양과는 구별할 수 없을 정도가
  • 6:06 - 6:09
    되어 있을 정도로 가깝습니다.
  • 6:09 - 6:10
    이 축에서는 대부분 태양의 일부처럼 보입니다.
  • 6:10 - 6:13
    그리고 이 밖에
  • 6:13 - 6:16
    토성, 천왕성, 해왕성,
  • 6:16 - 6:18
    그리고 카이퍼 띠 (카이퍼 벨트)가 있습니다.
  • 6:18 - 6:22
    카이퍼 벨트에는 더 많은 소행성들이 있지만 훨씬 더 춥습니다.
  • 6:22 - 6:25
    얼음이라고 하면 대부분 물의 얼음을 떠올리는데
  • 6:25 - 6:27
    여기는 태양으로부터 꽤 멀리 떨어져 있어서 매우 춥고,
  • 6:27 - 6:30
    여기까지 멀어지게 되면 많이 어두워집니다.
  • 6:30 - 6:32
    그러니까 우리가 평상시 가스라고 생각하고 있는 것도
  • 6:32 - 6:34
    여기 오면 고체가 되어버리는 것이죠.
  • 6:34 - 6:36
    그러니까 여기는 암석 뿐만이 아니라
  • 6:36 - 6:41
    평상시에 우리가 가스라고 생각하고 있는 메탄도 얼어 버립니다.
  • 6:41 - 6:43
    하지만 여기까지 와도 아직 끝나지 않았습니다.
  • 6:43 - 6:47
    아직 태양계로부터도 나오질 못했어요.
  • 6:47 - 6:51
    그 크기와 우리가 지금 어디까지 와 있는가를 알려주기 위해서
  • 6:51 - 6:54
    보이저 미션의 차트를 가져왔습니다.
  • 6:54 - 6:56
    보이저에는 보이저 1호와 2호가 있는데
  • 6:56 - 6:59
    2호는 1호보다 1개월 전에 출발했습니다.
  • 6:59 - 7:01
    보이저 1호는 좀 더 빨리 운행 될 수 있으니까요.
  • 7:01 - 7:05
    정확히 제가 태어난 1년 후에 보이저가 출발했지만
  • 7:05 - 7:11
    보이저의 현재 시속은 얼마나 빠른지 모르실 겁니다. 그래서 보이저의 운행 속도를 알려드리겠습니다.
  • 7:11 - 7:19
    보이저 1호는 현재 여기를 61,000 km 로 운행하고 있습니다.
  • 7:19 - 7:25
    초속으로 치면, 무려 초속 17 km 입니다. 매 초마다 하나의 도시를 지나간다는 것이죠.
  • 7:25 - 7:31
    정말 빠릅니다. 제 머리로는 따라잡을 수 없을 만큼의 속도에요.
  • 7:31 - 7:33
    그 정도로 빠른 속도로 운행되고 있는 것입니다.
  • 7:33 - 7:36
    아무튼 행성 근처를 운행하고 있기 때문에
  • 7:36 - 7:38
    궤도를 지날 때마다 가속해 나가고 있는 것이고
  • 7:38 - 7:40
    그 정도의 놀라운 속도로 운행되고 있습니다.
  • 7:40 - 7:44
    km 의 단위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들을 위해서 말씀 드리자면
  • 7:44 - 7:48
    그것은 시속 38,000 마일입니다.
  • 7:48 - 7:52
    이런 헤아릴 수 없는 속도로
  • 7:52 - 7:55
    1977년 부터 쭉 운행되고 있는 것이지요.
  • 7:55 - 7:59
    제가 걷기 시작했을 때부터
  • 7:59 - 8:01
    그런 속도로 운행되고 있었습니다.
  • 8:01 - 8:06
    학교에 다니기 시작했을 때도 그랬죠. 제가 무엇을 말하고 싶은 거냐면
  • 8:06 - 8:07
    쭉 저희들이 자고 있을 때도, 밥을 먹을 때도, 학교에 있는 동안에도
  • 8:07 - 8:14
    아주 빠른 속도로 태양계로부터 빠져 나가려 하고 있는 것이지요. 속도가 변하기는 하지만
  • 8:14 - 8:16
    행성 궤도의 외측으로 나오면
  • 8:16 - 8:18
    대체로 계속 이 속도로 운행합니다.
  • 8:18 - 8:21
    그렇게 빠져 나가려 하고 있고
  • 8:21 - 8:28
    지금 이렇게, 여기까지 먼 곳으로 오게 된 것입니다.
  • 8:28 - 8:32
    대략 115, 116 AU 정도지요.
  • 8:32 - 8:35
    아무튼 이것에 대해 생각할 수 있는 방법이 두 가지가 있죠.
  • 8:35 - 8:37
    하나는, "와, 정말 굉장히 멀다!" 라는 생각이에요.
  • 8:37 - 8:39
    왜냐하면 이 축척이라면 지구의 궤도마저
  • 8:39 - 8:41
    보이지 않는 것이기 때문에
  • 8:41 - 8:43
    정말 대단한 거리입니다.
  • 8:43 - 8:48
    이 116 AU 라는 거리가 얼마나 먼가를 좀 더 알기 쉽게 설명하자면...
  • 8:48 - 8:52
    만약 2000년 전에 예수가 비행기를 탔다고 합시다.
  • 8:52 - 8:56
    알기 쉽게 하기 위해서 예수의 사진도 가져왔습니다.
  • 8:56 - 9:01
    그 때에, 시속 1000 km의 제트기를 타고
  • 9:01 - 9:03
    보이저와 같은 방향으로 갔다고 해도
  • 9:03 - 9:07
    보이저는 예수를 따라잡을 수가 있습니다.
  • 9:07 - 9:10
    역시, 정말 아주 아주 아주 아주 엄청난 거리입니다.
  • 9:10 - 9:13
    지금까지 이야기해 온 행성들과 비교해도
  • 9:13 - 9:16
    정말 엄청난 거리입니다.
  • 9:16 - 9:19
    그런데도 태양계 밖의 세계와 비교하면
  • 9:19 - 9:22
    실은 아직도 작은 세계의 이야기 입니다.
  • 9:22 - 9:26
    여기까지는 보이저의 이야기였지만,
  • 9:26 - 9:33
    이것이 정말 어느 정도의 스케일이냐 하면
  • 9:33 - 9:39
    이 쪽을 보면 이만큼 까지 밖에 못 간 겁니다. 이렇게 보니까 보이저도 그다지 멀리 간 것 같지는 않아 보이는군요.
  • 9:39 - 9:46
    믿을 수 없을 정도의 속도로 30년 이상, 그러니까 약 33년간 운행되어 왔는데,
  • 9:46 - 9:48
    음 제가 다른 견해를 또 알려 드릴게요.
  • 9:48 - 9:54
    여기에 있는 세드나는, 태양계의 겉을 돌고 있는 꽤 큰 소행성입니다.
  • 9:54 - 9:58
    알려져 있기로는 태양계 안에서 가장 멀리 있는 것 중 하나이지요.
  • 9:58 - 10:01
    그리고 이것은 괴상한 궤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 10:01 - 10:05
    가깝다고는 말 할 수 없지만 그렇다고 너무 먼 것도 아니에요,
  • 10:05 - 10:09
    하지만 태양에서는 정말 멀리 있죠.
  • 10:09 - 10:14
    그렇지만 그런 세드나의 궤도도 여기 이 박스 안에서는
  • 10:14 - 10:17
    여기 쯤밖에 오지 못합니다.
  • 10:17 - 10:19
    그러니까 여기 있는 이 그림에서는
  • 10:19 - 10:21
    아주 작아서 잘 보이지도 않습니다.
  • 10:21 - 10:22
    아주 작은 점처럼 보이죠.
  • 10:22 - 10:28
    보이저가 시속 38,000 마일로 33년간 운행을 했는데도
  • 10:28 - 10:33
    그 거리를 알 수가 없습니다.
  • 10:33 - 10:36
    비록 그 거리를 알 수 있다고 하더라도
  • 10:36 - 10:38
    아직 태양권 안에 있을 겁니다.
  • 10:38 - 10:43
    중력은 여전히 영향을 미치고 있고,
  • 10:43 - 10:47
    그리고 여기, 여기에 있는 건 오르트 구름,
  • 10:47 - 10:49
    그러니까 혜성이 생겨나는 장소라고 추측하고 있습니다.
  • 10:49 - 10:51
    여기는 대부분이 언 가스나
  • 10:51 - 10:55
    얼음의 덩어리 같은 것으로 되어 있습니다.
  • 10:55 - 10:59
    여기서 이제 겨우 우리는 태양계 밖으로 나오게 되었습니다.
  • 10:59 - 11:08
    여기까지의 거리가 대략 50,000 AU 네요.
  • 11:08 - 11:09
    어느 정도의 거리인지 말씀 드리자면,
  • 11:09 - 11:12
    광년에 대해서는 들어 보셨을 거에요.
  • 11:12 - 11:15
    광년이 대체로 63,000 AU입니다.
  • 11:15 - 11:19
    그러니까 빛의 속도로 태양으로부터 출발하면
  • 11:19 - 11:25
    1년 중에는 오르트 구름에 도착할 수 있을 겁니다,
    가설 상의 오르트 구름이죠.
  • 11:25 - 11:27
    또 그 스케일에 대한 이야기를 하자면,
  • 11:27 - 11:32
    대부분 행성의 궤도는 대체로 같은 평면상에 있는데,
  • 11:32 - 11:35
    이것이 행성의 궤도를 나타낸 것입니다.
  • 11:35 - 11:37
    다시 말하지만 이 선들은 너무 굵게 그려졌네요.
  • 11:37 - 11:39
    이걸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가능한 한 굵게 그려 놓은 것 같은데요.
  • 11:39 - 11:40
    하지만 이건 너무 굵게 그려 놓았네요.
  • 11:40 - 11:43
    그리고 이 주변에 퍼져있는 것이 카이퍼 벨트이고,
  • 11:43 - 11:47
    이것은 곳곳에 퍼져 있습니다.
  • 11:47 - 11:48
    모든 행성들의 바깥쪽으로 퍼져있는 것이죠.
  • 11:48 - 11:53
    그리고 여기 있는 것이 명왕성의 궤도 입니다.
  • 11:53 - 11:59
    이 모든 그림은 여기에 있습니다. 거의 보이지 않을 거에요.
  • 11:59 - 12:01
    전체 중에서는 이 작은 점 밖에 되지 않습니다.
  • 12:01 - 12:04
    그리고 그 주위를 둘러싸고 있는 것이 오르트 구름이고요.
  • 12:04 - 12:06
    이건 둥근 형태의 구름이고, 거의 존재한다고 보고 있습니다.
  • 12:06 - 12:09
    그 거리는 확실하게 관찰하기가 어려우니까요.
  • 12:09 - 12:13
    자 그럼 이것으로 태양계의 크기에 대해 알게 되셨길 바랍니다.
  • 12:13 - 12:15
    그렇지만 정말 충격적인 것은,
  • 12:15 - 12:16
    뭐 이미 충격을 받았을 수도 있겠지만요.
  • 12:16 - 12:20
    우리가 본 이 모든 것들은 실은 아직도 작은 부분입니다.
  • 12:20 - 12:24
    우리 은하의 부분을 보기 시작 한다면,
  • 12:24 - 12:26
    전체 우주에서 봤을 때는 훨씬 작습니다.
  • 12:26 - 12:30
    어쨌든, 별로 보고 싶진 않네요
    정말로... 미쳐버릴 것 같거든요.
Title:
Scale of Solar System
Description:

more » « less
Video Language:
English
Team:
Khan Academy
Duration:
12:31

Korean subtitles

Revis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