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임스 터렐: '두번째 만남'] 우리는 보통 빛을 보지 않습니다 대체로 빛이 드러내는 것을 보지요 제게는, 사람들이 빛의 가치를 알아차리는 것이 중요합니다 우리가 금, 은, 그림, 미술품을 가치있게 여기는 것처럼요 빛은 왁스나 점토처럼 손으로형태를 만드는 것이 아닙니다 왁스나 점토 나무나 돌처럼 조각하지 않지요 용접해 조립할 수도 없습니다. 그건 기술을 익히는 것과 비슷합니다-- 빛으로 작업하는 법을 익히는데 꽤 시간이 걸렸습니다 빛의 물리적 존재를 느끼고 가치있게 여기게 하기까지요 처음에는 이런 공간을 제 작업실에 만들기 시작했죠 하지만 이런 공간을 야외에 만들도록 아이디어가 진화하기 시작했습니다-- 실제로 들어가서 내다볼 수 있지요. 우리가 어떻게 하늘을 인지하는지에 대한 관점, 심지어는 통찰력을 얻기 위한 것이 아니라요. 이 공간에서 저는 하늘이라는 공간을 당신이 있는 공간으로 가져오고자 합니다. 그래서 당신이 대기의 심해에 있는 것처럼 느낄수 있도록 말이죠. 그제야 낮이 밤으로 그리고 밤이 낮으로 바뀔때 일어나는 이 본질을 비로소 경험합니다. 변화의 끝에서 이것을 제대로 하는것이 매우 중요했습니다. [여자] 제 말은, 여기선 꽤 어두워 보여요... [터렐] 밖엔 빛이 있죠... [여자] 밖에 나가서 한 30초 정도 하늘을 보고 다시 들어오면, 나갔을때 보다 더 파랗게 보여요. [터렐] 그래요. [여자] 눈이 다시 적응된 거죠. 놀라워요... [남자] 이렇게하면 다시 파란색이 되요. 봐요. [여자] 마술같네요... [웃음] [터렐] 색은 어떻습니까? 어떻게 만들어지나요? 기본적으로, 우리는 하늘을 보며 이 파란색, 이 색을 받아들입니다. 밖에 있는 하늘에 비해 공간을 밝히는 이 빛은 푸른색을 확연히 강하게 합니다. 많은 화가들이 주변이나 형태 또는 구역의 맥락을 통해 색을 심화시켰습니다. 당신은 단순히 작품이나 그림을 보는 것이 아니라 인식하는 스스로를 보는 것입니다. 우리 주위를 둘러싼 이 세계는 우리가 인지하는 세계가 아닙니다. 우리가 창조하고 만드는 세계에 가깝지요. 좀 놀랍게 들릴수도 있습니다. 우리가 정말로 그렇게 느끼기 때문이죠. 그리고 우리는 그 사실을 아주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우리는 세계를 만들어내는게 아니라 우리가 이런 지각을 받아들인다고 느낍니다. 하지만 우리는 우리가 살고있는 현실을 창조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