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BVTT 00:00:06.634 --> 00:00:10.947 1977년 물리학자 에드워드 퍼셀은 00:00:10.947 --> 00:00:12.900 만약 박테리아를 밀다가 00:00:12.900 --> 00:00:14.198 놓아버리면 00:00:14.198 --> 00:00:16.947 백만분의 1초 안에 멈출거라고 계산했습니다. 00:00:16.947 --> 00:00:18.992 그 시간 동안 박테리아는 00:00:18.992 --> 00:00:21.173 원자 1개의 너비보다 적게 이동했을 겁니다. 00:00:21.173 --> 00:00:23.203 정자나 00:00:23.203 --> 00:00:24.664 다른 미생물도 마찬가지입니다. 00:00:24.664 --> 00:00:27.615 그것들은 아주 미세하다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00:00:27.615 --> 00:00:31.340 미생물은 우리가 보기에 아주 생소한 세상에서 00:00:31.340 --> 00:00:32.704 2.5 cm 의 물속을 지나가기에도 00:00:32.704 --> 00:00:34.723 엄청난 노력을 기울이며 살아갑니다. 00:00:34.723 --> 00:00:37.741 수영하는 물체의 크기가 왜 그렇게 중요할까요? 00:00:37.741 --> 00:00:39.365 정자가 사는 세상이 00:00:39.365 --> 00:00:40.765 향유고래가 사는 세상과 00:00:40.765 --> 00:00:42.621 근본적으로 다른 까닭이 뭘까요? 00:00:42.621 --> 00:00:44.056 그걸 알아내려면 00:00:44.056 --> 00:00:46.197 유체역학 속으로 빠져들어야 합니다. 00:00:46.197 --> 00:00:47.955 이렇게 생각할 수 있습니다. 00:00:47.955 --> 00:00:49.855 여러분이 수영장에서 헤엄친다고 상상해보세요. 00:00:49.855 --> 00:00:52.618 여러분과 또 엄청난 숫자의 물 분자가 있습니다. 00:00:52.618 --> 00:00:54.356 물 분자의 숫자가 훨씬 많습니다. 00:00:54.356 --> 00:00:57.152 셀 수 없는 숫자 대 1이죠. 00:00:57.152 --> 00:00:58.439 그래서 물 분자를 00:00:58.439 --> 00:01:00.526 여러분의 큰 몸으로 밀고 지나가기는 쉽습니다. 00:01:00.526 --> 00:01:02.910 하지만 여러분이 아주 작다면, 00:01:02.910 --> 00:01:04.626 물 분자만큼이나 작다면 어떨까요. 00:01:04.626 --> 00:01:06.380 갑자기, 여러분은 마치 00:01:06.380 --> 00:01:07.965 사람들이 가득한 수영장에서 헤엄치는 것처럼 느낄 겁니다. 00:01:07.965 --> 00:01:09.792 그냥 손쉽게 쉬익 하면서 00:01:09.792 --> 00:01:11.599 아주 작은 분자를 밀치고 나가는 대신 00:01:11.599 --> 00:01:13.557 어떤 곳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00:01:13.557 --> 00:01:16.069 이제는 분자 하나하나가 00:01:16.069 --> 00:01:17.736 헤치고 나가야 할 사람처럼 느껴집니다. 00:01:17.736 --> 00:01:20.979 1883년 물리학자 오스본 레이놀즈는 00:01:20.979 --> 00:01:23.102 유체가 어떻게 거동하는지 예측할 수 있는 00:01:23.102 --> 00:01:26.016 하나의 숫자를 알아냈습니다. 00:01:26.016 --> 00:01:27.483 그것을 "레이놀즈 수" 라고 합니다. 00:01:27.483 --> 00:01:29.505 레이놀즈 수는 간단한 속성과 관련되는데, 00:01:29.505 --> 00:01:31.238 헤엄치는 물체의 크기, 00:01:31.238 --> 00:01:32.529 속도, 00:01:32.529 --> 00:01:33.598 유체의 밀도, 00:01:33.598 --> 00:01:35.649 유체의 끈적임, 00:01:35.649 --> 00:01:36.905 즉 점성 등입니다. 00:01:36.905 --> 00:01:38.744 이것은 00:01:38.744 --> 00:01:40.742 크기가 다른 생물은 서로서로 00:01:40.742 --> 00:01:42.739 아주 다른 세계에 살고 있다는 뜻입니다. 00:01:42.739 --> 00:01:44.708 예를 들면 커다란 몸집 때문에 00:01:44.708 --> 00:01:46.114 향유 고래는 00:01:46.114 --> 00:01:48.385 레이놀즈 수가 큰 세계에 삽니다. 00:01:48.385 --> 00:01:50.129 향유 고래가 꼬리를 한 번 내려치면 00:01:50.129 --> 00:01:52.510 아주 멀리 나아갈 수 있습니다. 00:01:52.510 --> 00:01:54.251 반면에 정자는 00:01:54.251 --> 00:01:56.208 레이놀즈 수가 작은 세계에 살고 있습니다. 00:01:56.208 --> 00:01:58.381 정자가 꼬리를 흔들지 않으면 00:01:58.381 --> 00:02:00.936 원자 하나도 지나가지 못합니다. 00:02:00.936 --> 00:02:03.102 정자가 된 기분이 어떨지 상상하려면 00:02:03.102 --> 00:02:04.560 레이놀즈 수를 00:02:04.560 --> 00:02:06.010 낮게 만들어야 합니다. 00:02:06.010 --> 00:02:08.151 여러분이 당밀이 담긴 욕조 안에 있다고 가정해보죠. 00:02:08.151 --> 00:02:09.178 여러분의 팔이 00:02:09.178 --> 00:02:12.142 시계의 분침만큼 천천히 움직인다고 생각하면 00:02:12.142 --> 00:02:13.596 정자가 얼마나 험한 여정을 00:02:13.596 --> 00:02:15.614 하는지 상상이 될 겁니다. 00:02:15.614 --> 00:02:17.849 그렇다면 미생물은 어떻게 다른 곳으로 갈 수 있을까요? 00:02:17.849 --> 00:02:20.186 글쎄요. 많은 미생물은 아예 수영을 하지 않습니다. 00:02:20.186 --> 00:02:22.796 미생물은 먹이가 그들에게 다가오게 내버려둡니다. 00:02:22.796 --> 00:02:24.023 비유를 들자면 게으른 소가 00:02:24.023 --> 00:02:27.073 주둥이 아래에 있는 풀이 다시 자라나길 기다리는 것과 같습니다. 00:02:27.073 --> 00:02:29.041 하지만 많은 미생물이 헤엄치고 00:02:29.041 --> 00:02:32.009 거기서 놀라운 적응력을 보여줍니다. 00:02:32.009 --> 00:02:33.469 미생물이 쓰는 기법은 00:02:33.469 --> 00:02:35.827 섬모의 모양을 바꾸는 것입니다. 00:02:35.827 --> 00:02:37.550 섬모를 자유롭게 바꿈으로써 00:02:37.550 --> 00:02:39.992 앞으로 나갈 때 더 힘있게 00:02:39.992 --> 00:02:41.425 잡아당깁니다. 00:02:41.425 --> 00:02:44.940 짚신벌레와 같은 단세포 생물은 00:02:44.940 --> 00:02:45.522 물 분자가 가득한 곳을 00:02:45.522 --> 00:02:47.715 지나갈 수 있습니다. 00:02:47.715 --> 00:02:49.777 하지만 박테리아와 정자가 개발한 00:02:49.777 --> 00:02:52.496 더 놀라운 해결책이 있습니다. 00:02:52.496 --> 00:02:54.897 섬모를 앞뒤로 움직이는 대신 00:02:54.897 --> 00:02:57.359 코르크 나사처럼 돌립니다. 00:02:57.359 --> 00:02:59.206 포도주 병의 코르크 나사처럼 00:02:59.206 --> 00:03:01.992 돌리는 움직임이 앞으로 나가게 만들어서 00:03:01.992 --> 00:03:04.829 이들 작은 생물들은 나선형의 꼬리를 돌려서 00:03:04.829 --> 00:03:06.627 물이 마치 코르크처럼 두껍게 느껴지는 곳에서 00:03:06.627 --> 00:03:10.255 앞으로 나아갈 수 있습니다. 00:03:10.255 --> 00:03:12.509 다른 전략은 더 이상해보입니다. 00:03:12.509 --> 00:03:14.531 어떤 박테리아는 배트맨과 같은 방법을 씁니다. 00:03:14.531 --> 00:03:17.251 몸을 잡아당기기 위해 갈고리를 씁니다. 00:03:17.251 --> 00:03:18.808 갈고리를 00:03:18.808 --> 00:03:21.767 고무총처럼 쏴서 앞으로 나아갈 수 있습니다. 00:03:21.767 --> 00:03:24.219 다른 생물들은 화학 공학을 사용합니다. 00:03:24.219 --> 00:03:27.508 헬리코박터균은 위 안의 00:03:27.508 --> 00:03:29.990 끈적한 산성의 점막에서만 삽니다. 00:03:29.990 --> 00:03:30.399 점막을 얇게 펴는 00:03:30.399 --> 00:03:32.721 화학품을 분비해서 00:03:32.721 --> 00:03:34.674 점액 속을 미끌어져 나갑니다. 00:03:34.674 --> 00:03:35.678 이 녀석들이 00:03:35.678 --> 00:03:37.147 위궤양을 일으키는 게 00:03:37.147 --> 00:03:39.058 놀라운 일도 아닙니다. 00:03:39.058 --> 00:03:41.280 그래서 여러분이 우리 몸과 우리를 둘러싼 세상을 00:03:41.280 --> 00:03:42.984 정말, 정말 자세히 살펴보면 00:03:42.984 --> 00:03:45.112 여러 미생물들이 00:03:45.112 --> 00:03:47.121 질척질척한 세상을 잘 헤쳐나가는 00:03:47.121 --> 00:03:48.777 방법을 볼 수 있습니다. 00:03:48.777 --> 00:03:50.124 이렇게 적응하지 못하면 00:03:50.124 --> 00:03:52.626 박테리아는 결코 숙주를 찾을 수 없고 00:03:52.626 --> 00:03:55.383 정자는 결코 난자에 다다르지 못할 겁니다. 00:03:55.383 --> 00:03:57.546 그 말은 여러분이 위궤양을 앓지도 않을 뿐더러 00:03:57.546 --> 00:04:00.711 애초에 태어날 수도 없었다는 뜻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