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이지애나 채널) -조나단 사프란 포어- 소설, 시(詩)에서 배워야 흔히들 문학이 죽었다고들 하죠 이 얘기는 세상에 첫 문학 작품이 등장한 이후로 줄곧 있어왔죠 하지만 점점 더 자주 얘기되고 있어요 독자수가 줄어든 게 큰 영향을 끼쳤죠 문학에 대한 무관심과, 불안, 심지어 문학에 대한 불신이 불을 지폈죠 스크린에 대한 의존도와 스크린으로 이야기가 넘어간 상황에서 책은 피차 스크린과 잘 어울리지 않잖아요 스크린으로 책을 읽는데 무리는 없지만, 스크린으로 책을 읽는 동안 이메일, 캘린더, 문자가 화면에 뜨는 와중에 책은 그런 것들과 비길 수가 없죠 그러니 '앞으로 사람들이 책을 읽을까?' 궁금할 수 밖에요 그래도 전 여전히 앞으로도 문학만이 할 수 있는 일, 문학으로만 주고 받을 수 있는 것이 있다고 믿어요 딱히 문학이 다른 매체보다 뛰어나다고 생각진 않아요 영화, 무용, 음악 같은 다른 예술 말예요 실은 전 개인적으로 문학보다는 영화, 무용에 종종 더 끌리곤 해요 하지만 인생의 어떤 순간들에는 오로지 문학만이 필요한 순간이 있죠 예를 들면, 저의 가장 오랜 친구의 어머니가 일주일 전 쯤에 돌아가셨어요 뉴욕에서 워싱턴 DC로 친구를 보러 내려갔죠 어떤 말을 해야할지 꽤나 고심했어요 어쩔 줄 모르거나 고통스런 침묵의 순간이 있을테니까요 그래서 스무 개 정도의 시를 갖고 갔어요 친구에게 그 시들을 읽어주고 함께 대화했죠 물론 저보단 친구가 더 그랬겠지만, 우린 그 순간에 함께 직면한 거에요 죽음이란 인생의 가장 거대한 순간을요 시에 기대어서요 시나 소설은 제법 큰 도움이 돼요 우리가 표현할 말을 절실히 필요로 할 때요 절박하고 긴급한 실존의 순간 말이에요 소설은 몇 시간, 며칠에 걸쳐서 읽도록 되어있죠 단편 이야기도 적어도 한 시간 반은 걸려요 친구가 그런 시간을 할애할 여력이 있을까 싶었어요 그래서 짧은 읽을 거리가 필요했어요 이유가 그랬다 한들 사실 시 자체가 가장 응축된 형태의 문학이자, 어찌보면 가장 순수한 형태의 문학이죠 소설이 시보다 못하다고 생각진 않아요 하지만 소설이 시로부터 배울 점이 많아요 가능성이 열려있고 직접적이며, 농축된 언어를 보여주니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