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이지애나 채널)
-조나단 사프란 포어-
소설, 시(詩)에서 배워야
흔히들 문학이
죽었다고들 하죠
이 얘기는 세상에
첫 문학 작품이
등장한 이후로
줄곧 있어왔죠
하지만 점점 더
자주 얘기되고 있어요
독자수가 줄어든 게
큰 영향을 끼쳤죠
문학에 대한 무관심과,
불안, 심지어 문학에 대한
불신이 불을 지폈죠
스크린에 대한 의존도와
스크린으로 이야기가
넘어간 상황에서
책은 피차 스크린과
잘 어울리지 않잖아요
스크린으로 책을
읽는데 무리는 없지만,
스크린으로 책을 읽는 동안
이메일, 캘린더, 문자가
화면에 뜨는 와중에
책은 그런 것들과
비길 수가 없죠
그러니 '앞으로 사람들이
책을 읽을까?' 궁금할 수 밖에요
그래도 전 여전히 앞으로도
문학만이 할 수 있는 일,
문학으로만 주고 받을 수
있는 것이 있다고 믿어요
딱히 문학이 다른 매체보다
뛰어나다고 생각진 않아요
영화, 무용, 음악 같은
다른 예술 말예요
실은 전 개인적으로
문학보다는
영화, 무용에 종종
더 끌리곤 해요
하지만 인생의
어떤 순간들에는
오로지 문학만이
필요한 순간이 있죠
예를 들면, 저의 가장
오랜 친구의 어머니가
일주일 전 쯤에
돌아가셨어요
뉴욕에서 워싱턴 DC로
친구를 보러 내려갔죠
어떤 말을 해야할지
꽤나 고심했어요
어쩔 줄 모르거나 고통스런
침묵의 순간이 있을테니까요
그래서 스무 개 정도의
시를 갖고 갔어요
친구에게 그 시들을
읽어주고 함께 대화했죠
물론 저보단 친구가 더
그랬겠지만,
우린 그 순간에 함께
직면한 거에요
죽음이란 인생의 가장
거대한 순간을요
시에 기대어서요
시나 소설은 제법
큰 도움이 돼요
우리가 표현할 말을
절실히 필요로 할 때요
절박하고 긴급한
실존의 순간 말이에요
소설은 몇 시간, 며칠에
걸쳐서 읽도록 되어있죠
단편 이야기도 적어도
한 시간 반은 걸려요
친구가 그런 시간을 할애할
여력이 있을까 싶었어요
그래서 짧은 읽을 거리가
필요했어요
이유가 그랬다 한들
사실 시 자체가
가장 응축된 형태의
문학이자,
어찌보면 가장 순수한
형태의 문학이죠
소설이 시보다
못하다고 생각진 않아요
하지만 소설이 시로부터
배울 점이 많아요
가능성이 열려있고
직접적이며,
농축된 언어를
보여주니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