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00:00:00,929 --> 00:00:03,016 저는 전파(radio) 빙하학자입니다. 2 00:00:03,397 --> 00:00:07,269 즉 빙하와 얼음층을 레이더를 통해 연구하는 학자입니다. 3 00:00:07,705 --> 00:00:09,728 현재 다른 대부분의 빙하학자처럼 4 00:00:09,752 --> 00:00:11,820 저는 향후 얼음이 녹으면서 해수면을 5 00:00:11,844 --> 00:00:16,004 얼마나 상승시킬지 측정하는 문제에 매달리고 있습니다. 6 00:00:16,367 --> 00:00:18,142 오늘 저는 여러분에게 7 00:00:18,166 --> 00:00:21,903 어째서 해수면 상승 방지에 많은 연구비를 투자하기 어려운지 8 00:00:21,927 --> 00:00:25,967 또 왜 제가 레이더 기술과 지구과학 교육에 관한 우리의 생각을 바꿈으로써 9 00:00:25,991 --> 00:00:27,379 더 많은 것을 얻을 수 있다고 10 00:00:27,403 --> 00:00:29,157 믿는지 이야기하려고 합니다. 11 00:00:30,030 --> 00:00:32,332 대부분의 과학자들이 해수면 상승을 이야기할 떄 12 00:00:32,356 --> 00:00:33,737 그 내용은 이 그래프과 같습니다. 13 00:00:33,761 --> 00:00:36,547 대륙 빙하와 기후 모델을 이용해 만든 것인데요. 14 00:00:36,966 --> 00:00:39,307 그래프의 오른쪽에서 이 기후 모델을 적용했을 때 향후 100년 간 예상되는 15 00:00:39,331 --> 00:00:42,529 해수면의 변화 추이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16 00:00:42,553 --> 00:00:45,505 흰색 화살표가 가리키는 지점이 현재 해수면의 높이고요. 17 00:00:45,529 --> 00:00:46,927 해수면이 이만큼 상승하면 18 00:00:46,951 --> 00:00:50,505 4백만명의 사람들이 이주를 고려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합니다. 19 00:00:50,863 --> 00:00:52,633 가설에 대해 따져보자면 20 00:00:52,657 --> 00:00:55,839 이 가설에서 불확실성은 이미 너무 큽니다. 21 00:00:55,863 --> 00:01:00,537 하지만 무엇보다 이 가설은 다음과 같은 전제조건이 붙어있습니다. 22 00:01:00,561 --> 00:01:03,482 "서남극 빙하가 붕괴하지 않는다면" 23 00:01:03,506 --> 00:01:07,069 서남극 빙하가 붕괴할 경우 수치는 기하급수적으로 올라갑니다. 24 00:01:07,093 --> 00:01:09,061 이 그래프를 뚫고 올라가죠. 25 00:01:09,671 --> 00:01:12,736 서남극빙하 붕괴의 가능성을 진지하게 고민해야 하는 이유는 26 00:01:12,760 --> 00:01:15,340 지구의 지질학 역사를 통해 알 수 있듯이 27 00:01:15,364 --> 00:01:17,522 지구의 역사 중에는 28 00:01:17,546 --> 00:01:20,187 해수면이 지금보다 더 빠른 속도로 상승한 적이 있습니다. 29 00:01:20,211 --> 00:01:22,236 그리고 현재 우리는 이 같은 일이 앞으로 일어나지 않으리라 30 00:01:22,260 --> 00:01:24,712 배제할 수 없는 상황입니다. 31 00:01:25,625 --> 00:01:28,761 대륙 규모의 빙하의 상당부분이 32 00:01:28,785 --> 00:01:33,982 무너질지 그렇지 않을지 어째서 우리는 33 00:01:34,006 --> 00:01:36,107 확실하게 답을 내릴 수 없는 걸까요? 34 00:01:36,799 --> 00:01:38,784 그 답을 알기 위해서는 우리는 35 00:01:38,808 --> 00:01:42,389 앞서 설명한 붕괴가 일어날 때 수반되는 36 00:01:42,413 --> 00:01:44,811 모든 과정과 조건과 물리법칙을 포함한 37 00:01:45,206 --> 00:01:46,666 가상 모델이 필요합니다. 38 00:01:46,690 --> 00:01:49,424 왜냐하면 얼음의 수 킬로미터 밑에서 39 00:01:49,448 --> 00:01:51,287 일어나는 모든 변화와 상황 및 40 00:01:51,311 --> 00:01:53,861 이 사진을 만들어낸 위성들은 41 00:01:53,885 --> 00:01:55,310 우리 시야에서 가려져 있기 때문입니다. 42 00:01:55,713 --> 00:01:59,997 사실을 이야기하면, 우리는 화성의 표면을 남극의 빙하 속보다 43 00:02:00,021 --> 00:02:02,683 더 포괄적으로 관찰, 이해하고 있습니다. 44 00:02:03,829 --> 00:02:07,036 또 남극 빙하의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서는 막대한 규모의 장소 45 00:02:07,060 --> 00:02:10,256 시간이 필요하다는 점은 더 큰 장애물이 되고 있습니다. 46 00:02:10,687 --> 00:02:12,935 공간에 대해 이야기하자면, 여기에 대륙이 있습니다. 47 00:02:13,322 --> 00:02:15,442 그리고 북미 대륙처럼 48 00:02:15,466 --> 00:02:19,506 록키 산맥, 에버글레이드 습지, 오대호를 확인할 수 있죠 49 00:02:19,530 --> 00:02:22,521 남극의 표면 밑도 마찬가지입니다. 50 00:02:22,545 --> 00:02:24,188 시간이라는 측면에서 우리는 51 00:02:24,212 --> 00:02:28,553 대륙빙하가 수백 수천 년의 시간을 갖고 변화한다는 점뿐만 아니라 52 00:02:28,577 --> 00:02:32,363 년(year)과 일(day)의 단위로도 변화를 겪는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53 00:02:32,387 --> 00:02:36,696 과학자들에게 필요한 것은 대륙 규모의 빙하 54 00:02:36,720 --> 00:02:38,649 그 빙하의 수 킬로미터 아래를 55 00:02:38,673 --> 00:02:40,318 꾸준히 관찰할 수 있는 환경입니다. 56 00:02:41,014 --> 00:02:42,414 자 그럼 어떻게 이 환경을 조성할 수 있을까요? 57 00:02:42,814 --> 00:02:46,870 표면 밑을 전혀 확인할 수 없는 것은 아닙니다. 58 00:02:46,894 --> 00:02:49,564 맨 처음 제가 전파 빙하학자라고 말씀드렸는데요. 59 00:02:49,588 --> 00:02:51,466 그 이유는 공중에서 얼음을 60 00:02:51,490 --> 00:02:55,260 뚫고 관찰할 수 있는 레이더 를 이용해서 얼음 속을 61 00:02:55,284 --> 00:02:56,880 관찰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62 00:02:57,212 --> 00:03:01,058 그래서 우리 연구진이 사용하는 데이터의 대부분은 63 00:03:01,082 --> 00:03:03,307 벌지 대전투에서 실제로 활약했던 64 00:03:03,331 --> 00:03:05,783 2차대전 시기의 DC-3등을 통해 수집한 것입니다. 65 00:03:05,807 --> 00:03:08,387 날개 밑을 보시면 안테나가 있습니다. 66 00:03:08,411 --> 00:03:12,141 이 안테나를 이용해 전파 신호를 얼음 밑까지 보냅니다. 67 00:03:12,165 --> 00:03:14,618 신호가 되돌아오면서 얼음 밑에서 무슨 일이 진행되고 있는지 68 00:03:14,642 --> 00:03:17,579 그 정보를 함께 가져옵니다. 69 00:03:18,530 --> 00:03:19,847 그 동안 70 00:03:19,871 --> 00:03:22,156 과학자와 공학자들은 비행기에 71 00:03:22,180 --> 00:03:23,667 8시간 동안 탑승하여 72 00:03:23,691 --> 00:03:25,560 레이더가 정상 작동하는지 확인합니다. 73 00:03:25,996 --> 00:03:28,537 일반인들이 현장 연구라는 말을 들으면 74 00:03:28,561 --> 00:03:30,005 많이 오해하는 것이 75 00:03:30,029 --> 00:03:33,176 과학자들이 창 밖을 내다보며 76 00:03:33,200 --> 00:03:36,114 경치를 관찰하고 지질학적 연대를 파악하고 77 00:03:36,138 --> 00:03:37,856 빙하의 운명이 어떠하리라고 추정한다고 생각하는 것이죠. 78 00:03:38,327 --> 00:03:41,950 실제로 BBC의 "프로즌 플래닛"의 제작진 한 명과 같이 비행했었는데 79 00:03:41,974 --> 00:03:44,696 우리가 문 손잡이를 돌리는 장면만 몇 시간을 찍어야 했죠. 80 00:03:45,046 --> 00:03:47,649 (웃음) 81 00:03:47,673 --> 00:03:51,049 몇 년 뒤에 프로즌 플래닛을 아내와 함께 봤을 때 82 00:03:51,073 --> 00:03:54,496 이 장면이 나와서 저는 얼마나 아름다웠는지 말해줬어요. 83 00:03:55,001 --> 00:03:57,931 그러자 아내가 "당신은 같이 비행한 게 아니었어?"라고 하더군요. 84 00:03:57,955 --> 00:03:59,114 (웃음) 85 00:03:59,138 --> 00:04:02,083 그래서 저는 "응 난 컴퓨터 화면을 확인하고 있었거든"이라고 했습니다. 86 00:04:02,107 --> 00:04:03,363 (웃음) 87 00:04:03,387 --> 00:04:05,594 그러니 여러분은 현장 연구를 상상할 떄 88 00:04:05,618 --> 00:04:07,641 이런 모습이 아니라 89 00:04:07,665 --> 00:04:09,356 이런 모습을 떠올리시면 됩니다 90 00:04:09,380 --> 00:04:10,543 (웃음) 91 00:04:10,567 --> 00:04:13,909 이건 라디오그램인데요, 빙하 대륙의 수평 단면을 보여주는 기기입니다. 92 00:04:13,933 --> 00:04:15,417 케이크 조각처럼요. 93 00:04:15,768 --> 00:04:18,617 제일 위의 밝은 층이 빙하대륙의 표면입니다. 94 00:04:18,641 --> 00:04:21,971 가장 밑의 밝은 층이 빙하대륙의 기반으로써 95 00:04:21,995 --> 00:04:24,521 이 두 층 사이의 공간은 나무의 나이테처럼 96 00:04:24,545 --> 00:04:27,752 이 빙하대륙의 역사 정보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97 00:04:27,776 --> 00:04:30,006 레이더를 이용해 빙하를 이처럼 속속들이 꿰뚫을 수 있다는 게 놀랍죠. 98 00:04:30,321 --> 00:04:32,339 지하 탐지 레이더는 99 00:04:32,363 --> 00:04:35,291 땅 속 수 미터까지 들어가 100 00:04:35,315 --> 00:04:37,474 도로의 기반을 조사하고 지뢰를 찾는데 사용합니다 101 00:04:37,498 --> 00:04:40,254 하지만 우리는 레이더를 이용해 얼음을 수 킬로미터까지 뚫고 들어가죠. 102 00:04:40,278 --> 00:04:44,118 여기엔 아주 세련되고 흥미로운 전자기와 관련된 이유가 있는데요 103 00:04:44,142 --> 00:04:48,293 지금은 일단 얼음이 레이더를 사용하기에 안성맞춤인 대상이라고만 해두죠. 104 00:04:48,317 --> 00:04:51,545 또 레이더도 기본적으로 빙하대륙을 연구하는데 최적의 수단입니다. 105 00:04:52,641 --> 00:04:53,920 이 사진은 남극 상공에서 106 00:04:53,944 --> 00:04:56,988 레이더 음향 장비를 이용하여 107 00:04:57,012 --> 00:04:58,726 완성한 그림입니다. 108 00:04:58,750 --> 00:05:01,720 다양한 국가에서 온 연구팀과 국제 협력을 통해서 109 00:05:01,744 --> 00:05:05,369 수십 년 동안 헌신적인 노력을 들여 완성했습니다. 110 00:05:05,672 --> 00:05:08,529 이 사진들을 한데 모으면 위와 같은 사진이 완성되는데요. 111 00:05:08,553 --> 00:05:11,259 얼음이 모두 녹았을 때 남극대륙의 모습을 112 00:05:11,283 --> 00:05:12,629 보여주는 사진입니다. 113 00:05:13,958 --> 00:05:18,490 남극 대륙이 얼마나 다양한 지형으로 이루어져 있는지 알 수 있습니다. 114 00:05:18,514 --> 00:05:20,926 붉은 부분은 화산과 산입니다. 115 00:05:20,950 --> 00:05:23,060 파란 부분은 얼음이 녹으면 드러나는 116 00:05:23,084 --> 00:05:24,664 바다입니다. 117 00:05:24,688 --> 00:05:27,322 엄청난 규모죠. 118 00:05:27,807 --> 00:05:30,808 하지만 수십 년에 걸쳐 완성한, 남극의 지표면 밑을 드러내는 119 00:05:30,832 --> 00:05:33,834 이 사진은 한 장의 사진에 불과합니다. 120 00:05:34,220 --> 00:05:38,433 이 사진만으로는 빙하가 시간에 따라 어떻게 변할 지 알 수 없죠. 121 00:05:39,338 --> 00:05:41,755 이제 우리 과학자들은 이 점을 알아내려고 연구 중인데요 122 00:05:41,779 --> 00:05:45,228 남극의 최초 레이더 관찰 기록은 123 00:05:45,252 --> 00:05:47,630 35mm 광학 필름으로 촬영되었다는 사실이 밝혀졌기 때문입니다. 124 00:05:48,021 --> 00:05:50,212 캠브릿지 대학의스콧 남극 연구 기관의 125 00:05:50,236 --> 00:05:53,490 박물관에 위치한 기록 보관소에는 126 00:05:53,514 --> 00:05:55,016 수백 통의 필름이 보관되어 있습니다. 127 00:05:55,040 --> 00:05:57,621 지난 여름 저는 최신형 필름 스캐너를 구입했는데요. 128 00:05:57,645 --> 00:06:01,201 헐리우드 영화를 디지털화하고 리마스터링할 목적으로 제작된 것입니다. 129 00:06:01,225 --> 00:06:02,376 우리는 두 명의 예술 역사가와 함께 130 00:06:02,400 --> 00:06:04,618 영국으로 건너가 앞서 말한 필름을 전부 131 00:06:04,642 --> 00:06:07,156 디지털화하여 기록했습니다. 132 00:06:07,744 --> 00:06:10,839 그렇게 해서 200만 장의 고화질 사진을 얻었죠. 133 00:06:10,863 --> 00:06:14,061 우리 연구진은 이 사진을 이용해 현재 남극의 상태와 134 00:06:14,085 --> 00:06:17,029 비교, 분석하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135 00:06:17,458 --> 00:06:19,850 제가 스캐너에 관한 정보를 얻은 것은 영화 예술 과학 아카데미의 136 00:06:19,874 --> 00:06:23,260 한 기록 보관 담당자에게서였습니다. 137 00:06:23,284 --> 00:06:25,808 따라서 저는 아카데미에게 138 00:06:25,832 --> 00:06:28,077 (웃음) 139 00:06:28,101 --> 00:06:29,419 이 성과의 공을 돌리고 싶습니다. 140 00:06:29,443 --> 00:06:30,498 (웃음) 141 00:06:30,522 --> 00:06:32,219 50년 전에 남극의 표면 밑에서 어떤 일이 일어났는지 확인하는 142 00:06:32,243 --> 00:06:35,879 일은 정말 대단합니다. 143 00:06:35,903 --> 00:06:38,585 이건 단순한 사진 그 이상이에요. 144 00:06:38,609 --> 00:06:40,726 이 사진만으로는 해나 계절에 따른 변화를 145 00:06:40,750 --> 00:06:43,923 알 수가 없어요. 146 00:06:43,947 --> 00:06:45,283 이런 요소로 인한 영향이 존재하는데도 말이죠. 147 00:06:45,926 --> 00:06:47,490 이 부분에서도 어느 정도 진보가 있었습니다. 148 00:06:47,514 --> 00:06:51,038 최근 지상 한 지점에 정착해서 레이더 탐사를 하는 시설들이 생겼는데요. 149 00:06:51,062 --> 00:06:53,675 남극 위에서 레이더를 세우고 150 00:06:53,699 --> 00:06:55,589 자동차 배터리를 땅 속에 파묻습니다. 151 00:06:55,613 --> 00:06:58,423 그리고 몇 달에서 몇 년을 내버려둡니다 152 00:06:58,447 --> 00:07:00,559 그동안 이 레이더는 매 분 혹은 매 시 간격으로 153 00:07:00,583 --> 00:07:02,081 남극 표면 밑으로 레이더 신호를 보냅니다. 154 00:07:02,105 --> 00:07:04,512 이 방법을 통해 한 지점을 155 00:07:04,958 --> 00:07:06,108 계속해서 관찰할 수 있죠. 156 00:07:06,418 --> 00:07:10,808 항공기를 이용해서 얻는 2차원의 그림과 비교해보면 157 00:07:10,832 --> 00:07:12,689 이 고정 레이더는 하나의 수직선에 불과하죠. 158 00:07:13,498 --> 00:07:16,354 동시에 우리가 현재 매달리고 있는 분야이기도 하죠. 159 00:07:16,378 --> 00:07:19,036 우리는 항공 음향 레이더를 사용해 160 00:07:19,060 --> 00:07:20,553 광범위한 공간 정보를 얻거나 161 00:07:20,577 --> 00:07:24,386 특정 좁은 지역을 지상 기반 레이더로 시간 관련 정보를 얻을 수도 있습니다. 162 00:07:24,410 --> 00:07:26,721 하지만 둘 중 어느 것으로도 우리가 진짜 원하는 정보를 얻진 못합니다. 163 00:07:26,745 --> 00:07:28,086 두 가지 방법 모두 말이죠. 164 00:07:28,753 --> 00:07:30,190 만약 우리가 원하는 정보를 얻으려면 165 00:07:30,214 --> 00:07:33,221 남극을 탐사하는 완전히 새로운 방법을 시도해야 할 겁니다. 166 00:07:33,245 --> 00:07:35,966 비현실적으로 들리지만 아주 저비용이어서 167 00:07:35,990 --> 00:07:39,225 수 많은 센서를 이용해서 반복해서 측정할 수 있어야 합니다. 168 00:07:39,871 --> 00:07:42,014 현재의 레이더 시스템은 169 00:07:42,038 --> 00:07:45,082 레이더 신호를 보내는 일 자체에 170 00:07:45,106 --> 00:07:47,403 가장 많은 비용을 소모하고 있습니다. 171 00:07:48,187 --> 00:07:51,482 따라서 현재 가지고 있는 라디오 시스템을 활용하거나 172 00:07:51,506 --> 00:07:54,228 자연에 존재하는 전파 신호를 활용할 수 있다면 안성맞춤이겠죠. 173 00:07:54,252 --> 00:07:57,101 다행히도 전파 천문학 전체가 174 00:07:57,125 --> 00:08:00,910 우주에 밝은 라디오 신호가 많다는 사실에 근거하고 있습니다. 175 00:08:00,934 --> 00:08:03,235 특히 태양이 엄청나게 밝아요. 176 00:08:03,259 --> 00:08:06,719 실제로 우리 연구팀은 태양이 방출하는 레이더 신호를 이용해 전파를 방출하려는 177 00:08:06,743 --> 00:08:10,330 계획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178 00:08:10,354 --> 00:08:12,541 이건 빅서(Big Sur)에서 진행한 현장 실험인데요. 179 00:08:12,565 --> 00:08:16,723 이 PVC 파이프 지구라트는 제 연구소 소속 학부생들이 만든 안테나 지지대죠. 180 00:08:17,100 --> 00:08:20,083 우리는 이곳 빅서에서 머무르면서 181 00:08:20,107 --> 00:08:22,545 주파수를 이용해 일몰을 관찰하고 182 00:08:22,569 --> 00:08:27,130 태양이 발한 신호가 태평양 표면에 부딪혀 돌아오는 것을 포착하려고 했죠. 183 00:08:27,585 --> 00:08:31,381 여러분이 "빅서에는 빙하가 하나도 없는데" 라고 생각하는 건 저도 압니다 184 00:08:31,405 --> 00:08:32,490 (웃음) 185 00:08:32,514 --> 00:08:33,672 사실이죠. 186 00:08:33,696 --> 00:08:34,876 (웃음) 187 00:08:34,900 --> 00:08:38,600 하지만 태양이 내뿜은 신호가 태평양 표면에서 반사된 것을 188 00:08:38,624 --> 00:08:39,982 잡아내는 것과 189 00:08:40,006 --> 00:08:42,808 빙하 대륙의 밑바닥의 신호를 감지하는 일이 190 00:08:42,832 --> 00:08:44,573 지구 물리학적으로 굉장히 유사하다는 사실을 밝혀냈습니다. 191 00:08:44,597 --> 00:08:45,796 이것이 가능해지면 192 00:08:45,820 --> 00:08:49,225 우리는 같은 방법을 남극대륙에도 적용할 수 있게 됩니다. 193 00:08:49,249 --> 00:08:51,289 그리 먼 미래의 일이 아닙니다. 194 00:08:51,313 --> 00:08:55,066 내진 산업 업계도 비슷한 기술 발전 과정을 거쳤는데요 195 00:08:55,090 --> 00:08:58,220 진원(震源)을 만들기 위해 다이너마이트를 터뜨리는 대신 196 00:08:58,244 --> 00:09:00,733 자연에 존재하는 주변의 진동 소음을 사용합니다. 197 00:09:00,757 --> 00:09:04,590 방공 레이더는 TV 신호나 라디오 신호를 항상 발신하는데요. 198 00:09:04,614 --> 00:09:07,193 따라서 레이더 신호를 전송할 필요가 없고 199 00:09:07,217 --> 00:09:08,868 언제든지 이용할 수 있습니다. 200 00:09:09,280 --> 00:09:11,878 그럼 우리 계획이 정말로 실현될지도 모릅니다. 201 00:09:11,902 --> 00:09:15,104 그렇게 된다면 거의 무료에 가까운 센서들이 필요합니다. 202 00:09:15,128 --> 00:09:18,717 그래서 수백 수천 개의 센서를 빙하위에 놓고 203 00:09:18,741 --> 00:09:19,892 빙하의 모습을 그릴 수 있게 되는 겁니다. 204 00:09:19,916 --> 00:09:23,522 이를 위해 많은 공학자들의 도움을 받았습니다. 205 00:09:23,546 --> 00:09:25,950 제가 앞서 말씀드린 초기의 레이더 시스템들은 206 00:09:25,974 --> 00:09:29,607 국가 연구시설에서 초고가 장비를 활용해 수 년에 걸쳐 207 00:09:29,631 --> 00:09:30,980 숙련된 공학자들이 208 00:09:31,004 --> 00:09:32,980 개발한 시스템입니다. 209 00:09:33,354 --> 00:09:36,244 하지만 최근 소프트웨어화된 전파기술 및 210 00:09:36,268 --> 00:09:38,514 급속 제조의 발전 및 제작사들의 노력을 통해 211 00:09:38,538 --> 00:09:41,490 우리 연구소에서 일하는 젊은 연구팀도 212 00:09:41,514 --> 00:09:44,156 단 몇 달 만에 레이더의 프로토타입을 213 00:09:44,180 --> 00:09:45,625 만들 수 있게 되었습니다. 214 00:09:46,045 --> 00:09:48,854 실은 그냥 젊은이들이 아니라 스탠포드대의 학부생들이죠. 215 00:09:48,878 --> 00:09:50,525 하지만 중요한 점은 216 00:09:50,549 --> 00:09:51,973 (웃음) 217 00:09:51,997 --> 00:09:55,300 이와 같은 기술이 장비를 개발하는 공학자들과 그 장비를 이용하는 과학자들 218 00:09:55,324 --> 00:09:59,135 사이의 장벽을 부순다는 사실입니다. 219 00:09:59,590 --> 00:10:03,531 공학도들에게 지구 과학자 같은 사고 방식을 심어주고 220 00:10:03,555 --> 00:10:06,233 반대로 지구과학자들에게 공학자같은 사고방식을 심어줌으로써 221 00:10:06,257 --> 00:10:10,490 제 연구소는 자기가 연구하고 싶은 문제에 맞춰 레이더를 개발할 수 있는 222 00:10:10,514 --> 00:10:12,124 환경을 조성하고 있습니다. 223 00:10:12,148 --> 00:10:15,585 저비용 고성능의 224 00:10:15,609 --> 00:10:17,077 맞춤형 레이더죠. 225 00:10:17,101 --> 00:10:20,578 이를 통해 빙하대륙 연구에도 커다란 변화가 생길 것입니다. 226 00:10:20,998 --> 00:10:26,079 해수면 상승 문제와 지구 빙권이 이에 끼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일은 227 00:10:26,103 --> 00:10:27,688 매우 중요한 문제이며 228 00:10:27,712 --> 00:10:29,386 전 세계가 관련된 문제입니다. 229 00:10:29,815 --> 00:10:31,903 하지만 제가 이 문제에 매달리는 이유는 아니죠. 230 00:10:32,458 --> 00:10:35,573 저는 똑똑하고 영리한 학생들을 231 00:10:35,597 --> 00:10:37,384 가르치고 이끌 수 있는 기회를 갖고 싶어서 연구합니다. 232 00:10:37,804 --> 00:10:40,913 재능이 넘치고, 의욕이 충만한, 열정 넘치는 젊은이들이라면 233 00:10:40,937 --> 00:10:43,429 지금 세계가 당면하고 있는 문제를 234 00:10:43,453 --> 00:10:46,000 대부분 해결할 수 있다고 마음 속 깊이 믿고 있으며 235 00:10:46,577 --> 00:10:50,589 또 해수면 상승을 연구하기 위해 필요한 관찰 기록을 제공하는 건 236 00:10:50,613 --> 00:10:54,303 젊은이들이 해결할 수 있는 문제 중 한 가지에 불과하기 때문입니다. 237 00:10:54,768 --> 00:10:55,920 감사합니다. 238 00:10:55,944 --> 00:10:58,586 (박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