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00:00:13,136 --> 00:00:15,244 안녕하세요, 여러분. 2 00:00:15,244 --> 00:00:18,204 오늘 이 자리에 와 주신 것에 감사드립니다. 3 00:00:18,204 --> 00:00:21,901 이야기 하나로 오늘 강연을 시작하겠습니다. 4 00:00:21,901 --> 00:00:24,453 시작은 있지만 끝이 없는 이야기인데요. 5 00:00:24,453 --> 00:00:27,544 팀 개워스(Tim Gowers)라는 수학자의 이야기 입니다. 6 00:00:27,544 --> 00:00:30,945 그는 세계적으로 저명한 수학자 인데요, 7 00:00:30,945 --> 00:00:34,843 캐브리지 대학의 교수이자 8 00:00:34,843 --> 00:00:39,441 종종 수학의 노벨상이라고 불리는 필즈상 수상자이기도 합니다. 9 00:00:39,441 --> 00:00:42,833 개워스는 블로거인데, 10 00:00:42,833 --> 00:00:46,536 2009년 1월에 자신의 블로그를 통해 11 00:00:46,536 --> 00:00:50,025 굉장히 놀라운 문제를 제기합니다: 12 00:00:50,025 --> 00:00:55,353 수많은 사람이 협력해서 수학을 하는 것이 가능하겠는가? 라는거였죠. 13 00:00:55,353 --> 00:00:58,894 그 글에서 그 사람이 제안했던 것은 자신의 블로그를 통해서 14 00:00:58,894 --> 00:01:03,139 이제껏 풀리지 않은 미해결 문제에 도전해 보자는 것이었습니다. 15 00:01:03,139 --> 00:01:06,488 그의 말에 따르면 "시도해 보기에 아주 사랑스러운 문제"였습니다. 16 00:01:06,488 --> 00:01:09,492 완전히 공개해서, 자신의 블로그에 아이디어를 올리고 17 00:01:09,492 --> 00:01:13,097 자신이 그때까지 얻은 결과도 거기에 올렸습니다. 18 00:01:13,097 --> 00:01:16,545 게다가, 그는 블로그의 의견란에 19 00:01:16,545 --> 00:01:18,832 전세계에서 누구든 아이디어를 20 00:01:18,832 --> 00:01:23,116 내줄 수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누구든 21 00:01:23,116 --> 00:01:26,195 모두 공개적으로 초대했습니다. 22 00:01:26,195 --> 00:01:30,504 그의 희망은 많은 사람들의 지성을 종합하여 23 00:01:30,504 --> 00:01:34,161 어려운 수학 문제를 쉽게 해결해 보자는 것이었죠. 24 00:01:34,161 --> 00:01:38,280 그는 이 실험을 "다중수학 프로젝트 ( Polymath Project)" 라고 불렀습니다. 25 00:01:38,280 --> 00:01:40,315 음, 이 프로젝트는 시작부터 아주 느렸습니다. 26 00:01:40,315 --> 00:01:43,587 처음 7시간 동안 어느 누구도 아무런 의견을 올리지 않았어요. 27 00:01:43,587 --> 00:01:46,995 그런데 그 때, 브리티시 콜럼비아 대학의 한 수학자인 28 00:01:46,995 --> 00:01:50,317 죠세프 소모로시라는 사람이 짧은 의견을 올렸습니다. 29 00:01:50,317 --> 00:01:52,604 이 사람이 차가운 분위기를 깬것처럼 보였습니다. 왜냐하면 몇 분이 지나지도 않아서 30 00:01:52,604 --> 00:01:56,330 제이슨 다이어라는 고등학교 교사가 31 00:01:56,330 --> 00:01:58,869 한가지 제안을 올렸구요. 그리고 나서 몇 분이 지나자 32 00:01:58,869 --> 00:02:01,080 테렌스 타오라는 또 다른 수학자가 아이디어를 올렸습니다. 33 00:02:01,080 --> 00:02:04,329 그 사람 역시 필즈상 수상자입니다. 34 00:02:04,329 --> 00:02:08,051 그 순간부터 상황은 꽤 빠르게 진행되기 시작했습니다. 35 00:02:08,051 --> 00:02:12,792 그 뒤로 37일 동안 27명의 다른 사람들이 36 00:02:12,792 --> 00:02:19,971 17만 단어나 되는 800개의 꽤 쓸모있는 어휘들로 코멘트를 달았습니다. 37 00:02:19,971 --> 00:02:23,542 저는 진지한 참여자는 아니었지만 처음부터 그 내용은 자세하게 따라가고 있었습니다. 38 00:02:23,542 --> 00:02:25,764 그런데 아주 대단했어요. 39 00:02:25,764 --> 00:02:27,998 어떤 아이디어가 잠정적으로 제안되고 40 00:02:27,998 --> 00:02:31,017 다른 사람들이 그걸 전개하고 41 00:02:31,017 --> 00:02:35,150 개선하는 속도가 정말 놀라웠습니다. 42 00:02:35,150 --> 00:02:37,833 개워스는 이런 과정을 보통의 연구 과정에 비교하여 43 00:02:37,833 --> 00:02:44,079 운전하는 것과 차를 미는 것과의 차이와 같다고 했어요. 44 00:02:44,079 --> 00:02:47,614 37일의 끝 무렵, 개워스는 자신의 브로그를 통해서 45 00:02:47,614 --> 00:02:51,355 문제의 중요한 부분이 해결됐다고 선언합니다. 46 00:02:51,355 --> 00:02:54,589 사실, 사람들은 그 때 원래 문제보다 더 어려운 일반화에 대해 해결했어요. 47 00:02:54,589 --> 00:02:57,854 "다중수학 프로젝트"가 성공한겁니다. 48 00:02:57,854 --> 00:03:00,824 "다중수학 프로젝트"가 시사하는 바는, 최소한 저에게는, 49 00:03:00,824 --> 00:03:04,839 우리가 인터넷을 사용해서 지적으로 가장 도전적인 문제를 50 00:03:04,839 --> 00:03:08,614 풀 수 있는 능력을 확장할 수 있는 51 00:03:08,614 --> 00:03:12,731 도구를 만들었다는 점입니다. 52 00:03:12,731 --> 00:03:16,525 달리 말하면, 우리가 천년동안 육체적인 능력을 신장하는데 53 00:03:16,525 --> 00:03:20,680 사용했던 방법과 똑같은 방식으로 54 00:03:20,680 --> 00:03:24,321 우리의 집단적인 지능을 신장시킬 수 있는 도구를 55 00:03:24,321 --> 00:03:28,637 만들 수 있다는 것이죠. 56 00:03:28,637 --> 00:03:31,307 오늘 제가 말씀드리고 싶은 것은, 57 00:03:31,307 --> 00:03:35,047 제가 알아보고자 하는 것은 이런 것이 과학에 어떤 의미를 갖는가 하는 점입니다. 58 00:03:35,047 --> 00:03:38,300 이것은 그저 단순히 하나의 수학 문제를 푸는 것보다도 훨씬 더 중요합니다. 59 00:03:38,300 --> 00:03:41,193 그것은 우리가 과학적으로 시도해 볼 엄두를 내볼 수 있는 60 00:03:41,193 --> 00:03:44,392 영역을 전체적으로 확장했다는 뜻입니다. 61 00:03:44,392 --> 00:03:47,945 잠재적으로 이것은 과학적 발견이 가속될거라는 뜻이에요. 62 00:03:47,945 --> 00:03:52,614 또한 이것은 우리가 지식을 축적하는 방법에서의 변화를 뜻합니다. 63 00:03:52,614 --> 00:03:55,819 제가 너무 흥분하기 전에 64 00:03:55,819 --> 00:03:58,568 몇가지 도전적인 문제에 대해서 65 00:03:58,568 --> 00:03:59,782 말씀드리죠. 66 00:03:59,782 --> 00:04:03,964 저는 특히 이런 접근 방법의 실패에 대해서 말씀드리려고 합니다. 67 00:04:03,964 --> 00:04:09,035 그러니까 이것은 2005년에 일어난 일인데요. 68 00:04:09,035 --> 00:04:13,128 캘리포니아 공과대학(Caltech)의 존 스탁톤(John Stockton)이라는 대학원생이 69 00:04:13,128 --> 00:04:16,255 퀀텀 위키(Quantum Wiki)라는 좋은 아이디어를 만들어 냈습니다. 70 00:04:16,255 --> 00:04:20,729 짧게 그냥 퀵키(Qwiki)라고도 하는 대단한 아이디어입니다. 71 00:04:20,729 --> 00:04:23,360 그가 퀵키에서 한 것은 72 00:04:23,360 --> 00:04:26,290 퀵키의 아이디어는 이것이 인류 지성의 73 00:04:26,290 --> 00:04:28,138 위대한 보고가 될 것이라는 점입니다. 74 00:04:28,138 --> 00:04:31,102 위키피디아와 아주 비슷하지만 일반적인 지식에 중심을 둔 것과 달리 75 00:04:31,102 --> 00:04:34,373 이것은 양자 계산분야의 지식에 76 00:04:34,373 --> 00:04:37,729 집중하는 겁니다. 77 00:04:37,729 --> 00:04:40,420 이것은 이 분야에서 일종의 슈퍼 교과서가 될 겁니다. 78 00:04:40,420 --> 00:04:42,971 모든 최신 연구 결과를 포함하고 79 00:04:42,971 --> 00:04:46,017 이 분야에서 해결되지 않은 거대한 문제에 대한 것들, 80 00:04:46,017 --> 00:04:50,590 그리고 이런 문제들을 어떻게 풀 것인가에 대한 예측 등등을 포함한 것이 될 겁니다. 81 00:04:50,590 --> 00:04:54,028 위키피디아처럼, 그 의도는 사용자들이 써나가는 82 00:04:54,028 --> 00:04:58,929 이 경우에는, 양자 계산 분야의 전문가들이 쓰게 되겠죠. 83 00:04:58,929 --> 00:05:02,249 저는 2005년에 그 대학(Caltech) 컨퍼런스에 참가했는데 84 00:05:02,249 --> 00:05:05,225 거기서 그 아이디어가 제안되었고, 제가 아는 몇몇은 의심스러워 했지만 85 00:05:05,225 --> 00:05:07,911 몇몇 사람들은 그 아이디어에 대해 86 00:05:07,911 --> 00:05:09,846 매우 고무되었습니다. 87 00:05:09,846 --> 00:05:11,596 사람들은 구현성에 깊은 인상을 받았습니다. 88 00:05:11,596 --> 00:05:13,549 처음 웹사이트에 올려진 89 00:05:13,549 --> 00:05:15,764 자료의 양에 인상 깊어했고 90 00:05:15,764 --> 00:05:18,669 무엇보다도 가능성에 흥분했습니다. 91 00:05:18,669 --> 00:05:20,619 하지만 그저 사람들이 흥분했다는 것 때문에 92 00:05:20,619 --> 00:05:23,971 자신의 시간을 투자하겠다는 뜻은 아니었어요. 93 00:05:23,971 --> 00:05:27,132 그들은 다른 사람들이 시간을 투자해 주기를 바랐습니다. 94 00:05:27,132 --> 00:05:29,880 그래서 결국, 근본적으로는 아무도 95 00:05:29,880 --> 00:05:33,667 거기에 시간을 투자하려 들지 않았던 겁니다. 96 00:05:33,667 --> 00:05:36,475 오늘에 와서 다시 되돌아 보면, 몇가지를 제외하고는 97 00:05:36,475 --> 00:05:39,065 기본적으로 퀵키는 끝났습니다. 98 00:05:39,065 --> 00:05:41,720 이렇게 말하는게 슬프지만, 이런 것이 대부분 공통적인 현상입니다. 99 00:05:41,720 --> 00:05:44,749 유전학으로부터 끈이론학자까지 100 00:05:44,749 --> 00:05:47,619 다양한 많은 과학자들이 비슷한 방법으로 과학-위키를 101 00:05:47,619 --> 00:05:51,298 시도해 왔습니다. 그리고 대부분 그들은 실패했습니다. 102 00:05:51,298 --> 00:05:54,081 근본적으로 동일한 이유 때문이죠. 103 00:05:54,081 --> 00:05:55,852 사실 이건 과학-위키에서 뿐만이 아닙니다. 104 00:05:55,852 --> 00:05:59,080 페이스북에 고무된 많은 조직에서 105 00:05:59,080 --> 00:06:02,515 과학자들을 비슷한 흥미를 가진 사람들과 106 00:06:02,515 --> 00:06:07,351 연계할 수 있는 사회 연결망을 만들려는 시도를 해왔습니다. 107 00:06:07,351 --> 00:06:12,073 그래서 자료라든가, 아이디어를 프로그램한 것 등을 공유하려고 했죠. 108 00:06:12,073 --> 00:06:14,169 여전히 좋은 아이디어처럼 들리죠. 109 00:06:14,169 --> 00:06:16,539 하지만 이런 사이트에 가입하면 110 00:06:16,539 --> 00:06:19,342 기본적으로 사이트가 비어있다는 것을 금방 알 수 있습니다. 111 00:06:19,342 --> 00:06:22,868 거의 유령 도시 같습니다. 112 00:06:22,868 --> 00:06:25,230 그럼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 걸까요? 문제가 뭘까요? 113 00:06:25,230 --> 00:06:27,866 이런 희망적인 사이트가 왜 실패하는 걸까요? 114 00:06:27,866 --> 00:06:31,765 음...여러분이 야심 많은 젊은 과학자라고 상상해 보시죠. 115 00:06:31,765 --> 00:06:35,239 실제로 저는 여기 게신 몇몇 분들이 야심찬 젊은 과학도인 것을 알고 있습니다. 116 00:06:35,239 --> 00:06:37,925 여러분들이 야심찬 젊은 과학자라고 생각해보죠. 117 00:06:37,925 --> 00:06:40,498 여러분은 정말 좋은 직장, 영구 직장을 갖고 싶어할 겁니다. 118 00:06:40,498 --> 00:06:44,025 좋은 직장에서 각자가 사랑하는 일을 하고요. 119 00:06:44,025 --> 00:06:46,081 하지만 그런 직장을 갖는다는 것은 믿기 어려울 정도로 경쟁이 심합니다. 120 00:06:46,081 --> 00:06:47,619 자리가 나면 어떤 때는 수백명의 121 00:06:47,619 --> 00:06:52,325 아주 훌륭한 자격을 갖춘 지원자들이 몰립니다. 122 00:06:52,325 --> 00:06:56,442 그러다 보니 그런 직장을 얻는데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123 00:06:56,442 --> 00:07:00,950 한 가지 일에 1주일에 60, 70, 80 시간까지도 몰두하게 되는거죠. 124 00:07:00,950 --> 00:07:03,580 그것은 과학 논문을 쓰는 일입니다. 125 00:07:03,580 --> 00:07:07,128 사람들은 큌키가 원칙적으로 대단한 아이디어라고 생각하실지도 모릅니다. 126 00:07:07,128 --> 00:07:10,483 하지만 하나의 그저 그런 논문을 쓰는 것이 127 00:07:10,483 --> 00:07:13,604 그런 사이트에 일련의 대단히 멋진 공헌을 하는 것보다 128 00:07:13,604 --> 00:07:17,735 직장을 얻기 위해 그 분야에 더 많은 경력을 쌓는 일이라는 것도 알고 계실 겁니다. 129 00:07:17,735 --> 00:07:19,391 그래서 그런 아이디어를 좋게 생각하고 130 00:07:19,391 --> 00:07:23,475 그것이 과학을 더 빨리 발전시킨다고 생각한다 할지라도 131 00:07:23,475 --> 00:07:28,060 사람들은 그것을 자신의 직장의 일부하고 받아들일 수 없습니다. 사실 그렇죠. 132 00:07:28,060 --> 00:07:32,512 이런 환경에서 유일하게 성공할 수 있는 것은 133 00:07:32,512 --> 00:07:35,684 다중수학(Polymath) 프로젝트 같은 것 뿐입니다. 134 00:07:35,684 --> 00:07:40,389 이 프로젝트에서는 결과에 도달하는데 전통적인 방식을 쓰지 않지만 135 00:07:40,389 --> 00:07:42,612 그 안에는 근본적으로 보수성이 담겨있어요. 136 00:07:42,612 --> 00:07:44,576 다중수학(Polymath) 프로젝트의 최종 결과는 137 00:07:44,576 --> 00:07:46,762 여전히 과학 논문입니다. 138 00:07:46,762 --> 00:07:49,072 사실 몇 개의 논문은 되겠죠? 139 00:07:49,072 --> 00:07:52,347 그러니까 전통적이지 않은 방식이지만 전통적인 결과물을 냅니다. 140 00:07:52,347 --> 00:07:54,530 그러니까 그 안에는 일정 정도의 보수주의가 있는거죠. 141 00:07:54,530 --> 00:07:58,311 오해는 하지 마세요. 다중수학(Polymath)는 대단합니다. 142 00:07:58,312 --> 00:08:01,196 하지만 과학자들이 겨우 이런 정도의 143 00:08:01,196 --> 00:08:05,707 보수성을 띤 도구를 통해야 한다는 점은 슬픈 일입니다. 144 00:08:05,707 --> 00:08:07,742 제가 한 가지 경우를 말씀드리겠습니다. 145 00:08:07,742 --> 00:08:10,860 이런 보수성을 멀리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146 00:08:10,860 --> 00:08:14,443 이건 보수성이 무너진 아주 드문 경우의 이야기에요. 147 00:08:14,443 --> 00:08:18,076 1990년대에 일어난 일인데요, 아시다시피 148 00:08:18,076 --> 00:08:21,069 생물학자들은 처음으로 많은 양의 149 00:08:21,069 --> 00:08:25,236 유전자 자료를 인간 게놈(Human Genome ) 프로젝트에서 모았습니다. 150 00:08:25,236 --> 00:08:28,705 온라인에는 생물학자들이 자료를 올리고 151 00:08:28,705 --> 00:08:31,790 전 세계의 다른 사람들과 공유하고 또 152 00:08:31,790 --> 00:08:35,968 다른 사람들이 분석을 할 수 있도록 사이트가 만들어 졌습니다. 153 00:08:35,968 --> 00:08:38,716 아마도 이런 것들 중에 최고는 유전자 은행(Gene Bank)이었을 겁니다. 154 00:08:38,716 --> 00:08:42,130 여러분들도 들어 보셨거나 이용해 보셨을 겁니다. 155 00:08:42,130 --> 00:08:45,576 유전자 은행 같은 이런 사이트들에는 퀵키와 동일한 문제가 있었어요, 156 00:08:45,576 --> 00:08:52,424 과학자들이 그들의 아이디어를 공유하는 것에 대해 보수나 어떤 보상도 받지 못한다는 문제점이었죠. 157 00:08:52,424 --> 00:08:56,064 논문을 발표하는 것이 전부였어요. 158 00:08:56,064 --> 00:09:00,631 그러니까 실제로 자료를 올리는 것을 엄청나게 꺼려했죠. 159 00:09:00,631 --> 00:09:03,561 누구나 이것이 어리석은 젓이라는 것을 알고 있었지만 160 00:09:03,561 --> 00:09:05,851 이렇게 하는 것이 옳다는 것도 분명했죠. 161 00:09:05,851 --> 00:09:07,667 하지만 이런 점이 분명하다고 해서 162 00:09:07,667 --> 00:09:09,461 사람들이 실제로 그렇게 한다는 뜻은 아닙니다. 163 00:09:09,461 --> 00:09:12,829 1996년 버뮤다에서 많은 세계적인 분자 생물학자들이 164 00:09:12,829 --> 00:09:15,471 회의를 개최했어요. 165 00:09:15,471 --> 00:09:17,787 그들은 머리를 맞대고 이 문제를 166 00:09:17,787 --> 00:09:20,083 며칠 동안 논의한 끝에 결론에 도달했습니다. 167 00:09:20,083 --> 00:09:21,579 지금은 버뮤다 원칙이라고 하는데요, 168 00:09:21,579 --> 00:09:26,097 이런 내용입니다: 인간의 유전자 자료를 169 00:09:26,097 --> 00:09:29,324 실험실에 가져오면 바로 유전자 은행 같은 170 00:09:29,324 --> 00:09:31,880 사이트에 업로드 한다. 둘째 -- 171 00:09:31,880 --> 00:09:35,107 그 자료는 누구나 볼 수 있는 영역으로 한다. 172 00:09:35,107 --> 00:09:36,874 이러한 원칙은 확고해졌습니다. 173 00:09:36,874 --> 00:09:39,884 왜냐하면 자료들은 대형 과학 기관으로 옮겨졌으니까요. 174 00:09:39,884 --> 00:09:43,442 미국 국가 건강 연구소, 영국 웰컴 트러스트 (Welcome Trust) 같은 대형 기관들의 175 00:09:43,442 --> 00:09:47,471 의견이 반영되었던 겁니다. 176 00:09:47,471 --> 00:09:50,483 그러니까 누구든지 인간 게놈에 대해 177 00:09:50,483 --> 00:09:52,307 연구를 하고자 하는 과학자라면 178 00:09:52,307 --> 00:09:54,321 이런 원칙을 지켜야만 했습니다. 179 00:09:54,321 --> 00:09:57,304 그 결과, 현재는 여러분들, 여기 계신 누구든지 180 00:09:57,304 --> 00:10:00,133 온라인에서 인간 게놈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습니다. 181 00:10:00,133 --> 00:10:03,920 대단한 이야기죠. 182 00:10:03,920 --> 00:10:06,777 하지만 인간 게놈은 과학적 지식의 183 00:10:06,777 --> 00:10:10,192 아주 일부분 일 뿐입니다. 184 00:10:10,192 --> 00:10:12,896 심지어 유전자학의 다른 분야에는 185 00:10:12,896 --> 00:10:15,438 여전히 감춰진 지식이 상당히 많습니다. 186 00:10:15,438 --> 00:10:18,045 저는 한 생물정보학자와 이야기를 나눈 적이 있는데 187 00:10:18,045 --> 00:10:22,880 그는 "1년도 넘게 전체 종(種)에 대한 게놈 자료에 188 00:10:22,880 --> 00:10:27,830 빠져있다"고 했습니다. 전체 종(種)이에요. 189 00:10:27,830 --> 00:10:31,473 다른 과학 분야에서 과학자들이 190 00:10:31,473 --> 00:10:34,914 자신의 자료를 감추거나, 컴퓨터 코드를 감추는 것은 흔한 일이어서 191 00:10:34,914 --> 00:10:37,053 자신이 만든 자료를 다른 사람들이 사용할까봐 192 00:10:37,053 --> 00:10:40,616 가장 좋은 아이디어는 숨기고 193 00:10:40,616 --> 00:10:42,554 심지어는 자기들이 가장 흥미롭다고 생각하는 문제에 대해서는 194 00:10:42,554 --> 00:10:45,738 소상한 내용을 감추기도 합니다. 195 00:10:45,738 --> 00:10:49,184 공개 과학 운동(Open Science Movement)에 몸담고 있는 저나 다른 과학자들이 196 00:10:49,184 --> 00:10:52,043 하고자 하는 일은 이런 상황을 바꾸고자 하는 것입니다. 197 00:10:52,043 --> 00:10:54,430 우리는 과학 문화를 바꾸어 198 00:10:54,430 --> 00:10:57,269 과학자들이 훨씬 더 동기를 갖게 되고 199 00:10:57,269 --> 00:10:59,808 이런 여러 종류의 지식 전부를 공유하고자 합니다. 200 00:10:59,808 --> 00:11:04,340 우리는 과학자들 개개인의 가치를 바꾸어서 201 00:11:04,340 --> 00:11:08,285 자신들의 자료와 코드를 공유하는 것이 그들의 임무에 포함되도록 202 00:11:08,285 --> 00:11:09,914 만드는 것입니다. 203 00:11:09,914 --> 00:11:15,290 그들이 가진 최고의 아이디어와 그들의 문제를 공유하는 것이지요. 204 00:11:15,290 --> 00:11:20,622 그러니까 우리가 만약 가치에 있어서의 이런 변화를 이끌어 낼 수 있다면 205 00:11:20,622 --> 00:11:24,541 우리는 실제로 과학자들이 206 00:11:24,541 --> 00:11:26,325 이런 일을 하면서 보답을 얻을 수 있게 될 겁니다. 207 00:11:26,325 --> 00:11:28,638 이런 것들은 과학자들에게 인센티브가 되요. 208 00:11:28,638 --> 00:11:32,108 하지만 그렇게 하기가 쉽지는 않을 겁니다. 209 00:11:32,108 --> 00:11:37,472 우리는 지금 과학의 전체적인 문화를 바꾸는 것에 대해서 이야기 하고 있습니다. 210 00:11:37,472 --> 00:11:40,799 그런데 이런 일은 역사에서 한번 일어났던 때가 있습니다. 211 00:11:40,799 --> 00:11:43,528 과학의 서막이 열리던 시기였던 212 00:11:43,528 --> 00:11:48,879 1609년에 갈릴레오의 망원경은 213 00:11:48,879 --> 00:11:52,745 토성을 찾아 하늘을 향했고, 역사상 처음으로 214 00:11:52,745 --> 00:11:55,432 지금은 우리가 토성의 고리라고 알고 잇는 것을 보게 됩니다. 215 00:11:55,432 --> 00:11:57,557 갈릴레오가 세상 사람들에게 이런 사실을 말했을까요? 아닙니다. 216 00:11:57,557 --> 00:11:58,758 그렇게 하지 않았어요. 217 00:11:58,758 --> 00:12:02,116 그는 개인적으로 그 모양을 써내려간 다음, 그 내용에서 어구의 순서를 바꿔 218 00:12:02,116 --> 00:12:06,997 감추었어요. 그리고는 그렇게 감춘 내용을 219 00:12:06,997 --> 00:12:11,594 찬문학에서 자신과 경쟁을 벌이던 몇몇 사람들에게 보냅니다. 220 00:12:11,594 --> 00:12:18,410 이것이 뜻하는 바는, 나중에 이 사람들이 똑같은 발견을 하게 되면 221 00:12:18,410 --> 00:12:21,500 그 내용을 밝혀 자신의 업적을 인정받고자 한 것이죠. 222 00:12:21,500 --> 00:12:24,943 어뺐든, 갈릴레오는 어떤 정보도 밝히지 않앗습니다. 223 00:12:24,943 --> 00:12:28,122 그가 당시에는 특별하지 않았다고 말하는 것이 썩 마음에 들지 않네요. 224 00:12:28,122 --> 00:12:35,366 뉴튼, 호이겐스, 후크, 다빈치와 같은 사람들은 모두 이런 장치를 마련했어요. 225 00:12:35,366 --> 00:12:40,412 이 즈음은 인쇄 기술이 약 150년쯤 되었을 시기였어요. 226 00:12:40,412 --> 00:12:43,978 하지만 17, 18세기에는 과학의 문화를 바꾸는 데 227 00:12:43,978 --> 00:12:47,503 여전히 엄청난 암투가 있었고 228 00:12:47,503 --> 00:12:50,377 즉, 과학자가 어떤 발견을 하면 229 00:12:50,377 --> 00:12:54,041 그 결과를 논문으로 발표할 것이라고 기대하는 새로운 문화였지요. 230 00:12:54,041 --> 00:12:57,544 그건 대단한거죠. 그런 변화가 일어났습니다. 정말 대단합니다. 231 00:12:57,544 --> 00:12:59,798 하지만 오늘날 우리에겐 새로운 기술이 있습니다. 232 00:12:59,798 --> 00:13:04,077 우리의 지식을 새로운 방식으로 공유할 기회이기도 하고 233 00:13:04,077 --> 00:13:07,130 문제를 완전히 새로운 방법으로 울어 낼 수 있는 234 00:13:07,130 --> 00:13:11,759 도구를 만들어 낼 능력도 있습니다. 235 00:13:11,759 --> 00:13:15,693 그래서 우리에게는 두번째 공개형 과학 혁명(Open Science Revolutio)이 필요합니다. 236 00:13:15,693 --> 00:13:18,958 저는 누가 재정지원을 하든 공공 지원을 받은 과학은 237 00:13:18,958 --> 00:13:22,179 공개되어야 한다고 믿습니다. 238 00:13:22,179 --> 00:13:25,163 어떻게 이런 변화를 이끌어 낼 수 있을까요? 239 00:13:25,163 --> 00:13:28,178 음... 여러분들이 과학자라면 -- 사실 여기 많은 분들이 과학자는 아니시지만 -- 240 00:13:28,178 --> 00:13:30,855 만약 여러분들이 과학자라면 241 00:13:30,855 --> 00:13:32,975 할 수 있는 일들이 있습니다., 242 00:13:32,975 --> 00:13:36,694 공개 과학 프로젝트에 참여할 수도 있습니다. 243 00:13:36,694 --> 00:13:40,125 아무리 적은 시간이라고 할지라도 말이죠. 244 00:13:40,125 --> 00:13:43,714 온라인 포럼을 찾아 여러분들이 가진 245 00:13:43,714 --> 00:13:45,966 지식을 새로운 방식으로 공유할 수 있어요. 246 00:13:45,966 --> 00:13:49,809 이런 방법으로 공유된 지식위에 다른 사람들은 새로운 것을 쌓아나가는거죠. 247 00:13:49,809 --> 00:13:52,649 더욱 야심이 있으시다면 248 00:13:52,649 --> 00:13:55,147 여러분 스스로 공개 과학 프로젝트를 시작하실 수도 있습니다. 249 00:13:55,147 --> 00:13:56,794 정말로 용감하다면, 완전히 새로운 방식의 250 00:13:56,794 --> 00:14:00,148 협력 방법을 실험해 보실 수도 있습니다. 251 00:14:00,148 --> 00:14:03,778 아마도 다중수학(olymath Project ) 프로젝트와 상당히 비슷한 방식이 되겠죠? 252 00:14:03,778 --> 00:14:06,130 하지만 무엇보다도, 여러분들이 하셔야 할 것은 253 00:14:06,130 --> 00:14:10,124 과학을 공개적으로 수행하고 자신의 연구 결과를 널리 알리는 254 00:14:10,124 --> 00:14:14,888 동료 과학자들의 공로를 인정하는데 관대해야 합니다. 255 00:14:14,888 --> 00:14:19,292 보수적인 과학적 가치관은 이런 활동을 256 00:14:19,292 --> 00:14:22,644 우습게 봅니다. -- 자요의 공유라든가, 블로깅 257 00:14:22,644 --> 00:14:25,662 위키를 사용하는 이런 활동을 말이죠. 258 00:14:25,662 --> 00:14:29,056 여러분들은 이런 보수적인 가치관을 거부하고 259 00:14:29,056 --> 00:14:31,418 동료 과학자들을 대화로 이끌어 260 00:14:31,418 --> 00:14:34,617 이렇게 새로운 방법으로 일하는 것에 대한 가치를 높이고 261 00:14:34,617 --> 00:14:37,828 이런 일을 하는 것에는 용기가, 262 00:14:37,828 --> 00:14:39,591 특히 젊은 과학자들의 경우가 그렇다는 것을 강조할 수 있습니다. 263 00:14:39,591 --> 00:14:43,326 과학 문화가 변화할 수 있는 것은 264 00:14:43,326 --> 00:14:47,930 이런 대화를 통해서 입니다. 여러분이 과학자가 아니라도, 265 00:14:47,930 --> 00:14:50,764 다른 일들도 해주실 수 있는데요, 266 00:14:50,764 --> 00:14:54,514 우리가 자극제 구실을 해서, 267 00:14:54,514 --> 00:14:58,320 과학을 공개적으로 만들 수 있는 한가지 가장 중요한 것은 268 00:14:58,320 --> 00:15:03,591 사람들 사이에 공개 과학에 대한 이슈와 269 00:15:03,591 --> 00:15:08,514 그것의 중요성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 수준을 만들어 내는 것입니다. 270 00:15:08,514 --> 00:15:11,410 그런 일반적인 인식이 있으면 271 00:15:11,410 --> 00:15:15,446 과학 사회는 필연적으로, 대중에 의하여 272 00:15:15,446 --> 00:15:19,063 전체적으로 옳은 방향으로 이끌릴 것입니다. 273 00:15:19,063 --> 00:15:20,499 여러분들이 하실 수 있는 간단한 일들도 있습니다. 274 00:15:20,499 --> 00:15:22,375 과학을 하는 친구들과 지인들에게 275 00:15:22,375 --> 00:15:24,263 그들이 과학을 더 공개적으로 하도록 276 00:15:24,263 --> 00:15:27,145 이야기도 하고 요구도 하는 겁니다. 277 00:15:27,145 --> 00:15:30,045 혹은 여러분들의 상상력과 개인적인 힘을 사용하여 278 00:15:30,045 --> 00:15:32,629 다른 곳에서도 인식 수준을 높여가면 됩니다. 279 00:15:32,629 --> 00:15:35,291 제가 말씀드리고 잇는 것은 그저 과학자들이 해야할 일들만이 아니라 280 00:15:35,291 --> 00:15:37,095 연구비를 받는 단체도 해야 할 일들이며 281 00:15:37,095 --> 00:15:39,915 대학과 정부가 해야할 일들입니다. 282 00:15:39,915 --> 00:15:43,774 여러분들이 그 모든 것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283 00:15:43,774 --> 00:15:48,460 우리 사회는 근본적인 질문을 마주하고 잇습니다: 284 00:15:48,460 --> 00:15:51,599 우리의 과학자들이 공유하고 285 00:15:51,599 --> 00:15:55,346 증진해야 할 지식이 무엇인가? 하는 것입니다. 286 00:15:55,346 --> 00:15:58,493 과거에 해왔던 대로 계속할 것인지 287 00:15:58,493 --> 00:16:02,666 아니면 문제를 해결하는 새로운 방식으로 진보하고 288 00:16:02,666 --> 00:16:06,645 전체적으로 과학의 과정을 가속할 수 있는 289 00:16:06,645 --> 00:16:10,121 새로운 류의 과학을 받아들일 것인가? 하는 문제 입니다. 290 00:16:10,121 --> 00:16:13,911 제 바램은 우리가 공개 과학을 291 00:16:13,911 --> 00:16:16,196 받아들여, 발견이라는 것 자체를 292 00:16:16,196 --> 00:16:20,520 재발명하는 기회를 잡는 것 입니다. 293 00:16:20,520 --> 00:16:24,283 감사합니다. (박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