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00:00:06,018 --> 00:00:12,500 독자들이 실화와 배경을 알게되면 책에 대한 이해가 달라져 2 00:00:12,500 --> 00:00:18,310 책을 더 잘 이해하게 된다고 생각해요. 글을 쓸 때 무언가 발생하기 때문인데요, 3 00:00:18,310 --> 00:00:24,989 페이지에 글을 쓰는 동안 실제 주체에 큰 변화가 일어나는 거죠. 4 00:00:24,989 --> 00:00:31,226 아버지의 자살에 대해 글을 쓸 때, 십년 동안 작업했지만 5 00:00:31,226 --> 00:00:36,143 어떻게 써야 할지 몰랐어요. 처음엔 곧이 곧대로 썼죠. 아버지가 돌아가신 걸 6 00:00:36,143 --> 00:00:38,821 알게 되고 온 가족이 슬퍼한 얘기를요. 도저히 못 읽게 되더라구요. 7 00:00:38,821 --> 00:00:44,685 그러다, 책 중반부에 와서 단편소설을 쓰기 시작했어요. 8 00:00:44,685 --> 00:00:50,016 반 정도 썼을때, 놀랍게도 모든 것이 달라졌어요. 글을 쓰던 당시에는 9 00:00:50,016 --> 00:00:55,066 미처 예상하지 못했던 일이었죠. 다음날, 정신을 차리고 소설의 내용을 10 00:00:55,066 --> 00:01:00,830 짧게 줄이고 처음 계획대로 책을 쓰면서 그때까지 썼던 글을 다시 읽어봤어요. 11 00:01:00,830 --> 00:01:07,268 마치 처음 읽는 글 같았고, 제가 썼지만 패턴이 있다는 걸 알게 됐죠. 12 00:01:07,268 --> 00:01:10,928 제가 보지 못했던 순간까지 연결되어 있었고, 13 00:01:10,928 --> 00:01:17,385 그 순간 글쓰기에 대한 생각이 모두 바꼈죠. 그때부터 이 소설이 잘 풀리게 14 00:01:17,385 --> 00:01:22,304 됐어요. 그 전에는 힘들고 계획 없이 글을 썼죠. 저는 독자에게 이야기 배경을 15 00:01:22,304 --> 00:01:28,064 숨김없이 다 얘기해요. 그래서 독자들에게 이렇게 말해요. 16 00:01:28,064 --> 00:01:34,451 아버지는 제가 열 세 살 때 자살하셨어요. 알라스카에서 일년 동안 같이 살자고 17 00:01:34,451 --> 00:01:41,067 하셨었는데 제가 싫다고 했었어요. 그리고 머지않아 자살하셨죠. 18 00:01:41,067 --> 00:01:46,764 그래서 제가 아버지와 아들이 일년 동안 타지에서 지내는 이야기를 쓸 때가 19 00:01:46,764 --> 00:01:51,664 제가 아버지와 함께 다시 일년 간 같이 보낼 수 있는 또 다른 기회였죠. 20 00:01:51,664 --> 00:01:57,933 글을 쓰던 당시엔 몰랐어요. 아버지와 함께 보낼 시간을 다시 얻게 된다는 21 00:01:57,933 --> 00:02:01,429 생각이 전혀 들지않았거든요. 소설에는 굉장한 힘이 있는것 같아요. 22 00:02:01,429 --> 00:02:06,066 알아차리지 못하는 때에도 패턴이 있죠. 소설의 배경에서 어느 대목이 실화인지를 23 00:02:06,066 --> 00:02:12,177 알 때 비로소 이러한 패턴을 인지하죠. 그래서 저는 항상 독자에게 무엇이 24 00:02:12,177 --> 00:02:18,344 실화이고 무엇이 허구인지를 얘기해요. 왜냐면 저는 작가의 경험을 토대로 한 25 00:02:18,344 --> 00:02:23,265 소설에 관심이 많거든요. 무의식중에 우리는 과거 안 좋았던 일을 좋았던 일로 26 00:02:23,265 --> 00:02:27,760 바꾸고, 다시 재 구성해서 용서를 구하고자 하죠. 27 00:02:27,760 --> 00:02:33,382 저도 그랬던것 같아요. 책을 통해 아버지의 절망에 더 가까이 다가갔고 28 00:02:33,382 --> 00:02:37,428 마침내 아버지를 이해하고 마지막 순간이 어땠을 지를 공감할 수 있었어요. 29 00:02:37,428 --> 00:02:40,929 그게 제가 하고자 했던 거예요. 아버지에 관한 다른 단편소설에서 30 00:02:40,929 --> 00:02:44,683 저는 겁쟁이였어요. 잘 썼지만 소심했죠. 아버지의 절망을 헤아리지 31 00:02:44,683 --> 00:02:49,334 못했어요. 이번 소설에서는 아버지의 마지막 순간까지 다루려고 했어요. 32 00:02:49,334 --> 00:02:53,296 그러고 나면 아버지의 마지막 순간을 더 잘 이해할 수 있으리라 생각했죠. 33 00:02:53,296 --> 00:02:57,417 그런데, 소설의 중반부에서 주인공 소년이 자살을 해요. 소년의 아버지가 34 00:02:57,432 --> 00:03:02,623 자살 충동을 느끼고 총을 건네자 소년은 그 총을 바라보죠. 35 00:03:02,623 --> 00:03:07,175 그러자 저는 소년이 자기 머리에 총을 쏠 거라는 생각이 들었어요. 36 00:03:07,175 --> 00:03:13,431 그 땐 몰랐는데 몇 년 후에 왜 그랬는지 알게 됐어요. 일종의 저의 복수였던 거죠. 37 00:03:13,431 --> 00:03:17,846 한편으론 정신적인 복수였어요. 수년간 아버지의 자살이 마음의 짐이었거든요. 38 00:03:17,846 --> 00:03:24,710 책에서는 소년이 자살을 하고, 아버지가 죽은 소년을 어깨에 메고 다녀요. 39 00:03:24,710 --> 00:03:30,499 이섬, 저섬으로요. 소설을 통해 저는 아버지가 제 몸을 짊어지시게 한거죠. 40 00:03:30,499 --> 00:03:37,264 물론, 당시에는 몰랐고, 몇 년 후에야 그것이 일종의 복수였다는 걸 알았죠. 41 00:03:37,264 --> 00:03:43,592 두 편의 '자살의 전설'에서 주요 관계가 부자관계이고 소년이 주인공이죠. 42 00:03:43,592 --> 00:03:47,881 후속편인 '카리부 섬'에는 부부사이가 주요 관계이고 주인공은 아이린이예요. 43 00:03:47,881 --> 00:03:54,224 그리고, 소년의 아버지와 아이린의 남편 게리가 악역이예요. 소년과 아이린은 44 00:03:54,224 --> 00:04:00,597 이들에게서 유사한 압박을 받아요. 소설 곳곳에서 다른 형태로 등장하죠. 45 00:04:00,597 --> 00:04:06,623 만약 이 둘 남편과 게리가 자연으로 돌아간다면 더 나은 사람이 될 것 같아요. 46 00:04:06,623 --> 00:04:11,826 그리고 자신의 길을 찾겠죠. 소년의 아버지의 경우 자신의 문제에서 47 00:04:11,826 --> 00:04:16,678 벗어나 절망의 길에서 벗어나게 될 거라 생각해요. 특히 여자문제에서요. 48 00:04:16,678 --> 00:04:21,703 아내의 외도로 파탄난 첫 번째와 두 번째 결혼생활에서의 절망에서 벗어나고 49 00:04:21,703 --> 00:04:23,762 다시금 되돌리고 싶어하는 거죠. 50 00:04:23,762 --> 00:04:30,923 게리가 원하는 바는 약간 달라요. 사실 게리는 항상 혼자라고 생각해서 51 00:04:30,923 --> 00:04:38,749 가정을 꾸렸음에도 혼자이고 싶어하죠. 가정을 꾸리는 것이 52 00:04:38,749 --> 00:04:44,180 자신의 좋은 모습이자 남자다운 모습이라 생각하고, 바깥 세상과 소통하려 하면서 53 00:04:44,180 --> 00:04:48,674 자연에 빠지게 되는 거죠. 이러한 바램은 영국 낭만파 시에서 착안하고 54 00:04:48,674 --> 00:04:55,220 미국의 초월론적 사상에서 생각해 낸 거죠. 큰 상상력을 자연의 장엄함에 55 00:04:55,220 --> 00:05:00,348 연결하는 거죠. 이 둘은 동일해요. 자연으로 돌아가면 순수함, 동심을 찾죠. 56 00:05:00,348 --> 00:05:05,018 전 이걸 믿지는 않아요. 자연에 있을때, 우리는 거울을 보게된다고 생각해요. 57 00:05:05,018 --> 00:05:09,763 실제보다 커보이게 하는 거울이죠, 마음속에 두러움이 있다면 58 00:05:09,763 --> 00:05:12,820 자연에서는 더 큰 두러움이 되는거죠. 왜냐면 증폭되어 나타나니까요. 59 00:05:12,820 --> 00:05:18,073 전 더이상 꿈 꾸지않아요. 믿지 않으니까요. 재밌는 것은 제 삶은 꿈을 60 00:05:18,073 --> 00:05:22,929 추구하는 방향으로 간다는 거예요. 집이 뉴질랜드 해안가 언덕 위에 있어요. 61 00:05:22,929 --> 00:05:29,013 등산 및 윈드서핑 하고 몇개월은 터키 해안가 보트에서 지내기도 해요. 62 00:05:29,013 --> 00:05:34,675 아름다운 작은 해안에서요. 안식과 평안을 주로 자연에서 찾죠. 63 00:05:34,675 --> 00:05:40,932 주로 거의 혼자 지내요. 그런데, 꿈 같은건 믿지 않아요. 64 00:05:40,932 --> 00:05:46,679 한 때는 산사람이 되고 싶었어요. 산에 들어가서 65 00:05:46,679 --> 00:05:52,680 동굴같은 곳에서 살고 싶었죠. 그런 점에서 배낭 여행도 좋아해요. 66 00:05:52,680 --> 00:05:58,456 근데 제가 혼자서는 2-3일를 버티지 못한다는 걸 깨달았죠. 그러고 나면 67 00:05:58,456 --> 00:06:07,841 정말 외로워지고 사람이 그리워요, 자연에서 혼자 살만한 사람이 아닌거죠. 68 00:06:07,841 --> 00:06:12,600 세계 일주를 혼자하러고 5개월 동안 배를 직접 혼자 만든 적도 있었어요. 69 00:06:12,600 --> 00:06:17,760 열심히 했죠, 필요한 음식과 생필품도 챙겼죠. 70 00:06:17,760 --> 00:06:21,538 그런데 배의 주축이 엉성해서 중도 포기했죠. 71 00:06:21,538 --> 00:06:25,702 계획을 세우고 실천하려고 노력했죠. 워낙 배 타는걸 좋아해서 72 00:06:25,702 --> 00:06:29,464 처음에는 기대감에 부풀었지만 남는건 절망과 두려움이었죠 73 00:06:29,464 --> 00:06:35,222 오랜시간 혼자 지낸다는 생각은 무언가 아주 잘못된 일인거 같아요. 74 00:06:35,222 --> 00:06:41,089 전 무의식적으로 글을 써요. 삶을 살아가는 방식도 그렇구요. 75 00:06:41,089 --> 00:06:46,842 그러다보니 안좋은 일이 반복적으로 생기고 실수가 되풀이되기도 하죠. 76 00:06:46,842 --> 00:06:50,256 어느 정도는 제가 무엇을 하고 있는지 제대로 인지하지 않아서예요. 77 00:06:50,256 --> 00:06:56,223 '자살의 전설'을 출판할 길이 막혔을 때, 수 년간 배를 타면서 살았어요. 12년이나 78 00:06:56,223 --> 00:07:00,991 출판을 못했죠. 그래서 선장이 된거죠. 아버지의 인생을 따라하고 있었던거죠. 79 00:07:00,991 --> 00:07:06,421 아버지는 치과 의사셨는데 그 일을 좋아하시지 않았어요. 그래서 알라스카로 80 00:07:06,421 --> 00:07:10,460 가서 어부가 되셨죠. 만족하셨죠, 하지만 당신께는 좋은 결정이 아니였던거죠. 81 00:07:10,460 --> 00:07:14,924 제가 바다에서 지낼 땐 아버지의 발자취를 따라간다는 생각은 못했어요. 82 00:07:14,924 --> 00:07:20,343 그리고 뭘하고 있는지 인지하지 못했죠. 그래서 제가 아는 방식대로 살았고 83 00:07:20,343 --> 00:07:25,864 무언가에 이끌려 바다로 갔고 재난과 사고를 당했죠. 84 00:07:25,864 --> 00:07:30,006 소설 속 주인공처럼요. 제가 글 쓰는걸 좋아하는 이유는 종교생활 같아서예요. 85 00:07:30,006 --> 00:07:35,845 매일 아침 몇 시간씩 명상하는 것처럼 이전에 썼던 20-30페이지를 읽죠. 86 00:07:35,845 --> 00:07:38,703 새로 써야 할 대목까지요. 87 00:07:38,703 --> 00:07:46,573 그러면 몇 시간 후 그 날 읽었던 2-3페이지가 주마등처럼 떠올라요. 88 00:07:46,573 --> 00:07:52,842 일종의 몰입이죠. 무의식의 세계죠. 저는 무신론자여서 신앙이 없어요. 89 00:07:52,842 --> 00:07:59,626 저는 글쓰기라는게 우리의 이러한 갈망을 채워주는 것 같아요. 90 00:07:59,626 --> 00:08:03,848 우리는 모두 종교와 같은 무언가를 목말라하고 갈망한다고 생각해요. 91 00:08:03,848 --> 00:08:08,470 그런 점에서 글쓰기는 저에게 매우 만족감을 주는 일이 되었죠. 92 00:08:08,470 --> 00:08:12,303 저는 문장구조을 딱히 염두에 두고 글을 쓰지는 않아요. 93 00:08:12,303 --> 00:08:17,005 문장이 빨리 생각나면 생각나는대로 빠르게 내려가요. 그래서 글을 빨리 쓰는편이예요. 94 00:08:17,005 --> 00:08:21,675 책도 첫원고 그대로 출판되는 편이죠. 출판 후 책에 대해선 생각하지 않아요. 95 00:08:21,675 --> 00:08:27,302 언어 공부는 매일 하는데요. 지금은 고어로 된 늑대인간을 번역 중이예요. 96 00:08:27,302 --> 00:08:34,843 수천년 전 프랑스어 차용되기 전 고어의 형태로 쓰였죠. 97 00:08:34,843 --> 00:08:45,822 수업에서 은율과 구문론대해 생각해 봐요. 영어 역사의 언어적인 관점도 가르쳐요. 98 00:08:45,822 --> 00:08:51,258 소설의 스타일에 대해 가르칠 때, 이 부분을 많이 생각하죠. 99 00:08:51,258 --> 00:08:56,567 글을 쓸 떈 이런 점을 생각않해요. 저에게 글쓰기는 리드미컬한 작업이거든요. 100 00:08:56,567 --> 00:09:00,612 전체 텍스트가 한 눈에 보이고, 산문의 운율을 가져야 하는거죠. 101 00:09:04,657 --> 00:09:08,702 이게 바로 제가 추구하는 거예요. 그래서 전 집필 전, 그 전 20장을 읽는 거예요. 102 00:09:08,702 --> 00:09:10,861 그래야 새 글에서 리듬감이 생기거든요. 103 00:09:10,861 --> 00:09:16,750 글쓰기는 정말 치유적이예요. 치료 이상의 효과가 있죠. 글쓰기와 치료는 모두 104 00:09:16,750 --> 00:09:22,176 진실에 관한것이지만 글쓰기는 아름다움에 관한 것이기도 하고 치료에는 없는 105 00:09:22,176 --> 00:09:26,709 심미적 목표도 있어요. 그런 목표가 없는 글쓰기는 그저 헛소리에 불과하고 106 00:09:26,709 --> 00:09:32,703 그저 치료일 뿐이죠. 치료가 가치가 없다는게 아니라 이런 글에는 예술적, 심미적 107 00:09:32,703 --> 00:09:38,786 목표가 없죠. 놀라운 건 제가 수 년간 아버지를 생각하고 아버지의 죽음에 108 00:09:38,786 --> 00:09:44,257 관해 글을 쓰면서도 마지막 순간을 아직까지도 잘 이해하지 못하고 109 00:09:44,257 --> 00:09:48,583 있다는 거예요. 처음부터 계속요. 아버지 삶과 자살의 연유를 살펴보고 110 00:09:48,583 --> 00:09:55,340 무엇이 아버지의 인생에 종지부를 찍게 했는지 이해하게 됐죠. 111 00:09:55,340 --> 00:09:59,003 하지만 막을수는 없었어요. "이래서 그러셨던거구나" 라고 단정할 수 없었죠. 112 00:09:59,003 --> 00:10:02,684 아버지는 자살을 선택하실 수 도, 그렇지 않을 수 도 있었을 거예요. 113 00:10:02,684 --> 00:10:05,382 전 아버지의 자살을 잊거나 기억에서 도려낼 수 없을거예요. 114 00:10:05,382 --> 00:10:09,587 학교총기 난사사건, 대량살상에 관한 책도 썼어요. 범인 프로파일도 했죠. 115 00:10:09,587 --> 00:10:14,753 범인의 정신건강 기록과 이메일 등 1500장이나 되는 파일을 봤어요. 116 00:10:14,753 --> 00:10:21,980 모든 정보가 있었지만, 총기 난사 및 자살을 필연적으로 볼 수 없었어요. 117 00:10:21,980 --> 00:10:26,003 법죄로 치달을 수 있는 사건이 종종 있어 필연적으로 볼 수 있는 부분도 있어요. 118 00:10:26,003 --> 00:10:31,007 하지만 범인이 범죄를 저지를 수 밖에 없었다는 대목은 보지 못했어요. 119 00:10:31,007 --> 00:10:35,377 결국 범죄를 저지르지 않을 수도 있었던거죠. 이게 흥미롭죠. 소설에는 일종의 120 00:10:35,377 --> 00:10:41,344 열린 결말이 있어요. 최종 결론이 어떻게 날 지는 주인공만 알아요. 121 00:10:41,344 --> 00:10:46,642 우리는 그저 그럴듯한 결론을 예측할 수 있을 뿐이예요. 122 99:59:59,999 --> 99:59:59,999 이럴 수 도 있겠다고 납득할 만한 예측을 할 뿐인거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