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자들이 실제 이야기와 배경을 알게된다면 책을 달리 보게 되고, 더 잘 읽게 된다고 생각합니다. 왜냐하면 글을 쓰는 동안에서 무언가 일어나기 때문입니다. 페이지 위에서 실제 주체의 큰 변화가 일어나는 것이죠. 제가 아버지의 자살에 대해 책을 쓰고있을 당시, 십년이란 세월동안 작업했지만 뭘 써야하는지 잘 몰랐어요. 그리고 처음엔 너무 단적으로 글을 썼죠. 돌아가신 걸 알게 된 날 그리고 가족들 얼마나 슬퍼했는지에 대해 썼어요. 도저히 읽을수 없더라구요 그러다, 책 중간부에 단편소설을 쓰기 시작했어요. 중간정도 썼을때, 모든것이 변하는 아주 놀라운 일이 있었어요. 그때까지 그런 일이 있을거라 생각지 못했어요. 다음날, 단편소설을 제처두고 다시 책의 본문으로 돌아왔죠. 그리고 제가 그 전까지 썼던 페이지들을 다시 읽어보았어요. 제가 쓴 내용이였지만, 마치 처음 보는 글같았고, 제가 썼지만 내용에 패턴이 있다는 걸 처음 발견했어요. 제가 보지 못했던 순간까지 연결되어 있는거예요. 그리고 글쓰기에 대한 저의 생각이 통채로 바뀌었죠 그 책 내 최고의 페이지는 그 이후에 쓴거예요. 제가 힘들고 계획없이 썼을때였어요. 그래서 전 독자들에게 이야기의 배경에 대해 숨기는게 없다는 것을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전 독자들에게 제 아버지가 제가 13세 자살하셨다는 것과 아버지께서 제에게 알라스카에 와서 일년 같이 지내자고 부탁하셨지만 전 거절했어요. 이 후 곧 아버지께서 자살하셨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