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BVTT 00:00:06.018 --> 00:00:12.500 독자들이 실제 이야기와 배경을 알게된다면 책을 달리 보게 되고, 00:00:12.500 --> 00:00:18.310 더 잘 읽게 된다고 생각합니다. 왜냐하면 글을 쓰는 동안에서 무언가 일어나기 때문입니다. 00:00:18.310 --> 00:00:24.989 페이지 위에서 글을 쓰는 동안 실제 주체의 큰 변화가 일어나는 것이죠. 00:00:24.989 --> 00:00:31.226 제가 아버지의 자살에 대해 책을 쓰고있을 때, 십년동안 작업했지만 어떻게 써야 할지 잘 몰랐어요. 00:00:31.226 --> 00:00:36.143 처음엔 너무 단적으로 글을 썼죠. 아버지가 돌아가시고 가족 모두 얼마나 슬퍼했는지 00:00:36.143 --> 00:00:38.821 그런 것에 대해 썼어요. 도저히 못읽게 더라구요 00:00:38.821 --> 00:00:44.685 그러다, 책 중간부에 와서 단편소설을 쓰기 시작했어요. 00:00:44.685 --> 00:00:50.016 반 정도 썼을때, 모든것이 달라지는 놀라운 일이 있었어요. 그런 일이 있을거라고 00:00:50.016 --> 00:00:55.066 그때, 글을 쓰고 있을 당시엔 생각도 못했어요. 다음날, 정신을 차리고 00:00:55.066 --> 00:01:00.830 단편소설의 내용을 줄이고 처음 계획대로 책을 써나갔죠. 그리고 이전까지 쓴 내용을 다시 읽어봤어요. 00:01:00.830 --> 00:01:07.268 마치 처음 읽는 글 같았고, 제가 썼지만 패턴이 있다는 걸 발견했어요. 00:01:07.268 --> 00:01:10.928 제가 보지 못했던 순간까지 연결되어 있는거예요. 00:01:10.928 --> 00:01:17.385 그 순간, 글쓰기에 대한 저의 생각이 통채로 바뀌었죠 이 책의 최고 페이지는 00:01:17.385 --> 00:01:22.304 그런 전환이 있던 후예요. 힘들고 계획 없이 썼을때 였죠 그래서 전 독자들에게 이 책의 배경에 대해선 00:01:22.304 --> 00:01:28.064 숨기는게 없다는 것을 말씀드리고 싶어요. 전 독자들에게 알았으면 해요. 00:01:28.064 --> 00:01:34.451 아버지께서 제가 13세 자살하셨고 제에게 알라스카에 와서 일년 같이 지내자고 00:01:34.451 --> 00:01:41.067 부탁하셨지만 전 거절했고 이 후 곧 아버지께서 자살하셨어요. 00:01:41.067 --> 00:01:46.764 왜냐면 제가 아번지와 아들이 일년동안 타지에서 지내는 이야기를 쓰고 있을때, 00:01:46.764 --> 00:01:51.664 그때가 바로 제가 아버지와 함께 일년을 타지에서 일년을 같이 보낼 수 있는 기회였죠. 글을 쓰고 있을땐 몰랐어요. 00:01:51.664 --> 00:01:57.933 글을 쓰고 있을땐, 제가 아버지와 함꼐 일년을 보낼 기회를 다시 얻는다는 생각이 전혀 들지않았어요. 00:01:57.933 --> 00:02:01.429 소설 속에 굉장한 힘이 있는것 같아요. 00:02:01.429 --> 00:02:06.066 우리가 알아차리지 못하는 순간에도 패턴이 있어요. 독자가 이러한 패턴을 알라볼 수 있는 때는 소설의 00:02:06.066 --> 00:02:12.177 실화를 알았을 때죠. 그래서 저는 항상 독자에게 소설에서 어떤 부분이 실화이고 공상인지를 알려주고 하죠 00:02:12.177 --> 00:02:18.344 왜냐면, 전 작가의 과거 경험에 바탕을 둔 소설에 무척 관심이 많거든요. 00:02:18.344 --> 00:02:23.265 무의식중에 우리는 안좋았던 일을 좋았던 일로 00:02:23.265 --> 00:02:27.760 바꾸고, 다시 재구성해서 용서를 받으려고 하죠 00:02:27.760 --> 00:02:33.382 저도 그랬던것 같습니다. 책을 통해 아버지의 절망에 좀 더 가까이 다가갔고, 결국 00:02:33.382 --> 00:02:37.428 아버지를 그리고 마지막 가시는 길이 어떠했을지를 이해하게 되었습니다. 이게 제가 하고자 했던 겁니다 00:02:37.428 --> 00:02:40.929 왜냐면, 제가 아버지에 대해 쓴 다른 단편소설에서 전 제 자신이 겁쟁이같았더든요. 00:02:40.929 --> 00:02:44.683 잘 썼지만, 소심했죠. 소설들에서 아버지가 느낀 절망 근처에 가지 못했거든요. 00:02:44.683 --> 00:02:49.334 그래서 이번 소설에서 아버지의 마지막 순간, 자살하는 순간까지 다루려고 생각했어요 00:02:49.334 --> 00:02:53.296 마지막 순간을 쓸때, 아버지의 마지막 순간을 더 잘 이해할 수 있으리라 생각했죠. 00:02:53.296 --> 00:02:57.417 그런데, 소설의 중간부에서 소년이 자살을 하죠. 아버지가 소년에게 총을 건내주죠. 왜냐면 00:02:57.432 --> 00:03:02.623 아버지는 자살충동을 느끼고 있고, 소년은 아버지가 건낸 총을 바라보고 있죠. 그 순간 전 소년이 총을 자기머리에 00:03:02.623 --> 00:03:07.175 대고 쏠거라고 알았어요. 그땐 아무 생각도 없었어요. 이 후 몇 년이 지나서야 이해할 수 있었어요. 00:03:07.175 --> 00:03:13.431 그 순간과 무엇이 일어났었는지를요. 아시겠지만, 전 이것이 어느정도는 저의 복수였다는 걸 알수 있었죠. 00:03:13.431 --> 00:03:17.846 그리고 부분적으로는 정신적인 복수였어요. 수년동안 제가 아버지의 자살 짊어지고 살았더라고요. 00:03:17.846 --> 00:03:24.710 그래서 제 책에서 소년이 자살을 하고, 아버지가 죽은 소년을 어깨에 매고 여러곳을 다녀요. 00:03:24.710 --> 00:03:30.499 이 섬에서 저 섬으로. 그래서 전 소설을 통해 아버지가 얼마간 제 몸을 짊어지게 했어어요. 00:03:30.499 --> 00:03:37.264 물론, 전 소설을 쓸 당시는 인지하지 못했고, 몇 년이 지난후에야 이게 어느정도는 복수였다는 걸 알게 됐죠 00:03:37.264 --> 00:03:43.592 2권으로 쓴 '자살의 전설'에서 가장 많이 등장하는 인간관계가 아버지와 아들이고, 소년이 주인공이죠. 00:03:43.592 --> 00:03:47.881 후속편인 '카리부 섬'에는 주요 인간관계가 부부관계이고 주인공은 아이런이죠. 00:03:47.881 --> 00:03:54.224 그리고, 악역들이 소년의 아버지와 아이런의 남편인 게리예요. 여러분이 생각하듯이, 소년과 아이런에게 00:03:54.224 --> 00:04:00.597 압박을 하는 부분에 있어서 아주 비슷하죠. 이런 장면이 소설 곳곳에 등장합니다. 00:04:00.597 --> 00:04:06.623 이 둘에게서 느껴지는 느낌이 있는데요, 이 들이 만약 아생으로 또는 자연으로 돌아갈 기회가 주어진다면 00:04:06.623 --> 00:04:11.826 더 나은 사람들이 될것 같다는 거죠. 길을 찾을것이죠. 소년의 아버지는 자신이 자신의 문제에서 도망칠 수 00:04:11.826 --> 00:04:16.678 있다는 것을 알게 될것이고, 그 결과, 절망은 사라지고 아버지는 절망에서 벗어나는 길을 찾게 될것입니다. 00:04:16.678 --> 00:04:21.703 여자문제에 대한 절망에서 벗어날것입니다. 특히, 아내의 외도로 인해 파탄난 첫번째 및 두번째 00:04:21.703 --> 00:04:23.762 결혼생활에 대해, 그리고 이것을 돌이키고 싶다는 생각에서 말이죠 00:04:23.762 --> 00:04:30.923 게리는 조금 다른 꿈을 가지고 있는데요. 사실 게리는 항상 혼자라고 생각해서 00:04:30.923 --> 00:04:38.749 결혼을 해서 아이도 낳고 했지만, 사실 혼자이고 싶어했죠. 그리고 가정을 꾸리는 것 00:04:38.749 --> 00:04:44.180 자신의 좋은 모습이고, 또한 남자의 겉모습일 것이라고 생각하고, 바깥세상과 소통하려고 하고 00:04:44.180 --> 00:04:48.674 자연이라 빠지게 됩니다. 이 꿈은 제가 영국 낭만파 시인들의 시에서 착안하고 00:04:48.674 --> 00:04:55.220 미국의 초월론자들을 통해 생각해 낸것입니다. 우리 크나큰 상상력을 장엄한 자연에 연결한 꿈이죠 00:04:55.220 --> 00:05:00.348 이 둘은 동일한 능력이예요. 어린시절로 돌아가면 이런 순수함을 찾을 수 있는거죠. 00:05:00.348 --> 00:05:05.018 전 이걸 믿지는 않아요. 자연 내에 있을때, 우리는 거울을 보게된다고 생각해요. 00:05:05.018 --> 00:05:09.763 실제보다 커보이게 하는 거울이죠, 마음속에 무서운 생각을 품고 있다면 00:05:09.763 --> 00:05:12.820 자연에서는 더 무서운 생각이 되는거죠. 왜냐면 증폭되어 나타나니까요. 00:05:12.820 --> 00:05:18.073 그래서 전 더이상 꿈 꾸지않아요. 믿지 않으니까요. 재밌는 것은 제 삶은 꿈을 00:05:18.073 --> 00:05:22.929 추구하는 방향으로 간다는 거예요. 집이 뉴질랜드 해안가 언덕 위에 있어요. 00:05:22.929 --> 00:05:29.013 등산 및 윈드서핑 하고 일년 중 몇개월은 터키 해안가 보트에서 지내기도 해요. 00:05:29.013 --> 00:05:34.675 해안을 따라 이어진 아름다운 작은 만이죠. 안식과 평안을 주로 00:05:34.675 --> 00:05:40.932 자연에서 찾죠. 주로 거의 혼자 지내요. 근데, 꿈 같은건 믿지 않아요. 00:05:40.932 --> 00:05:46.679 한 때는 산사람이 되고 싶었어요. 산에 들어가서 00:05:46.679 --> 00:05:52.680 동굴같은 곳에서 살고 싶었죠. 그런 점에서 배낭 여행도 좋아해요. 00:05:52.680 --> 00:05:58.456 근데 제가 혼자서는 2-3일를 버티지 못한다는 걸 깨달았죠. 혼자 지내고 나면 00:05:58.456 --> 00:06:07.841 정말 외로워지고 사람이 그리워요, 전 자연에서 혼자 살만한 사람이 아닌거죠. 00:06:07.841 --> 00:06:12.600 세계 일주를 혼자하러고 직접 배를 5개월 동안 혼자 만든 적도 있었어요. 00:06:12.600 --> 00:06:17.760 열심히 했죠, 필요한 음식과 생필품도 챙겼죠. 00:06:17.760 --> 00:06:21.538 그런데 배의 주축이 엉성해서 중도 포기했죠. 00:06:21.538 --> 00:06:25.702 계획을 세우고 실천하려고 노력했죠 근데 인정하건데 처음에는, 원악 배타는 00:06:25.702 --> 00:06:29.464 것을 좋아해서, 처음에는 기대감에 부풀었지만 남는건 절망과 두려움이었죠 00:06:29.464 --> 00:06:35.222 오랜시간 혼자 지낸다는 생각은 무언가 아주 잘못된 일인거 같아요. 00:06:35.222 --> 00:06:41.089 전 무의식적으로 글을 써요. 삶을 살아가는 방식도 그렇구요. 00:06:41.089 --> 00:06:46.842 그러다보니 안좋은 일도 반복적으로 생기고 실수를 여러번 되풀이 하기도 했죠. 00:06:46.842 --> 00:06:50.256 어느정도는 제가 무엇을 하고 있는지 재대로 인지하지 않아서예요. 00:06:50.256 --> 00:06:56.223 'Legend of a suicide'를 출판의 길이 막혔을때, 수년간 배의 선장으로 일했어요. 12년이나 00:06:56.223 --> 00:07:00.991 출간을 못했었거든요. 그래서 바다로 가서 선장이 됐죠. 아버지의 인생을 복기했어요. 00:07:00.991 --> 00:07:06.421 아버지는 치과 의사셨는데 당신의 일이 적성에 맞지 않았죠, 그래서 알라스카로 가서 어부가 되셨어요. 00:07:06.421 --> 00:07:10.460 정말 행복해하셨죠, 하지만 아버지에겐 안 좋은 일이었어요, 결국 안좋게 끝났으니까요. 00:07:10.460 --> 00:07:14.924 제가 바다에 갔을 때는 제가 아버지의 인생을 복기한다고 생가하지 못했어요. 00:07:14.924 --> 00:07:20.343 저는 그 곳에 무의식적으로 갔고 00:07:20.343 --> 00:07:25.864 재난과 기차 전복을 겪었죠, 소설 속 제 인물처럼요. 00:07:25.864 --> 00:07:30.006 제가 글쓰기를 좋아하는 이유는 글쓰기가 저에게는 종교 활동 같아서예요. 매일 아침 00:07:30.006 --> 00:07:35.845 몇 시간 동안 전에 썼던 20-30페이지를 잃으며 명상을 하죠. 00:07:35.845 --> 00:07:38.703 새로 써야 할 대목까지 읽으면서요. 00:07:38.703 --> 00:07:46.573 그러고나면 몇 시간 동안 그 날의 2-3페이지가 순식간에 떠올라요. 00:07:46.573 --> 00:07:52.842 그러한 과정에서 일종의 몰입, 무의식이 작용하죠. 물론 저는 무신론자이고 00:07:52.842 --> 00:07:59.626 종교적 신념도 없어요. 하지만 글쓰기라는게 우리가 가지고 있는 갈망을 채워주는 것 같아요. 00:07:59.626 --> 00:08:03.848 우리는 모두 종교와 같은 무언가에 대해 목마름과 갈망이 있다고 생각해요. 00:08:03.848 --> 00:08:08.470 글쓰기는 그런 점에서 저에게 매우 충만하게 해 주는 일이었죠. 00:08:08.470 --> 00:08:12.303 저는 글을 쓸 때 문장을 딱히 염두에 두지 않아요. 00:08:12.303 --> 00:08:17.005 그저 매우 빨리 떠오를 뿐이예요, 그러면 할 수 있는 한 빨리 글을 쓰곤해요. 00:08:17.005 --> 00:08:21.675 그리고 첫 번째 버전으로 책을 출간하죠. 그 이후론 책에 관해 생각하지 않아요. 00:08:21.675 --> 00:08:27.302 하지만, 매일 언어를 공부하는데요, 매일 고대 영어로 쓰인 늑대인간을 번역하고 있어요. 00:08:27.302 --> 00:08:34.843 영어에 프랑스어가 차용되기 수천년 전 형태를 살펴 보면서요. 00:08:34.843 --> 00:08:45.822 그리고 제 수업에서 meter와 구문론에 관해 생각하죠, 저는 영어 역사를 언어적인 관점에서 가르치는데요. 00:08:45.822 --> 00:08:51.258 허구에서의 스타일을 가르칠 때, 이 부분을 많이 생각하죠. 00:08:51.258 --> 00:08:56.567 하지만 실제로 글을 쓸 땐 이런 점을 생각하지 않아요 저에게 글쓰기는 매우 율동적이거든요. 00:08:56.567 --> 00:09:00.612 전체 텍스트가 풍경속의 장면을 통해, 운율 속의 리듬을 통해 합쳐지죠 00:09:04.657 --> 00:09:08.702 그게 제가 추구하는 바예요, 그리고 그래서 글 쓰기 전에 이전 20페이지를 읽는 거예요. 00:09:08.702 --> 00:09:10.861 그래야 새 글에서 그 리듬이 연결이 되거든요. 00:09:10.861 --> 00:09:16.750 글을 쓰는 일은 정말 치유적인 성격이 있어요. 치료 이상이죠, 글쓰기와 치료는 모두 진실에 관한것이지만 00:09:16.750 --> 00:09:22.176 글쓰기는 아름다움에 관한 것이기도 하고, 치료에서는 찾을 수 없는 미적 목표가 있기도 해요. 00:09:22.176 --> 00:09:26.709 그리고 그러한 미적 목표가 없는 글쓰기는 그저 쓰레기에 불과하죠, 단지 치료일 뿐이예요. 00:09:26.709 --> 00:09:32.703 치료가 가치가 없다는게 아니라 그런 글에는 예술적, 미적 목적이 없다는 거죠. 00:09:32.703 --> 00:09:38.786 그래서 제가 수 년간 아버지에 관해 생각하고 아버지의 죽음에 관해 글을 쓰며 00:09:38.786 --> 00:09:44.257 그 어느 때보다도 아버지가 자살하시던 순간을 맨 처음부터 잘 이해하고 있다는걸 깨닫고 놀랐어요. 00:09:44.257 --> 00:09:48.583 아버지 삶의 패턴을 보게 됐고 어떤 연유로 자살을 선택하시게 됐는지 00:09:48.583 --> 00:09:55.340 무엇이 아버지를 그러한 순간에 이르게 했는지, 하지만 필연적인 연결 고리를 찾을 순 없었어요. 00:09:55.340 --> 00:09:59.003 "그래서 이러셨던거군" 이라고 단정할 수 없었어요. 00:09:59.003 --> 00:10:02.684 항상 자살을 선택하실 수 도, 삶을 계속 하는 것을 선택하실 수 도 있었을 거예요. 00:10:02.684 --> 00:10:05.382 그래서 그 부분을 뺄 수 없었습니다. 00:10:05.382 --> 00:10:09.587 이것 말고도 학교 총기 난사 사건에 관한 책도 썼어요. 대량 살상의 한 장본인을 프로파일했었죠. 00:10:09.587 --> 00:10:14.753 가해자의 모든 정신 건강 기록, 이메일 등 파일을 1,500 개나 봤어요. 00:10:14.753 --> 00:10:21.980 하지만 그 모든 정보에도 불구하고 그 총기 난사와 자살을 필연적이라 할 수 있는 시점에 다다를 수 없었어요. 00:10:21.980 --> 00:10:26.003 가능한 순간들이 있었고, 그 순간으로 다다르는 여러 사건들이 있었어요. 00:10:26.003 --> 00:10:31.007 하지만 그가 반드시 그래야만 했던 지점으로는 다다르지 못했어요. 안그러는 쪽을 택할 수 도 있었으니까요. 00:10:31.007 --> 00:10:35.377 그 부분이 저에게는 흥미로웠어요. 허구에서는 일종의 열린 결말이 있어요. 00:10:35.377 --> 00:10:41.344 우리는 주인공의 마지막 결정을 내려야만 했던 순간까지 다다를 수는 없어요. 00:10:41.344 --> 00:10:46.642 그저 그럴 수 도 있겠다고, 99:59:59.999 --> 99:59:59.999 납득이 될 만한 지점까지 근접할 수 있을 뿐이예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