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자들이 실제 이야기와 배경을 알게된다면
책을 달리 보게 되고,
더 잘 읽게 된다고 생각합니다. 왜냐하면
글을 쓰는 동안에서 무언가 일어나기 때문입니다.
페이지 위에서 글을 쓰는 동안 실제 주체의
큰 변화가 일어나는 것이죠.
제가 아버지의 자살에 대해 책을 쓰고있을 때,
십년동안 작업했지만 어떻게 써야 할지 잘 몰랐어요.
처음엔 너무 단적으로 글을 썼죠. 아버지가
돌아가시고 가족 모두 얼마나 슬퍼했는지
그런 것에 대해 썼어요.
도저히 못읽게 더라구요
그러다, 책 중간부에 와서
단편소설을 쓰기 시작했어요.
반 정도 썼을때, 모든것이 달라지는 놀라운
일이 있었어요. 그런 일이 있을거라고
그때, 글을 쓰고 있을 당시엔 생각도 못했어요.
다음날, 정신을 차리고
단편소설의 내용을 줄이고 처음 계획대로 책을 써나갔죠.
그리고 이전까지 쓴 내용을 다시 읽어봤어요.
마치 처음 읽는 글 같았고, 제가 썼지만
패턴이 있다는 걸 발견했어요.
제가 보지 못했던 순간까지 연결되어
있는거예요.
그 순간, 글쓰기에 대한 저의 생각이 통채로 바뀌었죠
이 책의 최고 페이지는
그런 전환이 있던 후예요. 힘들고 계획 없이 썼을때 였죠
그래서 전 독자들에게 이 책의 배경에 대해선
숨기는게 없다는 것을 말씀드리고 싶어요.
전 독자들에게 알았으면 해요.
아버지께서 제가 13세 자살하셨고
제에게 알라스카에 와서 일년 같이 지내자고
부탁하셨지만 전 거절했고
이 후 곧 아버지께서 자살하셨어요.
왜냐면 제가 아번지와 아들이 일년동안 타지에서 지내는
이야기를 쓰고 있을때,
그때가 바로 제가 아버지와 함께 일년을 타지에서 일년을
같이 보낼 수 있는 기회였죠. 글을 쓰고 있을땐 몰랐어요.
글을 쓰고 있을땐, 제가 아버지와 함꼐 일년을 보낼 기회를
다시 얻는다는 생각이 전혀 들지않았어요.
소설 속에 굉장한 힘이 있는것 같아요.
우리가 알아차리지 못하는 순간에도 패턴이 있어요.
독자가 이러한 패턴을 알라볼 수 있는 때는 소설의
실화를 알았을 때죠. 그래서 저는 항상 독자에게 소설에서
어떤 부분이 실화이고 공상인지를 알려주고 하죠
왜냐면, 전 작가의 과거 경험에 바탕을 둔 소설에
무척 관심이 많거든요.
무의식중에 우리는 안좋았던 일을 좋았던 일로
바꾸고, 다시 재구성해서 용서를 받으려고 하죠
저도 그랬던것 같습니다. 책을 통해 아버지의
절망에 좀 더 가까이 다가갔고, 결국
아버지를 그리고 마지막 가시는 길이 어떠했을지를
이해하게 되었습니다. 이게 제가 하고자 했던 겁니다
왜냐면, 제가 아버지에 대해 쓴 다른 단편소설에서
전 제 자신이 겁쟁이같았더든요.
잘 썼지만, 소심했죠. 소설들에서 아버지가 느낀
절망 근처에 가지 못했거든요.
그래서 이번 소설에서 아버지의 마지막 순간,
자살하는 순간까지 다루려고 생각했어요
마지막 순간을 쓸때, 아버지의 마지막 순간을
더 잘 이해할 수 있으리라 생각했죠.
그런데, 소설의 중간부에서 소년이 자살을 하죠.
아버지가 소년에게 총을 건내주죠. 왜냐면
아버지는 자살충동을 느끼고 있고, 소년은 아버지가 건낸
총을 바라보고 있죠. 그 순간 전 소년이 총을 자기머리에
대고 쏠거라고 알았어요. 그땐 아무 생각도 없었어요.
이 후 몇 년이 지나서야 이해할 수 있었어요.
저는 사실 이걸 믿지 않아요. 우리가 자연으로 들어갈 때
거울을 발견한다고 생각합니다.
증폭하는 거울이죠, 그래서 우리 마음 속에서 무언가
무서운 생각을 하고 있다면
우리가 자연 속에서 그것보다 더 무서운 것을
발견하게 돼죠. 증폭되어 우리에게 재투영되니까요.
그래서 저는 그런 꿈은 더 없어요. 믿을 수가 없거든요
그런데 재밌는 점은 제 삶은 그런 꿈을 추구하는 방향으로
살고 있죠. 저희 집은 뉴질랜드의 바다가 보이는 언덕
위에 있어요.
자전거도타고 윈드서핑도 하고 일년 중 한동안은
터키에서 보트를 타고 지내기도 해요.
아름다운 작은 만의 해안을 따라 보트를 타며
자연에서 그리고 많은 시간 그곳에서
마음의 위안과 평온을 찾죠.
하지만 그럼에도 그런 꿈은 없어요.
한대는 산 속에서 생활하고 싶었었어요,
언덕을 오르고
동굴에서 생활하는 그런 삶이요.
그런 점에서 배낭 여행도 좋아하고요.
하지만 이내 저는 혼자서는 2-3일 이상은
지내지 못함을 깨달았어요. 그러고 나면
정말 외로워지고 사람이 그리워져요,
저는 자연 속에서 혼자 지낼만한 사람이 아닌거죠.
5개월 정도 배를 타고 세계 일주를 하러 직접 배를
만든 적도 있었어요.
정말 열심히 했죠, 식료품과 생필품도 챙겼고요.
하지만 충분히 꽃혔던 건 아니라 그만 두었죠.
그러니 계획은 세웠고 그러한 생활을
정말 꿈꾸고
항해하는 것도 좋아지만, 절망과 두려움이 더 크다는걸
인정할 수 밖에 없네요.
그렇게 오랫 동안 홀로 된다는 생각은
정말 안 좋은 기분이 들었었어요.
저는 글쓰기를 무의식적으로 해요. 삶을 살아가는
방식도 마찬가지였어요.
그러다보니 반복적으로 안좋은 일이 생기고
같은 실수를 두 세번 되풀이 하기도 했죠.
부분적으로는 제가 하는 일의 목적의식이
분명하지 않아서예요.
'Legend of a suicide'를 출간할 수 없을 때, 수년간
배를 타면서 지냈어요. 12년이나 출간을 못했었거든요.
그래서 바다에 가서 범선을 몰면서
제 아버지의 인생을 복기했어요.
아버지는 치과 의사셨는데 당신의 일이 적성에
맞지 않았죠, 그래서 알라스카로 가서 어부가 되셨어요.
정말 행복해하셨죠, 하지만 아버지에겐 안 좋은
일이었어요, 결국 안좋게 끝났으니까요.
그래서 제가 바다에 갔을 때는 제가 아버지의 인생을
복기한다고 생가하지 못했어요.
저는 그 곳에 무의식적으로 갔고
재난과 기차 전복을 겪었죠, 소설 속 제 인물처럼요.
제가 글쓰기를 좋아하는 이유는 글쓰기가 저에게는
종교 활동 같아서예요. 매일 아침
몇 시간 동안 전에 썼던 20-30페이지를 잃으며
명상을 하죠
새로 써야 할 대목까지요
그러고나면 몇 시간 동안 그 날의 2-3페이지가 순식간에 떠올라요.
그러한 과정에서 일종의 몰입, 무의식이 작용하죠.
물론 저는 무신론자이고
종교적 신념도 없어요. 하지만 글쓰기라는게
우리가 가지고 있는 갈망을 채워주는 것 같아요.
우리는 모두 종교와 같은 무언가에 대해
목마름과 갈망이 있다고 생각해요.
그러니 글쓰기는 그런 점에서 저에게 매우
충만하게 해 주는 일이었죠.
저는 글을 쓸 때 문장을 딱히 염두에 두지 않아요.
그저 매우 빨리 떠오를 분이예요, 그러면 저는 할 수 있는
한 빨리 글을 쓰곤해요.
그리고 첫 번째 버전으로 책이 출간 되죠.
그 이후론 책에 관해 생각하지 않아요.
하지만, 저는 매일 언어를 공부하는데요,
매일 고대 영어를 Beowolf로 번역하는 일을 해왔어요.
영어에 프랑스어가 차용되기 수천년 전 형태를 보면서요.
그리고 제 수업에서 meter와 구문론에 관해 생각하죠,
저는 영어 역사 언어학을 가르치는데요.
허구에서의 스타일을 가르칠 때, 이에 관해 많이 생각하죠.
하지만 실제로 글을 쓸 땐 이런 점을 생각하지 않아요
저에게 글쓰기는 매우 율동적이거든요.
전체 텍스트가 풍경처럼 운율에서 리듬처럼 합쳐지죠
그게 제가 추구하는 바예요, 그리고 그래서 글 쓰기 전에
이전 20페이지를 읽는 거구요.
그래야 제 글 속에서 그 리듬이 연결이 되거든요.
글을 쓰는 일은 정말 치유적인 성격이 있어요.
치료 이상이죠, 글쓰기와 치료는 모두 진실에 관한것이지만
글쓰기는 아름다움에 관한 것이기도 하고,
치료에서는 찾을 수 없는 미적 목표가 있기도 해요.
그리고 그러한 미적 목표가 없는 글쓰기는 그저 쓰레기에
불과하죠, 단지 치료일 뿐이예요.
치료가 가치가 없다는게 아니라
그런 글에는 예술적, 미적 목적이 없다는 거죠.
그래서 제가 저의 아버지, 아버지의 죽음에 관해 글을 쓰며 놀라웠던 점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