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자들이 실제 이야기와 배경을 알게된다면 책을 달리 보게 되고, 더 잘 읽게 된다고 생각합니다. 왜냐하면 글을 쓰는 동안에서 무언가 일어나기 때문입니다. 페이지 위에서 글을 쓰는 동안 실제 주체의 큰 변화가 일어나는 것이죠. 제가 아버지의 자살에 대해 책을 쓰고있을 때, 십년동안 작업했지만 어떻게 써야 할지 잘 몰랐어요. 처음엔 너무 단적으로 글을 썼죠. 아버지가 돌아가시고 가족 모두 얼마나 슬퍼했는지에 대해 썼어요. 도저히 못읽게 더라구요 그러다, 책 중간부에 와서 단편소설을 쓰기 시작했어요. 반정도 썼을때, 모든것이 달라지는 놀라운 일이 있었어요. 그런 일이 있을거라고 그때, 글을 쓰고 있을 당시엔 생각도 못했어요. 다음날, 정신을 차리고 단편소설의 내용을 줄이고 처음 계획대로 책을 써나갔죠. 그리고 이전까지 쓴 내용을 다시 읽어봤어요. 마치 처음 읽는 글 같았고, 제가 썼지만 패턴이 있다는 걸 발견했어요. 제가 보지 못했던 순간까지 연결되어 있는거예요. 그 순간, 글쓰기에 대한 저의 생각이 통채로 바뀌었죠 이 책의 최고 페이지는 생각의 전환이 있은 후 쓴거예요. 제가 힘들고 계획이 없을때 썼을때 그래서 전 독자들에게 이야기의 배경에 대해 숨기는게 없다는 것을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전 독자들에게 제 아버지가 제가 13세 자살하셨다는 것과 아버지께서 제에게 알라스카에 와서 일년 같이 지내자고 부탁하셨지만 전 거절했어요. 이 후 곧 아버지께서 자살하셨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