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아하고 편안한 음악♪ [종소리가 울림] -[카누파 VO] 저는 우리 모두가 우리가 속한 공간과 다투고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북미에 거주하는 토착인으로서 매우 중요하고 복잡한 정체성들이 제 안에 공존한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만단과 히닷사, 그리고 아리카라 부족의 일원입니다. 저는 미주리 강 바로 인근에 위치한 스탠딩 락 보호구역에서 태어났습니다. 저는 강 유역에 사는 사람들 중 하나였고 그런 삶의 유형이 가장 진실힌 형태를 가진다고 생각했습니다. 저는 뉴멕시코에 위치한 여러 산들이 있는 이 곳에 살고 있고 그 때문에 저의 정체성도 제가 사는 곳에 따라 조금 바뀌었다는 생각이 듭니다. 저의 가족이 보호구역 바깥의 유역으로 이사를 간 이후에 이 세계에서 저라는 사람이 두 지역 사이의 한정적인 공간의 경계 언저리에 존재하고 있다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남성] 좋아요, 카누파, 준비되었어요? [카누차] 네. 잠시만요. [분명하지 않은 대화 소리] [카누파 VO] 저는 그 장소들 사이의 세계 안에 존재합니다. 제가 하고자 하는 일은 객체로서의 예술에 대한 관념을 지워버리고 과정으로서 예술에 대해서 생각하는 것입니다. 활동하고 생존하는 무언가로서요. [종소리가 울림] -♪신비한 분위기의 음악♪ 저는 물건을 이용해 무언가를 만듭니다. 저는 이런 오브젝트가 아닌 것들을 섞어 뭔가를 만듭니다. 그리고 여러 문화를 이어주는 정보들을 공유할 수 있는 통로가 되는 작품들을 만들어요. ♪♪♪ 미국 토착민들을 두고 서구인들의 역사적 서술이 무조건 옳다는 식의 태도가 존재하기도 합니다. 그런 경향은 "이것은 토착민적이고 이것은 현대적이다. 이것은 현재적이지 않다."와 같은 말로 설명할 수 있을 겁니다. 그래서 저는 프로젝트와 관련된 일련의 모든 것들을 시작했습니다. 저의 작품은 지속되는 여러가지 생각들과 관련이 있습니다. 이런 관념을 미래 원형적 기술(Future Ancestral Technology)이라고 부릅니다. 이 기술은 과학적 픽션이 될 수 있고, 사색적 픽션이 될 수도 있습니다. 이 미래원형적 기술은 어떻게 해서 우리의 문화가 변화하였고 미래를 향해 변형되는지 상상하는 것과 관련이 있습니다. ♪가볍고 우아한 음악♪ 그리고 오늘날 토착민적이라고 하는 말의 의미를 표현하기 어렵다면, 그건 왜 그런 것일까요? 오늘날을 지나보내는 가운데에서, 먼 미래에 존재한다는 것은 어떤 의미일까요? ♪♪♪ 우리가 지금 사용하는 모든 재료들은 한동안 우리 주위에 있게 될 것입니다. 이런 오브젝트들은 쓰레기장에서 발견될 수 있고 재활용되고 새로운 작품으로 변화할 수도 있습니다. "만약 우리가 이 물건들을 바꾸기만 한다면 우리는 무슨 행위를 하고 있는 것일까?"하는 질문을 던지기도 합니다. [카누파] 이들은 하키에 쓰는 장갑입니다. 이것은 코바늘로 뜬 담요인데 오래된 물건입니다. 저는 이런 물건들을 발견할 때 제가 사냥꾼이 된 기분이 들어요. 21세기에 물건을 수집하는 사람이요. 그렇지만 제가 탐험하는 영역은 분명히 매우 특별합니다. 제가 수집한 다른 사람들이 쓰던 모든 털실 뭉치들이 그렇죠. 이 물건들을 만드는데 몇 가지 중요한 요소들은 이 물건들이 맨 처음 어떻게 만들어 졌는지와 깊은 관계가 있습니다. 제가 중고상품 할인점에 가서, 아프간에서 만든 물건들을 보고 그 색깔이 표현하는 이야기가 마음에 들면 저는 바로 그 물건을 집어들겠죠. 그런 물건은 미국 문화의 한 파편이 어떤 것인지 잘 보여주게 될 겁니다. 그리고 미래 세대를 위한 이야기를 들려주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겠죠. 왜냐하면 다수의 토착적 우주론이 지속가능성이라는 가치에 기반을 두기 때문입니다. 마치, "너는 이 세계의 연장선상에 있고, 이 땅에 속한 자이다."라고 말하는 것 같아요. 우리가 집합적으로 모든 것을 이해할 수 있는 미래가 있다고 생각해보실 수 있나요? [뉴스캐스터] 주요 석유 파이프라인을 두고 북 다코타에서 벌어지는 시위가 계속해서 확산되고 있습ㄴ디ㅏ. 100개도 넘는 토착 미국 부족들이 프로젝트에 반대하고 싸움에 가담하고 있습니다. 그들은 석유 파이프라인이 부족의 물 공급을 어렵게 하고 신성한 땅을 초토화한다고 말합니다. [카누파 VO] 스탠딩락 보호구역에서, 그 일을 시위라고 설명합니다. 그러나 실제 상황을 보면 그곳에 온 모든 이들이 석유 공급을 반대하는 것보다는 수자원을 보호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됩니다. 시위를 진압하는 경찰기동대 무리가 무기로 무장한 모습을 보면 그들의 진압행위가 인간의 존엄성을 말살하고 있다는 사실을 깨닫게 됩니다. 저는 우크라이나에서 전개되고 있는 내전 사태에 영감을 받았습니다. 이곳에서 사람들은 거울을 들고 최전선으로 나아갑니다. 그래서 경찰이 자신들의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저는 철물점으로 가서 이 거울들을 사서 주차장에서 거울을 조립하고 방패로 만들었습니다. 그리고 그것들을 어떻게 만드는지 보여주는 비디오를 제작했습니다. ♪활발하고 영감을 불러일으키는 음악♪ 중요한 점인 이 작품이 폭력에 대한 사람들의 공감을 불러일으키는 반응을 이끌어낼 수 있다는 점입니다. ♪♪♪ 우리가 자라날 때에 스탱딩 락 보호구역에 500개의 방패를 설치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