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린다 벵글리스 : "세상의 파도"] [매미 소리] 저는 예술가들이 자신의 어린시절을 반추하는 경향이 있는 것 같다고 느낍니다. 저는 루이지애나 출신입니다. 루이지애나 레이크찰스 출신이죠. 저는 작은 막대기와 이끼 덩어리를 가지고 다니곤 했습니다. 당시 누군가가 저에게 나뭇잎과 나뭇가지, 그리고 이끼 덩어리를 사용해서 보트를 만들 수도 있다고 말해주었습니다. 저는 바닥에 있는 것들을 가지고 놀기 시작했습니다. 자연에 대해서 생각도 하고요. 모든 아이들이 그렇게 하는 것 같아요. 이후에 저는 모터보트를 타고 호수를 돌아다녔습니다. 루이지애나에는 전체가 수로로 이루어진 지역이 있는데 그 지역이 걸프 만으로 이어집니다. 그곳에 모든 종류의 수로와 해협이 있었고 제가 잘 알고 있는 곳이었습니다. 저는 수면 위에서 시간 보내는 것을 좋아했습니다. 그곳에서 여러가지를 발견하기도 했어요. 여러 해 전에 그 장소에서 보트가 가라앉았다는 사실도 알게 되었어요. [비가 내리면서 나무 판자에 부딪쳐 소리가 남] [뉴욕 퀸즈] [금속 체인이 부딪히며 나는 소리] [밥 스프링, Modern Art Foundry] [밥 스프링] 이것이 "린다 환영합니다."라는 작품입니다. 린다는 이 모델을 만들었습니다. 이 작품은 이 공간에서 만들어집니다. [기계를 사용해 금속을 제련하는 소리] [벵글리스] 저는 아주 감사하고 있습니다. 제 생각에 이건 바다에 침몰한 물건인 것 같습니다. 어디에서 왔는지 몰랐는데 루이지애나에 보관을 하고 있는 것을 알게되었습다. 이 물건과 그 역사에 대해 알고 있는 사람들이 이 작품의 용도를 알고 있었죠! 뉴올리언즈에서 개최한 세계 박람회에서였어요. 1984년 마지막 박람회에서요. 저는 저의 생각을 반영했어요. 바로 파도였죠. 저는 항상 파도에 흥미를 느꼈어요. 아카풀코나 태평양의 바다만큼 큰 파도가 치지는 않지만 거기 가면 엄청 큰 파도가 서퍼를 덮치기도 하잖아요. 그렇지만 저는 걸프만의 높지 않은 파도에 매력을 느꼈습니다. 그곳에서 처음으로 파도를 봤으니까요. 아마도 열일곱살이었던 것 같아요. 샘을 만들어야겠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제가 우레탄을 사용해서 액체 상태의 우레탄을 동결시키는 작업을 하고 있었을 떄 액체 상태의 우레탄을 굳히니 물이 흐르듯 아름다운 형태로 변한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저는 이렇게 만들어진 물결을 세워두었습니다. 이 작업을 위해서 작품을 세워둘 수 있는 비계가 필요했습니다. 17.5피트의 캔틸레버를 세웠고 청동으로 물결을 만들었습니다. 액체 상태의 청동 작품이 비계 위를 우산이 둘러싸듯 덮었고 물을 뿌렸습니다. [밥 스프링] 그리고 린다가 우레탄을 사용해서 모델을 만들었습니다. [벵글리스] 가로 세로의 길이가 같고 무게는 6파운드인 단단한 폴리우레탄 폼이었습니다. 아래에 철망 구조물을 사용했습니다. 여기에서 저는 기상 관측용 벌룬을 떠올렸어요. [밥 스프링] 린다는 이 아래에다가 이 구조물의 원래 형태 위에 플라스틱을 입혔습니다. 그 뒤에 형태를 잡고 흘러내리게 했어요. 그리고 제품이 마를 때까지 그 공간에 사람이 들어가지 못하게 했습니다. 오늘날 이런걸 두고 우주복이라고 부르고는 하더군요. 여기서 나오는 연기에 독성이 있기 때문이에요. 우리는 외부에서 신선한 공기를 공급해야 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