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00:00:07,630 --> 00:00:10,628 공을 공중으로 똑바로 던진다고 생각해 보자. 2 00:00:10,628 --> 00:00:13,852 공이 손에서 떠난 후, 공의 움직임을 예상할 수 있을까? 3 00:00:13,852 --> 00:00:15,176 물론 그것은 쉽다. 4 00:00:15,176 --> 00:00:18,730 공은 최고점에 도달할 때까지 올라가다가 5 00:00:18,730 --> 00:00:21,668 다시 내려와 손에 떨어질 것이다. 6 00:00:21,668 --> 00:00:23,386 물론 그런 일이 생기는 거고 7 00:00:23,386 --> 00:00:26,765 이런 상황을 많이 겪어본 여러분은 이렇게 될 것을 안다. 8 00:00:26,765 --> 00:00:31,417 여러분은 삶에서 일어나는 일상적인 물리 현상들을 관찰하고 있다. 9 00:00:31,417 --> 00:00:35,884 하지만 수소 원자핵 주위에 있는 전자의 움직임 같은 10 00:00:35,884 --> 00:00:37,950 원자 물리학 문제를 11 00:00:37,950 --> 00:00:40,906 조사한다고 상상해보자. 12 00:00:40,906 --> 00:00:45,045 실생활 물리를 경험한 것을 토대로 그 문제에 답할 수 있을까? 13 00:00:45,045 --> 00:00:46,872 그렇지 않다. 왜일까? 14 00:00:46,872 --> 00:00:51,474 시스템의 거동을 그렇게 작은 규모로 지배하는 물리학은 15 00:00:51,474 --> 00:00:55,224 항상 여러분 주위에 있는 거시적 물체의 물리학과 16 00:00:55,224 --> 00:00:57,690 매우 큰 차이가 있다. 17 00:00:57,690 --> 00:00:59,703 여러분이 알고 사랑하는 일상 세계는 18 00:00:59,703 --> 00:01:03,702 고전 역학의 법칙에 따라 움직인다. 19 00:01:03,702 --> 00:01:05,880 그러나 원자 규모의 시스템은 20 00:01:05,880 --> 00:01:09,870 양자역학의 법칙에 따라 움직인다. 21 00:01:09,870 --> 00:01:13,432 이 양자 세계는 매우 이상한 곳이다. 22 00:01:13,432 --> 00:01:17,932 이런 양자의 이상함은 유명한 사고실험으로 설명한다. 23 00:01:17,932 --> 00:01:20,090 슈뢰딩거의 고양이 24 00:01:20,090 --> 00:01:24,449 고양이를 특별히 좋아하지 않는 물리학자는 상자에 고양이를 넣고 25 00:01:24,449 --> 00:01:30,148 뚜껑을 닫으면 50%의 확률로 터지는 폭탄을 함께 넣는다. 26 00:01:30,148 --> 00:01:32,756 뚜껑을 다시 열 때까지 폭탄이 터졌는지 아닌지 27 00:01:32,756 --> 00:01:35,281 알 수 있는 방법이 없고 28 00:01:35,281 --> 00:01:40,531 따라서 고양이가 살았는지 죽었는지도 알 수 없다. 29 00:01:40,531 --> 00:01:43,834 양자역학에서 관찰하기 전까지는 30 00:01:43,834 --> 00:01:46,606 고양이가 중첩 상태에 있다고 말할 수 있다. 31 00:01:46,606 --> 00:01:51,656 살았는지 죽었는지가 아니라 두 가지 가능성이 섞여서 32 00:01:51,656 --> 00:01:54,678 각각 50%의 확률로 있다. 33 00:01:54,678 --> 00:01:58,842 그런 종류의 것들은 수소 원자를 도는 전자처럼 34 00:01:58,842 --> 00:02:01,611 양자 규모의 물리 시스템에서 발생한다. 35 00:02:01,611 --> 00:02:04,186 전자는 실제로 전혀 돌지 않는다. 36 00:02:04,186 --> 00:02:07,144 전자는 동시에 공간 어디에나 존재하고 37 00:02:07,144 --> 00:02:10,920 어느 곳에 모여 있을 가능성이 많다. 38 00:02:10,920 --> 00:02:13,000 그리고 그 위치를 측정한 뒤에야 39 00:02:13,000 --> 00:02:15,876 그 순간 그것이 있는 곳을 정확히 찾을 수 있다. 40 00:02:15,876 --> 00:02:18,971 우리가 상자를 열 때까지 고양이가 살았는지 죽었는지 41 00:02:18,971 --> 00:02:20,831 모르는 것과 비슷하다. 42 00:02:20,831 --> 00:02:23,576 이것은 '양자얽힘'이라는 이상하고 아름다운 43 00:02:23,576 --> 00:02:25,871 현상을 가져다준다. 44 00:02:25,871 --> 00:02:31,157 한 상자에 고양이 한 마리 대신 두 상자에 고양이 두 마리를 가정하라. 45 00:02:31,157 --> 00:02:34,820 만약 슈뢰딩거의 고양이 실험을 이 두 마리에게 반복한다면 46 00:02:34,820 --> 00:02:38,780 실험의 결과는 4가지 경우 중 하나일 것이다. 47 00:02:38,780 --> 00:02:41,869 두 마리 모두 살았을 경우나 모두 죽었을 경우, 48 00:02:41,869 --> 00:02:45,700 한 마리만 살고 다른 한 마리가 죽었을 경우 또는 그 반대. 49 00:02:45,700 --> 00:02:49,117 두 고양이가 있는 시스템은 다시 중첩 상태에 있고 50 00:02:49,117 --> 00:02:53,644 각 경우가 나올 확률은 50%가 아니라 25%이다. 51 00:02:53,644 --> 00:02:55,897 그러나 여기 멋진 게 있다. 52 00:02:55,897 --> 00:02:58,508 양자 역학은 중첩 상태에서 53 00:02:58,508 --> 00:03:03,984 두 고양이가 살아 있거나 두 고양이가 죽은 결과를 없앨 수 있다. 54 00:03:03,984 --> 00:03:06,819 달리 말하자면, 두 고양이 시스템이 있을 수 있고 55 00:03:06,819 --> 00:03:12,502 그 결과는 항상 하나는 살고 다른 하나는 죽는다는 것이다. 56 00:03:12,502 --> 00:03:17,395 이것을 위한 기술적 서술은 고양이의 상태가 얽힌 것이다. 57 00:03:17,395 --> 00:03:21,022 그러나 양자 얽힘에 대한 진정 놀라운 사실이 있다. 58 00:03:21,022 --> 00:03:25,011 이 얽힘 상태에서 상자에 고양이 두 마리를 넣고 59 00:03:25,011 --> 00:03:28,957 우주의 양쪽 끝에 상자를 옮긴다면 60 00:03:28,957 --> 00:03:32,752 그 결과는 언제나 같을 것이다. 61 00:03:32,752 --> 00:03:37,617 한 마리는 항상 살아있고 다른 고양이는 항상 죽는다는 것이다. 62 00:03:37,617 --> 00:03:42,221 우리가 결과를 측정하기 전에 어느 고양이가 살았는지 죽었는지 63 00:03:42,221 --> 00:03:44,609 완벽하게 결정되지 않더라도 말이다. 64 00:03:44,609 --> 00:03:46,196 어떻게 이것이 가능할까? 65 00:03:46,196 --> 00:03:49,647 어떻게 이런 우주의 양쪽 끝에 있는 고양이 상태가 66 00:03:49,647 --> 00:03:51,822 이렇게 얽힘 상태를 만들 수 있을까? 67 00:03:51,822 --> 00:03:54,325 그들이 서로 의사소통하기에는 너무 먼데 68 00:03:54,325 --> 00:03:57,526 두 개의 폭탄이 항상 하나는 터지고 하나는 안 터지는 69 00:03:57,526 --> 00:04:00,350 그런 소통을 어떻게 할까? 70 00:04:00,350 --> 00:04:01,496 여러분은 생각할지도 모른다. 71 00:04:01,496 --> 00:04:03,806 "이것은 단지 마술 같은 이론이다. 72 00:04:03,806 --> 00:04:06,388 이것은 진짜 세계에서 발생할 수 없다." 73 00:04:06,388 --> 00:04:08,923 그러나 양자얽힘은 74 00:04:08,923 --> 00:04:12,157 실제 실험에서 확인되었다. 75 00:04:12,157 --> 00:04:15,794 두 아원자 입자들은 중첩상태에서 서로 얽히고 76 00:04:15,794 --> 00:04:19,663 거기서 한 개가 한 방향으로 회전하면 77 00:04:19,663 --> 00:04:22,450 다른 하나는 다른 방향으로 회전해야 한다. 78 00:04:22,450 --> 00:04:25,986 얽힘의 법칙을 따르기 위해 어느 방향으로 돌아야 한다는 79 00:04:25,986 --> 00:04:30,007 정보의 소통이 한 입자에서 다른 입자로 가지 않는데도. 80 00:04:30,007 --> 00:04:32,960 거시적 세계에서 이상한 양자 세계의 법칙을 사용하는 방법을 81 00:04:32,960 --> 00:04:35,301 연구하는 분야인 82 00:04:35,301 --> 00:04:39,486 '양자 정보 과학'의 중심에 그런 얽힘이 있는 것은 83 00:04:39,486 --> 00:04:41,549 놀라운 일이 아니다. 84 00:04:41,549 --> 00:04:46,372 이것을 이용해 양자 암호화에서처럼 간첩들은 서로 비밀 메세지를 보낼 수 있고 85 00:04:46,372 --> 00:04:49,479 또는 양자 컴퓨팅에서 암호를 해독할 수 있다. 86 00:04:49,479 --> 00:04:53,743 일상의 물리학이 이상한 양자 세계처럼 보일 지도 모른다. 87 00:04:53,743 --> 00:04:56,992 양자 원거리 이동은 지금까지 발전되고 있고 88 00:04:56,992 --> 00:05:00,323 언젠가 여러분의 고양이는 안전한 은하로 탈출할 것이고 89 00:05:00,323 --> 00:05:03,169 거기서는 물리학자도 상자도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