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분이 친구와 함께 미술관을 거닐고 있는데 눈에 띄는 그림을 발견했다고 생각해봅시다. 활기찬 빨간색이 여러분에게는 사랑을 상징하는 것으로 보이지만 여러분의 친구는 이것이 전쟁의 상징이라고 확신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여러분이 낭만적인 하늘의 별들이라고 생각하는 것을 친구는 지구 온난화를 유발하는 오염 물질들로 해석합니다. 논쟁을 잠재우기 위해 인터넷에 접속한 여러분은 이 작품이 화가의 1학년 미술 과제의 복제품이라는 것과 그녀가 가장 좋아하는 색이 붉은색이고 은색 점들은 요정이라는 것을 보았습니다. 이제 여러분은 이 작품이 창작된 정확한 의도를 알아냈습니다. 하지만 화가가 의도한 대로 즐기지 않은 게 잘못된 것인가요? 진실을 알게 된 이후 작품을 잘 즐길 수 없나요? 화가의 의도가 여러분의 작품 해석에 어느 정도의 영향을 주어야 하나요? 이것은 지난 수십 년 동안 철학자들과 예술 평론가들이 던졌던 질문입니다. 하지만 아직도 결론이 나지 않았죠. 20세기 중반에 문학 평론가 W. K. 웜서트와 철학자 먼로 비어즐리는 예술적 의도는 무의미하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들은 이것을 '의도론의 오류'라고 불렀습니다. 예술가의 의도를 평가하는 것은 잘못된 판단이라는 생각했지요. 그들의 주장은 두 가지였습니다. 첫째로, 우리가 배우는 예술가들은 더 이상 살아 있지 않거나 그들의 의도를 기록하지 않았을 수도 있고 자신의 작품에 대해 답변할 수 없는 상황에 있을지도 모릅니다. 둘째로, 풍부한 관련 정보가 있다고 해도 웜서트와 비어즐리는 이 정보가 우리를 작품의 본질에 집중하지 못하게 할 것이라고 믿었습니다. 그들은 예술을 디저트에 비유했습니다. 여러분이 푸딩을 먹을 때 그 맛과 식감을 즐기는데 요리사의 의도가 영향을 주지는 않습니다. 그들이 말하는 요점은 바로, 푸딩이 "영향을 주었다"는 겁니다. 물론, 한 사람에게 영향을 주었어도 다른 사람에게는 아닐 수도 있죠. 그리고 사람마다 다른 해석을 하기에 그림에 있는 은색 점들은 요정이라고 해석될 수도 있고 별이나 오염물질로 보일 수도 있습니다. 웜서트와 비어즐리의 논리에 따르면 자신의 작품에 대한 예술가의 해석은 수많은 다른 해석 중 하나일 뿐이라는 것입니다. 여기에 문제가 있다고 생각한다면 여러분의 생각은 스티븐 냅과 월터 벤 마이클스와 더 가까운 겁니다. 의도론의 오류를 받아들이지 않았던 두 명의 문학 이론가들이죠. 그들은 예술가가 의도한 의미는 그저 하나의 해석이 아니라 유일한 해석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예를 들어, 여러분이 해변을 걷고 있다고 생각해보세요. 여러분은 모래 위에서 시의 한 구절의 흔적들을 발견했습니다. 냅과 마이클스는 그 흔적들이 사람의 작품이 아니라 파도에 의해 우연히 생긴 것이라는 사실을 알게 된다면 그 시는 모든 의미를 잃을 것이라고 믿었습니다. 그들은 어떤 의도를 가진 창조자가 있어야만 그 시가 이해의 대상이 될 수 있다고 믿었지요. 다른 사상가들은 중도적 입장을 지지했습니다. 의도는 거대한 퍼즐 속의 한 개의 퍼즐 조각일 뿐이라고 말했죠. 현대 철학자 노엘 캐롤은 이런 생각을 했습니다. 말하는 사람의 의도가 대화하는 사람들과 관련 있는 것처럼 예술가의 의도 또한 관람객들과 관계가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는 대화에서 의도가 어떻게 작용하는지 이해하기 위해 누군가가 담배를 들고서 성냥을 부탁하는 것을 상상하라고 했습니다. 여러분은 이 사람에게 성냥이 아니라 라이터를 줄 수 있겠죠. 그 사람의 의도는 담배에 불을 붙이는 것 이라고 해석했기 때문입니다. 말에서 사용된 단어들도 중요하지만 실제로는 그 말에 숨어있는 의도가 여러분의 이해를 좌우하고 궁극적으로는 여러분의 답변을 좌우합니다. 그래서 여러분은 어느 편으로 기울이실 건가요? 웜서트와 비어즐리처럼 예술에 대한 증명은 푸딩에 있어야 한다고 생각하나요? 아니면 예술가의 계획과 작품 제작 동기가 그 의미에 영향을 준다고 생각하나요? 예술적인 해석은 복잡한 거미줄과 같기 때문에 아마도 절대 확실한 답을 내놓을 수 없을 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