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00:00:13,005 --> 00:00:16,045 여러분이 친구와 함께 미술관을 거닐고 있는데 2 00:00:16,045 --> 00:00:18,655 눈에 띄는 그림을 발견했다고 생각해봅시다. 3 00:00:18,655 --> 00:00:22,085 활기찬 빨간색이 여러분에게는 사랑을 상징하는 것으로 보이지만 4 00:00:22,085 --> 00:00:25,445 여러분의 친구는 이것이 전쟁의 상징이라고 확신하고 있습니다. 5 00:00:25,445 --> 00:00:28,955 그리고 여러분이 낭만적인 하늘의 별들이라고 생각하는 것을 6 00:00:28,955 --> 00:00:33,787 친구는 지구 온난화를 유발하는 오염 물질들로 해석합니다. 7 00:00:33,787 --> 00:00:37,407 논쟁을 잠재우기 위해 인터넷에 접속한 여러분은 8 00:00:37,407 --> 00:00:41,907 이 작품이 화가의 1학년 미술 과제의 복제품이라는 것과 9 00:00:41,907 --> 00:00:46,746 그녀가 가장 좋아하는 색이 붉은색이고 은색 점들은 요정이라는 것을 보았습니다. 10 00:00:46,746 --> 00:00:51,328 이제 여러분은 이 작품이 창작된 정확한 의도를 알아냈습니다. 11 00:00:51,328 --> 00:00:55,398 하지만 화가가 의도한 대로 즐기지 않은 게 잘못된 것인가요? 12 00:00:55,398 --> 00:00:58,918 진실을 알게 된 이후 작품을 잘 즐길 수 없나요? 13 00:00:58,918 --> 00:01:01,038 화가의 의도가 여러분의 작품 해석에 14 00:01:01,038 --> 00:01:04,328 어느 정도의 영향을 주어야 하나요? 15 00:01:04,328 --> 00:01:06,278 이것은 지난 수십 년 동안 16 00:01:06,278 --> 00:01:09,398 철학자들과 예술 평론가들이 던졌던 질문입니다. 17 00:01:09,398 --> 00:01:11,778 하지만 아직도 결론이 나지 않았죠. 18 00:01:11,778 --> 00:01:13,479 20세기 중반에 19 00:01:13,479 --> 00:01:17,989 문학 평론가 W. K. 웜서트와 철학자 먼로 비어즐리는 20 00:01:17,989 --> 00:01:21,359 예술적 의도는 무의미하다고 주장했습니다. 21 00:01:21,359 --> 00:01:23,829 그들은 이것을 '의도론의 오류'라고 불렀습니다. 22 00:01:23,829 --> 00:01:28,149 예술가의 의도를 평가하는 것은 잘못된 판단이라는 생각했지요. 23 00:01:28,149 --> 00:01:30,269 그들의 주장은 두 가지였습니다. 24 00:01:30,269 --> 00:01:33,549 첫째로, 우리가 배우는 예술가들은 더 이상 살아 있지 않거나 25 00:01:33,549 --> 00:01:35,449 그들의 의도를 기록하지 않았을 수도 있고 26 00:01:35,449 --> 00:01:39,599 자신의 작품에 대해 답변할 수 없는 상황에 있을지도 모릅니다. 27 00:01:39,607 --> 00:01:44,157 둘째로, 풍부한 관련 정보가 있다고 해도 28 00:01:44,157 --> 00:01:45,597 웜서트와 비어즐리는 29 00:01:45,597 --> 00:01:49,087 이 정보가 우리를 작품의 본질에 집중하지 못하게 할 것이라고 믿었습니다. 30 00:01:49,087 --> 00:01:51,227 그들은 예술을 디저트에 비유했습니다. 31 00:01:51,227 --> 00:01:52,767 여러분이 푸딩을 먹을 때 32 00:01:52,767 --> 00:01:57,337 그 맛과 식감을 즐기는데 요리사의 의도가 영향을 주지는 않습니다. 33 00:01:57,337 --> 00:02:01,597 그들이 말하는 요점은 바로, 푸딩이 "영향을 주었다"는 겁니다. 34 00:02:01,597 --> 00:02:05,677 물론, 한 사람에게 영향을 주었어도 다른 사람에게는 아닐 수도 있죠. 35 00:02:05,677 --> 00:02:09,018 그리고 사람마다 다른 해석을 하기에 36 00:02:09,018 --> 00:02:13,268 그림에 있는 은색 점들은 요정이라고 해석될 수도 있고 37 00:02:13,268 --> 00:02:15,510 별이나 오염물질로 보일 수도 있습니다. 38 00:02:15,510 --> 00:02:19,660 웜서트와 비어즐리의 논리에 따르면 자신의 작품에 대한 예술가의 해석은 39 00:02:19,660 --> 00:02:24,550 수많은 다른 해석 중 하나일 뿐이라는 것입니다. 40 00:02:24,550 --> 00:02:26,202 여기에 문제가 있다고 생각한다면 41 00:02:26,202 --> 00:02:30,292 여러분의 생각은 스티븐 냅과 월터 벤 마이클스와 더 가까운 겁니다. 42 00:02:30,292 --> 00:02:34,072 의도론의 오류를 받아들이지 않았던 두 명의 문학 이론가들이죠. 43 00:02:34,072 --> 00:02:36,462 그들은 예술가가 의도한 의미는 44 00:02:36,462 --> 00:02:39,052 그저 하나의 해석이 아니라 45 00:02:39,052 --> 00:02:41,802 유일한 해석이라고 주장했습니다. 46 00:02:41,802 --> 00:02:44,492 예를 들어, 여러분이 해변을 걷고 있다고 생각해보세요. 47 00:02:44,492 --> 00:02:49,012 여러분은 모래 위에서 시의 한 구절의 흔적들을 발견했습니다. 48 00:02:49,012 --> 00:02:52,221 냅과 마이클스는 그 흔적들이 사람의 작품이 아니라 49 00:02:52,221 --> 00:02:55,691 파도에 의해 우연히 생긴 것이라는 사실을 알게 된다면 50 00:02:55,691 --> 00:02:58,471 그 시는 모든 의미를 잃을 것이라고 믿었습니다. 51 00:02:58,471 --> 00:03:00,421 그들은 어떤 의도를 가진 창조자가 있어야만 52 00:03:00,421 --> 00:03:04,591 그 시가 이해의 대상이 될 수 있다고 믿었지요. 53 00:03:04,591 --> 00:03:06,928 다른 사상가들은 중도적 입장을 지지했습니다. 54 00:03:06,928 --> 00:03:11,818 의도는 거대한 퍼즐 속의 한 개의 퍼즐 조각일 뿐이라고 말했죠. 55 00:03:11,818 --> 00:03:15,258 현대 철학자 노엘 캐롤은 이런 생각을 했습니다. 56 00:03:15,258 --> 00:03:18,928 말하는 사람의 의도가 대화하는 사람들과 관련 있는 것처럼 57 00:03:18,928 --> 00:03:20,658 예술가의 의도 또한 58 00:03:20,658 --> 00:03:24,158 관람객들과 관계가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59 00:03:24,158 --> 00:03:27,098 그는 대화에서 의도가 어떻게 작용하는지 이해하기 위해 60 00:03:27,098 --> 00:03:31,208 누군가가 담배를 들고서 성냥을 부탁하는 것을 상상하라고 했습니다. 61 00:03:31,208 --> 00:03:33,201 여러분은 이 사람에게 성냥이 아니라 라이터를 줄 수 있겠죠. 62 00:03:33,201 --> 00:03:36,251 그 사람의 의도는 담배에 불을 붙이는 것 이라고 해석했기 때문입니다. 63 00:03:36,251 --> 00:03:39,102 말에서 사용된 단어들도 중요하지만 64 00:03:39,102 --> 00:03:43,472 실제로는 그 말에 숨어있는 의도가 여러분의 이해를 좌우하고 궁극적으로는 65 00:03:43,472 --> 00:03:45,492 여러분의 답변을 좌우합니다. 66 00:03:45,492 --> 00:03:48,518 그래서 여러분은 어느 편으로 기울이실 건가요? 67 00:03:48,518 --> 00:03:52,258 웜서트와 비어즐리처럼 예술에 대한 증명은 68 00:03:52,258 --> 00:03:53,998 푸딩에 있어야 한다고 생각하나요? 69 00:03:53,998 --> 00:03:57,688 아니면 예술가의 계획과 작품 제작 동기가 그 의미에 70 00:03:57,688 --> 00:03:59,348 영향을 준다고 생각하나요? 71 00:03:59,348 --> 00:04:02,108 예술적인 해석은 복잡한 거미줄과 같기 때문에 72 00:04:02,108 --> 00:04:06,158 아마도 절대 확실한 답을 내놓을 수 없을 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