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00:00:06,686 --> 00:00:10,034 빛은 우리가 아는 가장 빠른 것입니다. 2 00:00:10,034 --> 00:00:13,113 너무 빨라서 엄청난 거리를 잴 때는 3 00:00:13,113 --> 00:00:16,001 빛이 이동한 시간으로 측정합니다. 4 00:00:16,001 --> 00:00:20,117 일년에 빛은 약 6조 마일(약9조km)을 이동합니다. 5 00:00:20,117 --> 00:00:22,615 1 광년이라고 부르는 거리이죠. 6 00:00:22,615 --> 00:00:25,270 이게 얼마나 먼 거리인지 알려드리자면, 7 00:00:25,270 --> 00:00:28,786 아폴로 우주인이 나흘 걸려 도착한 달에 8 00:00:28,786 --> 00:00:31,956 빛은 1초만에 갑니다. 9 00:00:31,956 --> 00:00:36,288 태양을 제외한 가장 가까운 별은 프록시마 센타우리입니다. 10 00:00:36,288 --> 00:00:39,281 4.24 광년 떨어져 있죠. 11 00:00:39,281 --> 00:00:43,796 우리은하는 십만 광년 크기입니다. 12 00:00:43,796 --> 00:00:46,542 가장 가까운 안드로메다 은하는 13 00:00:46,542 --> 00:00:49,497 대략 이백 오십만 광년 떨어져 있습니다. 14 00:00:49,497 --> 00:00:52,936 우주는 놀랄만큼 거대합니다. 15 00:00:52,936 --> 00:00:56,469 별이나 은하의 거리가 얼마인지 어떻게 알까요? 16 00:00:56,469 --> 00:01:00,754 어쨌든 하늘을 보면 이차원의 평면으로 보입니다. 17 00:01:00,754 --> 00:01:05,341 별을 손으로 가리켜도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 모릅니다. 18 00:01:05,341 --> 00:01:08,174 천체물리학자는 어떻게 알까요? 19 00:01:08,174 --> 00:01:10,915 매우 가까이 있는 물체는 20 00:01:10,915 --> 00:01:14,176 삼각시차법이라는 것을 씁니다. 21 00:01:14,176 --> 00:01:16,280 원리는 매우 간단하죠. 22 00:01:16,280 --> 00:01:17,962 실험을 해볼까요. 23 00:01:17,962 --> 00:01:21,289 엄지손가락을 내밀고 왼쪽 눈을 감으세요. 24 00:01:21,289 --> 00:01:24,584 이제 왼쪽 눈을 뜨고 오른쪽 눈을 감으세요. 25 00:01:24,584 --> 00:01:26,882 엄지손가락이 움직인 것처럼 보일 겁니다. 26 00:01:26,882 --> 00:01:31,069 뒤쪽의 물체는 제자리에 있죠. 27 00:01:31,069 --> 00:01:33,890 같은 원리가 별을 볼때도 적용됩니다. 28 00:01:33,890 --> 00:01:38,075 하지만 별들은 여러분의 팔보다 훨씬 더 멀리 있고 29 00:01:38,075 --> 00:01:39,926 지구는 그다지 크지 않죠. 30 00:01:39,926 --> 00:01:43,079 적도를 사이에 두고 각각 망원경이 있어도 31 00:01:43,079 --> 00:01:45,902 위치의 변화가 별로 없을 겁니다. 32 00:01:45,902 --> 00:01:50,790 그래서 6개월의 간격을 두고 별의 위치변화를 봅니다. 33 00:01:50,790 --> 00:01:55,178 태양 주위 공전주기의 절반 지점입니다. 34 00:01:55,178 --> 00:02:00,049 여름과 겨울에 측정한 별의 상대적 위치는 35 00:02:00,049 --> 00:02:02,499 다른 쪽 눈으로 보는 것과 같습니다. 36 00:02:02,499 --> 00:02:05,440 근접한 별들이 더 먼 별이나 은하를 배경으로 37 00:02:05,440 --> 00:02:07,927 움직인 것처럼 보입니다. 38 00:02:07,927 --> 00:02:12,600 이 방법으로는 몇 천광년 떨어진 별만 측정할 수 있습니다. 39 00:02:12,600 --> 00:02:15,627 우리 은하를 넘어서면 거리가 너무 커서 40 00:02:15,627 --> 00:02:18,074 가장 민감한 장치로도 41 00:02:18,074 --> 00:02:20,811 미세한 위치변화를 감지하지 못합니다. 42 00:02:20,811 --> 00:02:23,329 이때에는 다른 방법을 써야 하는데 43 00:02:23,329 --> 00:02:27,199 표준광촉법이라는 지표입니다. 44 00:02:27,199 --> 00:02:32,079 표준 광촉이란 본래의 밝기 또는 실광도를 가진 물체입니다. 45 00:02:32,079 --> 00:02:34,007 우리가 잘 아는 것이죠. 46 00:02:34,007 --> 00:02:37,434 예를 들어, 전구의 밝기를 안다면 47 00:02:37,434 --> 00:02:40,809 친구에게 전구를 들고 뒤로 물러서 보라고 합니다. 48 00:02:40,809 --> 00:02:43,736 친구에게서 나오는 빛의 양이 49 00:02:43,736 --> 00:02:46,663 거리의 제곱배로 감소하는 것을 알겁니다. 50 00:02:46,663 --> 00:02:49,588 받아 들이는 빛의 양과 51 00:02:49,588 --> 00:02:51,932 전구의 실광도를 비교하면 52 00:02:51,932 --> 00:02:55,034 친구가 떨어져 있는 거리를 알게 됩니다. 53 00:02:55,034 --> 00:02:58,284 천문학에서는 그 전구가 케페우스형 변광성이라는 54 00:02:58,284 --> 00:03:00,791 특별한 종류의 별로 밝혀졌습니다. 55 00:03:00,791 --> 00:03:03,028 이 별들은 계속 늘었다 줄었다 하는 풍선처럼 56 00:03:03,028 --> 00:03:06,537 내부적으로 불안정합니다. 57 00:03:06,537 --> 00:03:10,689 수축과 팽창이 밝기에 변화를 일으키기 때문에 58 00:03:10,689 --> 00:03:15,214 보다 천천히 변하는 좀더 밝은 별을 이용해서 59 00:03:15,214 --> 00:03:18,779 변화 주기를 측정함으로 실광도를 계산합니다. 60 00:03:18,779 --> 00:03:21,534 관측한 이 별들의 빛과 61 00:03:21,534 --> 00:03:24,450 이렇게 계산한 실광도과 비교해서 62 00:03:24,450 --> 00:03:26,666 별의 거리를 알아냅니다. 63 00:03:26,666 --> 00:03:29,835 안타깝게도 이게 끝이 아닙니다. 64 00:03:29,835 --> 00:03:34,466 사천만 광년 떨어진 별까지만 관측할 수 있습니다. 65 00:03:34,466 --> 00:03:37,893 그 이상은 너무 희미해서 알 수가 없습니다. 66 00:03:37,893 --> 00:03:41,085 다행히도 다른 표준광촉이 있습니다. 67 00:03:41,085 --> 00:03:44,465 그 유명한 유형1A 초신성입니다. 68 00:03:44,465 --> 00:03:49,237 거대 별의 폭발인 초신성은 별이 소멸하는 과정입니다. 69 00:03:49,237 --> 00:03:51,580 이 폭발은 너무나 밝아서 70 00:03:51,580 --> 00:03:54,512 은하들의 밝기를 넘어섭니다. 71 00:03:54,512 --> 00:03:57,701 은하의 개개의 별은 볼 수 없지만 72 00:03:57,701 --> 00:04:00,843 초신성은 볼 수 있습니다. 73 00:04:00,843 --> 00:04:05,011 유형1A 초신성은 희미한 것들보다는 실광도가 천천히 사라지기 때문에 74 00:04:05,011 --> 00:04:08,638 표준광촉으로 사용하기 좋습니다. 75 00:04:08,638 --> 00:04:10,685 밝기와 감소 비율의 76 00:04:10,685 --> 00:04:12,843 관련성을 이해함으로써 77 00:04:12,843 --> 00:04:15,562 수십억 광년 떨어진 곳까지 78 00:04:15,562 --> 00:04:18,739 초신성으로 조사합니다. 79 00:04:18,739 --> 00:04:23,548 하지만 이렇게 먼 곳까지 보는게 왜 중요할까요? 80 00:04:23,548 --> 00:04:26,662 빛의 속도를 기억하실 겁니다. 81 00:04:26,662 --> 00:04:30,621 예를 들어, 태양의 빛은 지구에 오는데 8분이 걸립니다. 82 00:04:30,621 --> 00:04:36,568 그러니까 우리는 8분전의 태양을 보고 있는 것이죠. 83 00:04:36,568 --> 00:04:38,198 북두칠성을 보실 때는 84 00:04:38,198 --> 00:04:41,746 80년 전의 모습을 보고 계신 겁니다. 85 00:04:41,746 --> 00:04:43,434 저 흐릿한 은하들이요? 86 00:04:43,434 --> 00:04:45,681 수백만 광년 떨어져 있습니다. 87 00:04:45,681 --> 00:04:49,388 우리에게 빛이 도달하는데 수 백만년이 걸립니다. 88 00:04:49,388 --> 00:04:54,676 그러니까 우주 자체가 내장 타임머신인 겁니다. 89 00:04:54,676 --> 00:04:59,248 더 멀리 볼수록 더 이전의 우주를 보는 겁니다. 90 00:04:59,248 --> 00:05:02,297 천체물리학자는 우주의 역사를 읽고 91 00:05:02,297 --> 00:05:05,565 우리가 어디에서 어떻게 기원했는지 이해하려 합니다. 92 00:05:05,565 --> 00:05:10,520 우주는 빛의 형태로 끊임없이 정보를 보냅니다. 93 00:05:10,520 --> 00:05:13,745 그것을 해독하는 것은 우리의 몫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