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06.912,0:00:11.532 비타민 1종만으로도[br]심장질환 위험을 줄일 수 있습니다. 0:00:11.532,0:00:15.522 초콜릿 섭취는 학생의 [br]스트레스를 낮춰줍니다. 0:00:15.522,0:00:20.222 신약은 희귀병 환자의 [br]수명을 연장합니다. 0:00:20.222,0:00:23.187 건강 관련 헤드라인은 매일 나오는데, 0:00:23.187,0:00:26.307 때때로 전혀 다른 의견을 내기도 하죠. 0:00:26.307,0:00:28.427 관계는 단절되어 있죠. 0:00:28.427,0:00:31.537 방대하고 시선을 끄는 헤드라인과[br] 0:00:31.537,0:00:34.977 넘쳐나는 의학 연구 결과 사이에요. 0:00:34.977,0:00:39.357 어떻게 하면 눈길을 사로잡는 헤드라인에[br]현혹되지 않을 수 있을까요? 0:00:39.357,0:00:42.467 헤드라인의 신뢰성을 판단하는[br]최선의 방법은 0:00:42.467,0:00:45.807 연구 원문을 보는 것 입니다. 0:00:45.807,0:00:48.217 가상의 연구 시나리오를 [br]상상해보겠습니다. 0:00:48.217,0:00:50.507 앞서 말한 세 가지 [br]헤드라인에 대한 것을요. 0:00:50.507,0:00:53.357 첫 예시에 대한 설명을 [br]집중해서 보시기 바랍니다. 0:00:53.357,0:00:56.447 헤드라인 클릭하기 전에[br]질문의 답을 생각해보시기 바랍니다. 0:00:56.447,0:00:58.517 이는 단순화된 시나리오 입니다. 0:00:58.517,0:01:02.827 실제 연구는 훨씬 많은 요소들을 [br]자세히 묘사하고 설명합니다. 0:01:02.827,0:01:04.837 이 시나리오 실행의 목적은 0:01:04.837,0:01:08.837 모든 필요한 정보가 [br]포함되있다고 전제합니다. 0:01:11.048,0:01:14.098 심장질환 효과에 대해 먼저 알아볼까요. 0:01:14.098,0:01:17.068 가상의 헬시움이라는 [br]비타민이 있다고 가정해 봅시다. 0:01:17.068,0:01:19.868 연구 결과 헬시움을 [br]복용한 실험 참가자는 0:01:19.868,0:01:24.078 가짜 약을 섭취한 참가자보다[br]HDL 콜레스테롤 수치가 높았습니다. 0:01:24.078,0:01:28.036 HDL 콜레스테롤 수치가 [br]원래 높았던 환자들과 0:01:28.036,0:01:29.936 비슷한 수준이 되었습니다. 0:01:29.936,0:01:33.326 이전 연구에서는 HDL 콜레스테롤 [br]수치가 원래 높은 참가자들은 0:01:33.326,0:01:37.486 심장질환에 걸릴 확률이 낮았습니다. 0:01:37.486,0:01:39.991 우리를 현혹하는 헤드라인은 [br]다음과 같습니다. 0:01:39.991,0:01:44.311 "헬시움은 심장질환에[br]걸릴 확률을 낮춥니다" 0:01:44.311,0:01:48.790 헤드라인의 문제점은 실제 연구에서[br]헬시움의 심장질환 예방여부를 0:01:48.790,0:01:51.561 조사하지 않았다는 점입니다. 0:01:51.561,0:01:53.651 헬시움의 효과만을 측정하였죠. 0:01:53.651,0:01:56.791 특정 콜레스테롤 수치에 대해 말이죠. 0:01:56.791,0:01:59.931 원래 콜레스테롤 수치가 높은 사람이 [br] 0:01:59.931,0:02:01.951 심장마비에 걸릴 확률이 낮다는 사실이 0:02:01.951,0:02:04.391 헬시움을 복용하여 [br]콜레스테롤 수치가 증가한 0:02:04.391,0:02:07.731 다른 환자들에게도[br]똑같이 적용된다는 뜻이 아닙니다. 0:02:07.731,0:02:10.141 이제 헬시움의 예시를 파헤쳐보았으니 0:02:10.141,0:02:13.581 특히 재미있는 미스테리를 [br]직접 경험해 볼까요. 0:02:13.581,0:02:17.321 초콜릿 섭취와 스트레스의 상관관계입니다 0:02:17.321,0:02:20.281 가상실험에는 10명의 학생이 참여하여 0:02:20.281,0:02:23.531 5명은 일일 권장량의 초콜릿을 먹고 0:02:23.531,0:02:25.141 5명은 전혀 먹지 않았습니다 0:02:25.141,0:02:28.691 동일 학급이기 때문에 [br]하루 일정은 같았습니다. 0:02:28.691,0:02:32.481 연구가 끝날 무렵, 초콜릿 섭취 그룹은[br]그렇지 않은 통제 그룹보다 0:02:32.481,0:02:35.451 스트레스를 덜 받았습니다. 0:02:35.451,0:02:37.301 다음 헤드라인의 문제는 무엇일까요? 0:02:37.301,0:02:41.371 "초콜릿 섭취는 학생의 [br]스트레스를 감소시킵니다" 0:02:43.408,0:02:48.638 10명의 샘플로 일반적인 결론을 [br]도출하는 것은 논리의 비약입니다. 0:02:48.638,0:02:52.024 참여자가 적을수록 랜덤 샘플은 0:02:52.024,0:02:54.884 샘플 자체가 전체 인구를 대표한다고 0:02:54.884,0:02:57.934 보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0:02:57.934,0:03:02.734 예를 들어 더 많은 인구 샘플에서[br]각각 절반을 남성과 여성이 차지한다면 0:03:02.734,0:03:04.784 10명의 샘플을 추출하면 0:03:04.784,0:03:10.144 70%가 남성이고 30%가 여성일때[br]왜곡확률은 12%입니다. 0:03:10.144,0:03:15.693 100명의 샘플에서는 [br]0.0025%미만의 확률이지만 0:03:15.693,0:03:17.525 1000명의 샘플에서는 0:03:17.525,0:03:22.795 6 x 10^-36의 확률보다 [br]낮아집니다. 0:03:22.795,0:03:25.137 이와 같이 참여자 수가 적으면 0:03:25.137,0:03:29.340 개개인의 결과가 전체 결과에 [br]막대한 영향을 미칩니다. 0:03:29.340,0:03:32.550 따라서 큰 맥락의 경향을[br]왜곡할 수 있습니다. 0:03:32.550,0:03:37.490 그럼에도 연구자들이 적은 참여자의[br]연구를 하는 충분한 이유도 있습니다. 0:03:37.490,0:03:39.269 적은 수의 샘플에서 시작해 0:03:39.269,0:03:42.039 연구 결과가 전망이 있는지, 0:03:42.039,0:03:45.139 총체적이고 고비용의 연구를 [br]계속할지 평가할 수 있습니다. 0:03:45.139,0:03:48.609 어떤 연구는 특정한 집단의[br]참가자가 필요합니다. 0:03:48.609,0:03:51.999 많은 인원을 모집하기에 힘든[br]참가자가 필요할 수도 있죠. 0:03:51.999,0:03:54.329 여기서 핵심은 재현 정도 입니다. 0:03:54.329,0:03:57.629 만약 기사가 결론을 참가 인원이[br]적은 연구를 바탕으로 했다면 0:03:57.629,0:03:59.649 결론은 의심스러울 수 있습니다. 0:03:59.649,0:04:03.099 하지만 비슷한 결과를 낸[br]많은 연구를 토대로 한다면 0:04:03.099,0:04:04.699 더 신빙성이 있겠죠. 0:04:04.699,0:04:06.919 여전히 퍼즐 조각이 하나 남아있습니다. 0:04:06.919,0:04:11.899 이번 연구에서는 치사율이 높은[br]희귀병에 대한 신약으로 실험을 합니다. 0:04:11.899,0:04:14.156 2,000명의 참가자 샘플에서 0:04:14.156,0:04:17.636 진단에 따라 약을 복용하는 참가자는 0:04:17.636,0:04:21.052 가짜 약을 섭취한 그룹보다 [br]더 오래 삽니다. 0:04:21.052,0:04:23.642 이번에는 질문을 살짝 바꿔봅시다. 0:04:23.642,0:04:28.012 만약 헤드라인 내용이 정당한지[br]결정하기 전 알아야 요소는 뭘 까요? 0:04:28.012,0:04:33.619 "신약으로 희귀병 환자 수명 연장"[br]이건 정당화 될 수 있나요? 0:04:34.902,0:04:36.472 그것을 결정하기 전에 0:04:36.472,0:04:40.792 얼마나 수명을 연장시키는지[br]여러분들은 알고 싶을 겁니다. 0:04:40.792,0:04:43.163 때때로 연구결과는 0:04:43.163,0:04:48.243 과학적으로 타당하면서도[br]실제결과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0:04:48.243,0:04:52.941 예를 들어 췌장암 임상 실험에서 0:04:52.941,0:04:57.457 10일의 수명 연장이라는 [br]결과가 나온다면 0:04:57.457,0:05:00.277 이로 인해 놀라운 의학기사 [br]헤드라인을 보게 될 겁니다. 0:05:00.277,0:05:04.027 그럴 때는 연구를 찬찬히 보십시오. 0:05:04.027,0:05:06.957 돈을 지불하지 않고는 [br]논문 전문을 보지는 못 하겠지만, 0:05:06.957,0:05:09.987 실험 설계 요약본은 볼 수 있습니다. 0:05:09.987,0:05:13.177 그리고 무료 초록에서도[br]결과를 볼 수 있습니다. 0:05:13.177,0:05:16.361 뉴스 기사 내 텍스트로도 가능하죠 0:05:16.361,0:05:19.671 뉴스에서 다루는 연구결과를[br]살펴보는 것은 흥미로운 일이며 0:05:19.671,0:05:23.401 연구 결과를 이해하는 것은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