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타민 1종만으로도
심장질환 위험을 줄일 수 있습니다.
초콜릿 섭취는 학생의
스트레스를 낮춰줍니다.
신약은 희귀병 환자의
수명을 연장합니다.
건강 관련 헤드라인은 매일 나오는데,
때때로 전혀 다른 의견을 내기도 하죠.
관계는 단절되어 있죠.
방대하고 시선을 끄는 헤드라인과
넘쳐나는 의학 연구 결과 사이에요.
어떻게 하면 눈길을 사로잡는 헤드라인에
현혹되지 않을 수 있을까요?
헤드라인의 신뢰성을 판단하는
최선의 방법은
연구 원문을 보는 것 입니다.
가상의 연구 시나리오를
상상해보겠습니다.
앞서 말한 세 가지
헤드라인에 대한 것을요.
첫 예시에 대한 설명을
집중해서 보시기 바랍니다.
헤드라인 클릭하기 전에
질문의 답을 생각해보시기 바랍니다.
이는 단순화된 시나리오 입니다.
실제 연구는 훨씬 많은 요소들을
자세히 묘사하고 설명합니다.
이 시나리오 실행의 목적은
모든 필요한 정보가
포함되있다고 전제합니다.
심장질환 효과에 대해 먼저 알아볼까요.
가상의 헬시움이라는
비타민이 있다고 가정해 봅시다.
연구 결과 헬시움을
복용한 실험 참가자는
가짜 약을 섭취한 참가자보다
HDL 콜레스테롤 수치가 높았습니다.
HDL 콜레스테롤 수치가
원래 높았던 환자들과
비슷한 수준이 되었습니다.
이전 연구에서는 HDL 콜레스테롤
수치가 원래 높은 참가자들은
심장질환에 걸릴 확률이 낮았습니다.
우리를 현혹하는 헤드라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헬시움은 심장질환에
걸릴 확률을 낮춥니다"
헤드라인의 문제점은 실제 연구에서
헬시움의 심장질환 예방여부를
조사하지 않았다는 점입니다.
헬시움의 효과만을 측정하였죠.
특정 콜레스테롤 수치에 대해 말이죠.
원래 콜레스테롤 수치가 높은 사람이
심장마비에 걸릴 확률이 낮다는 사실이
헬시움을 복용하여
콜레스테롤 수치가 증가한
다른 환자들에게도
똑같이 적용된다는 뜻이 아닙니다.
이제 헬시움의 예시를 파헤쳐보았으니
특히 재미있는 미스테리를
직접 경험해 볼까요.
초콜릿 섭취와 스트레스의 상관관계입니다
가상실험에는 10명의 학생이 참여하여
5명은 일일 권장량의 초콜릿을 먹고
5명은 전혀 먹지 않았습니다
동일 학급이기 때문에
하루 일정은 같았습니다.
연구가 끝날 무렵, 초콜릿 섭취 그룹은
그렇지 않은 통제 그룹보다
스트레스를 덜 받았습니다.
다음 헤드라인의 문제는 무엇일까요?
"초콜릿 섭취는 학생의
스트레스를 감소시킵니다"
10명의 샘플로 일반적인 결론을
도출하는 것은 논리의 비약입니다.
참여자가 적을수록 랜덤 샘플은
샘플 자체가 전체 인구를 대표한다고
보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더 많은 인구 샘플에서
각각 절반을 남성과 여성이 차지한다면
10명의 샘플을 추출하면
70%가 남성이고 30%가 여성일때
왜곡확률은 12%입니다.
100명의 샘플에서는
0.0025%미만의 확률이지만
1000명의 샘플에서는
6 x 10^-36의 확률보다
낮아집니다.
이와 같이 참여자 수가 적으면
개개인의 결과가 전체 결과에
막대한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큰 맥락의 경향을
왜곡할 수 있습니다.
그럼에도 연구자들이 적은 참여자의
연구를 하는 충분한 이유도 있습니다.
적은 수의 샘플에서 시작해
연구 결과가 전망이 있는지,
총체적이고 고비용의 연구를
계속할지 평가할 수 있습니다.
어떤 연구는 특정한 집단의
참가자가 필요합니다.
많은 인원을 모집하기에 힘든
참가자가 필요할 수도 있죠.
여기서 핵심은 재현 정도 입니다.
만약 기사가 결론을 참가 인원이
적은 연구를 바탕으로 했다면
결론은 의심스러울 수 있습니다.
하지만 비슷한 결과를 낸
많은 연구를 토대로 한다면
더 신빙성이 있겠죠.
여전히 퍼즐 조각이 하나 남아있습니다.
이번 연구에서는 치사율이 높은
희귀병에 대한 신약으로 실험을 합니다.
2,000명의 참가자 샘플에서
진단에 따라 약을 복용하는 참가자는
가짜 약을 섭취한 그룹보다
더 오래 삽니다.
이번에는 질문을 살짝 바꿔봅시다.
만약 헤드라인 내용이 정당한지
결정하기 전 알아야 요소는 뭘 까요?
"신약으로 희귀병 환자 수명 연장"
이건 정당화 될 수 있나요?
그것을 결정하기 전에
얼마나 수명을 연장시키는지
여러분들은 알고 싶을 겁니다.
때때로 연구결과는
과학적으로 타당하면서도
실제결과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췌장암 임상 실험에서
10일의 수명 연장이라는
결과가 나온다면
이로 인해 놀라운 의학기사
헤드라인을 보게 될 겁니다.
그럴 때는 연구를 찬찬히 보십시오.
돈을 지불하지 않고는
논문 전문을 보지는 못 하겠지만,
실험 설계 요약본은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무료 초록에서도
결과를 볼 수 있습니다.
뉴스 기사 내 텍스트로도 가능하죠
뉴스에서 다루는 연구결과를
살펴보는 것은 흥미로운 일이며
연구 결과를 이해하는 것은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