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BVTT 00:00:01.090 --> 00:00:04.058 날마다 우리는 기후변화나 00:00:04.058 --> 00:00:05.968 백신의 안전성 같은 이슈를 접합니다. 00:00:05.968 --> 00:00:08.528 우리가 답해야 하는 질문의 대답은 00:00:08.528 --> 00:00:11.989 과학 정보에 상당히 의존하고 있습니다. 00:00:11.989 --> 00:00:14.870 과학자들은 지구가 온난화되고 있고 00:00:14.870 --> 00:00:17.411 백신이 안전하다고 말합니다. 00:00:17.411 --> 00:00:19.465 하지만 과학자들이 옳다는 걸 어떻게 알죠? 00:00:19.465 --> 00:00:21.429 왜 우리가 과학을 믿어야 하죠? 00:00:21.429 --> 00:00:24.898 사실, 대부분의 사람들은 과학을 믿지 않습니다. 00:00:24.898 --> 00:00:27.074 여론조사 결과를 보면 00:00:27.074 --> 00:00:30.084 미국인의 상당수는 00:00:30.084 --> 00:00:33.625 지구온난화의 원인이 인류에게 있다는걸 믿지 않습니다. 00:00:33.625 --> 00:00:36.564 자연도태에 따른 진화도 믿지 않구요. 00:00:36.564 --> 00:00:40.465 백신이 안전하다는 말도 의심합니다. NOTE Paragraph 00:00:40.465 --> 00:00:44.096 그럼 왜 우리는 과학을 믿어야 할까요? 00:00:44.096 --> 00:00:47.707 과학자들은 과학을 두고 믿음을 말하는걸 싫어합니다. 00:00:47.707 --> 00:00:50.294 사실 과학과 신앙은 대조적이며, 00:00:50.294 --> 00:00:53.260 믿음은 신앙의 영역에 있는 것이죠. 00:00:53.260 --> 00:00:57.038 신앙은 과학과 구별되는 별개의 문제입니다. 00:00:57.038 --> 00:01:00.190 종교는 신앙에 기반한 것이거나 00:01:00.190 --> 00:01:03.884 또는 파스칼의 내기에 나오는 계산법일 수 있습니다. 00:01:03.884 --> 00:01:06.660 블레즈 파스칼은 17세기의 수학자였습니다. 00:01:06.660 --> 00:01:09.370 파스칼은 신을 믿어야 하는지 아닌지에 대한 00:01:09.370 --> 00:01:11.772 과학적인 이유를 대려고 했습니다. 00:01:11.772 --> 00:01:13.846 그의 생각은 이렇습니다. 00:01:13.846 --> 00:01:16.395 만약 신이 존재하지 않는데 00:01:16.395 --> 00:01:18.420 내가 신을 믿는다면 00:01:18.420 --> 00:01:20.398 그다지 잃을 것이 없다. 00:01:20.398 --> 00:01:22.011 뭐 일요일에 몇 시간 정도? 00:01:22.011 --> 00:01:23.004 (웃음) 00:01:23.004 --> 00:01:26.385 하지만 신이 존재하는데 내가 믿지 않는다면 00:01:26.385 --> 00:01:28.402 난 큰 곤경에 처한다. 00:01:28.402 --> 00:01:31.438 그래서 파스칼은 신을 믿는게 좋다고 했죠. 00:01:31.438 --> 00:01:33.400 어쩌면 그는 제 동료 교수처럼 00:01:33.400 --> 00:01:36.006 "신앙의 난간을 붙잡고 있는" 것이겠죠. 00:01:36.006 --> 00:01:38.092 그는 맹목적 신앙을 선택했고 00:01:38.092 --> 00:01:42.296 과학과 합리주의를 버렸습니다. NOTE Paragraph 00:01:42.296 --> 00:01:45.222 그런데 사실 말이죠, 우리들 대부분에게 00:01:45.222 --> 00:01:48.126 대다수 과학적 주장은 맹목적 신앙과 같습니다. 00:01:48.126 --> 00:01:52.591 대부분 경우에 우리는 스스로 과학적 주장을 판단할 수 없으니까요. 00:01:52.591 --> 00:01:55.351 사실 대부분 과학자들도 마찬가지입니다. 00:01:55.351 --> 00:01:57.681 자기 분야가 아니라면 말이죠. 00:01:57.681 --> 00:01:59.281 생각해보세요. 00:01:59.281 --> 00:02:01.951 지질학자가 백신이 안전한지를 말해줄 수는 없잖아요. 00:02:01.951 --> 00:02:04.951 또 화학자들 대부분은 진화론에 대해서 잘 모릅니다. 00:02:04.951 --> 00:02:06.700 물리학자 또한 00:02:06.700 --> 00:02:08.993 담배가 암을 유발하는지 아닌지 00:02:08.993 --> 00:02:12.007 확답을 줄 수 없죠. 00:02:12.007 --> 00:02:14.187 그러니까 만약 과학자들조차도 00:02:14.187 --> 00:02:15.903 자기 전공 외 분야에 대해서 00:02:15.903 --> 00:02:17.655 맹목적 믿음을 가져야 한다면, 00:02:17.655 --> 00:02:21.583 왜 그들은 다른 과학자의 주장을 받아들일까요? 00:02:21.583 --> 00:02:23.881 왜 과학자들은 서로의 주장을 믿는 걸까요? 00:02:23.881 --> 00:02:27.171 그리고 우리도 그걸 믿어야 할까요? NOTE Paragraph 00:02:27.171 --> 00:02:29.947 제가 주장하는 바는, 믿어야 한다는 겁니다. 00:02:29.947 --> 00:02:32.830 하지만 흔히들 생각하시는 이유 때문은 아닙니다. 00:02:32.830 --> 00:02:36.350 학교에서는 과학을 믿어야 하는 이유가 00:02:36.350 --> 00:02:38.572 과학적 방법 때문이라고 가르칩니다. 00:02:38.572 --> 00:02:41.668 과학자들은 어떤 방법을 따르는데 00:02:41.668 --> 00:02:43.844 그 방법이 가설의 사실 여부를 00:02:43.844 --> 00:02:45.840 증명한다고 배웠습니다. 00:02:45.840 --> 00:02:48.860 우리가 학교에서 배운 방법론을 00:02:48.860 --> 00:02:50.836 교과서적 방법론이라고 부릅니다. 00:02:50.836 --> 00:02:53.620 가설 연역적 방법이죠. 00:02:53.620 --> 00:02:56.714 표준 모델, 교과서 모델에 따르면 00:02:56.714 --> 00:02:59.271 과학자들은 가설을 세우고 00:02:59.271 --> 00:03:02.131 가설의 결과를 추론합니다. 00:03:02.131 --> 00:03:03.841 그리고 세상에 발표하면서 묻습니다. 00:03:03.841 --> 00:03:06.355 "자, 이 결론이 맞나요?" 00:03:06.355 --> 00:03:09.548 이것이 자연 세계에서 일어나는 걸 관찰할 수 있나요? 00:03:09.548 --> 00:03:12.148 그렇다면, 과학자가 말합니다. 00:03:12.148 --> 00:03:15.004 "좋아, 이 가설이 옳다는걸 알았어." NOTE Paragraph 00:03:15.004 --> 00:03:17.183 과학사에 나오는 여러 유명한 사례에서 00:03:17.183 --> 00:03:20.062 과학자들은 이렇게 합니다. 00:03:20.062 --> 00:03:22.120 가장 유명한 사례가 00:03:22.120 --> 00:03:24.333 알버트 아인슈타인이죠. 00:03:24.333 --> 00:03:27.025 그가 일반 상대성이론을 만들었을 때 00:03:27.025 --> 00:03:29.171 그 이론의 한가지 결론은 00:03:29.171 --> 00:03:31.950 시공간은 그저 텅 비어있는 것이 아니라 00:03:31.950 --> 00:03:34.169 사실 어떤 구조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었습니다. 00:03:34.169 --> 00:03:35.520 그리고 그 구조는 00:03:35.520 --> 00:03:38.900 태양처럼 거대한 물질이 존재하면 휘어진다는 것이었죠. 00:03:38.900 --> 00:03:41.299 만약 이 이론이 사실이라면 00:03:41.299 --> 00:03:43.177 빛이 태양을 지날 때 00:03:43.177 --> 00:03:45.345 실제로 그 주변에서 휘어야 합니다. 00:03:45.345 --> 00:03:47.745 이것은 깜짝 놀랄만한 예측이었고 00:03:47.745 --> 00:03:49.733 수년이 지난 후에야 과학자들이 00:03:49.733 --> 00:03:51.131 실험을 할 수 있었습니다. 00:03:51.131 --> 00:03:53.521 1919년에 한 실험에서 00:03:53.521 --> 00:03:55.971 이 가설은 사실로 밝혀졌습니다. 00:03:55.971 --> 00:03:58.909 별빛은 태양 주변을 지날 때 정말로 휘었습니다. 00:03:58.909 --> 00:04:01.123 이는 엄청난 확증이었습니다. 00:04:01.123 --> 00:04:03.058 아인슈타인의 과격하고 새로운 이론이 00:04:03.058 --> 00:04:05.420 사실이라는 증거로 받아들여졌습니다. 00:04:05.420 --> 00:04:06.732 그리고 지구상의 수많은 신문이 00:04:06.732 --> 00:04:08.510 이를 보도했습니다. NOTE Paragraph 00:04:09.130 --> 00:04:11.480 이제, 이런 이론 혹은 이런 모델은 00:04:11.480 --> 00:04:14.914 연역-법칙적 모델이라고 불립니다. 00:04:14.914 --> 00:04:18.298 학자들이 말을 어렵게 하는 걸 좋아해서 그래요. 00:04:18.298 --> 00:04:23.559 이상적인 경우에 법칙에 관한 것이죠. 00:04:23.559 --> 00:04:26.061 법칙적이라는 건 법칙과 관련이 있다는 거죠. 00:04:26.061 --> 00:04:29.485 이상적인 경우, 가설은 그저 생각이 아닙니다. 00:04:29.485 --> 00:04:31.811 자연의 법칙이죠. 00:04:31.811 --> 00:04:34.098 자연의 법칙인 것은 왜 중요할까요? 00:04:34.098 --> 00:04:36.826 법칙이라는 것은 바뀔 수 없기 때문입니다. 00:04:36.826 --> 00:04:38.934 만약 법칙이라면 언제나 사실이어야 합니다. 00:04:38.934 --> 00:04:40.178 어느 시공간에서든 00:04:40.178 --> 00:04:42.594 어떤 상황에서도 사실이어야 합니다. 00:04:42.594 --> 00:04:45.613 여러분 모두가 알만한 유명한 법칙은 00:04:45.613 --> 00:04:49.368 아인슈타인의 방정식 E=MC²입니다. 00:04:49.368 --> 00:04:52.032 이것이 말해주는 바는 00:04:52.032 --> 00:04:54.696 에너지와 질량의 관계죠. 00:04:54.696 --> 00:04:57.361 이 관계는 어찌되었든 사실입니다만 NOTE Paragraph 00:04:57.361 --> 00:05:01.010 지금은 이 이론에 관한 몇 가지 오류가 밝혀졌습니다. 00:05:01.010 --> 00:05:04.645 가장 큰 문제는 틀렸다는 거죠. 00:05:04.645 --> 00:05:08.147 맞지 않아요. (웃음) 00:05:08.147 --> 00:05:10.870 이게 왜 틀렸는지 세가지 이유를 말씀드릴게요. 00:05:10.870 --> 00:05:13.549 첫 번째로는, 논리적인 이유에서 틀린 겁니다. 00:05:13.549 --> 00:05:17.065 결과를 단언하는 오류를 범한 것이죠. 00:05:17.065 --> 00:05:19.891 즉 또 하나의 공상이며, 학문적으로 말하면 00:05:19.891 --> 00:05:22.561 잘못된 가설이 올바른 예측을 할 수도 있는 것이죠. 00:05:22.561 --> 00:05:24.555 그러니까 예측이 맞다고 해서 00:05:24.555 --> 00:05:27.549 이론도 옳다고 논리적으로 증명되는 것은 아닙니다. 00:05:27.549 --> 00:05:31.713 좋은 예시가 하나 있는데요, 역시 과학사에 있던 일입니다. 00:05:31.713 --> 00:05:34.403 이 그림은 프톨레마이오스의 우주입니다. 00:05:34.403 --> 00:05:36.265 지구가 우주의 중앙에 있고 00:05:36.265 --> 00:05:38.860 태양과 다른 행성이 주변을 돌고 있죠. 00:05:38.860 --> 00:05:40.890 프톨레마이오스의 이론은 수 세기동안 00:05:40.890 --> 00:05:44.143 대부분 지식인이 사실로 믿었습니다. 00:05:44.143 --> 00:05:45.879 왜일까요? 00:05:45.879 --> 00:05:49.316 이에 근거한 많은 예측이 사실로 드러났기 때문입니다. 00:05:49.316 --> 00:05:51.332 프톨레마이오스의 이론으로 00:05:51.332 --> 00:05:54.082 천문학자들은 행성의 움직임을 정확히 예측할 수 있었고 00:05:54.082 --> 00:05:56.601 오늘날 우리가 사실이라고 믿는 00:05:56.601 --> 00:06:00.925 코페르니쿠스의 지동설보다 더 정확했습니다. 00:06:00.925 --> 00:06:03.907 이런 사례가 바로 교과서적 모델의 문제점입니다. 00:06:03.907 --> 00:06:06.303 두 번째로, 실제적인 문제점이 있습니다. 00:06:06.303 --> 00:06:09.538 보조 가설의 오류이기도 하죠. 00:06:09.538 --> 00:06:11.517 보조 가설은 00:06:11.517 --> 00:06:14.146 과학자들이 추측을 하는 겁니다. 00:06:14.146 --> 00:06:16.939 의식적으로든 무의식적으로든 말이죠. 00:06:16.939 --> 00:06:19.170 이에 대한 중요한 사례는 00:06:19.170 --> 00:06:21.945 코페르니쿠스의 지동설입니다. 00:06:21.945 --> 00:06:25.137 결국 프톨레마이오스의 천동설을 대체했죠. 00:06:25.137 --> 00:06:27.177 니콜라우스 코페르니쿠스는 00:06:27.177 --> 00:06:29.827 지구는 우주의 중심이 아니고 00:06:29.827 --> 00:06:31.745 태양이 태양계의 중심이며 00:06:31.745 --> 00:06:34.177 지구는 태양 주위를 움직인다고 했는데, 00:06:34.177 --> 00:06:36.635 과학자들은 말했죠. "니콜라우스, 그게 사실이라면 00:06:36.635 --> 00:06:38.619 태양 주위를 도는 지구의 움직임을 00:06:38.619 --> 00:06:40.577 감지할 수 있어야 하네." 00:06:40.577 --> 00:06:42.633 이 그림은 별의 시차라는 개념을 00:06:42.633 --> 00:06:44.441 설명하는 그림입니다. 00:06:44.441 --> 00:06:48.263 천문학자들의 말은 이렇습니다. 만약 지구가 움직인다면, 00:06:48.263 --> 00:06:51.463 눈에 띄는 별, 예를 들어 시리우스를 볼 때, 00:06:51.463 --> 00:06:53.877 - 물론 맨하탄에 사는 우리는 별을 볼 수가 없지만, 00:06:53.877 --> 00:06:57.608 도시가 아닌 시골에서 전원생활을 한다고 상상해보세요 - 00:06:57.608 --> 00:07:00.475 12월에 시리우스를 봤을 때 00:07:00.475 --> 00:07:03.240 배경에는 더 먼 별들이 보일 겁니다. 00:07:03.240 --> 00:07:06.194 그리고 6개월 뒤에 다시 별을 보면, 00:07:06.194 --> 00:07:10.006 6월엔 지구가 이 위치로 이동했으니까 00:07:10.006 --> 00:07:14.105 똑같이 시리우스 별을 봐도 뒷 배경은 달라야 합니다. 00:07:14.105 --> 00:07:18.287 이런 차이, 각도의 차이가 바로 별의 시차입니다. 00:07:18.287 --> 00:07:21.150 코페르니쿠스 이론에 기반한 예측이었죠. 00:07:21.150 --> 00:07:23.711 그래서 천문학자들이 별의 시차를 기대했습니다. 00:07:23.711 --> 00:07:28.053 하지만 아무것도 발견하지 못했습니다. 시차가 없었죠. 00:07:28.053 --> 00:07:32.559 그래서 많은 사람들은 코페르니쿠스의 이론이 틀렸다고 주장했습니다. NOTE Paragraph 00:07:32.559 --> 00:07:34.047 그래서 어떻게 됐을까요? 00:07:34.047 --> 00:07:37.080 뒤늦게 우리는 천문학자들에게 00:07:37.080 --> 00:07:39.277 두가지 보조 가설이 있었고 00:07:39.277 --> 00:07:41.940 모두 틀렸다는 것을 알게 되었죠. 00:07:41.940 --> 00:07:45.575 첫 번째는 지구 궤도의 크기를 잘못 추정한 것입니다. 00:07:45.575 --> 00:07:48.611 천문학자들은 별들의 거리에 비해서 00:07:48.611 --> 00:07:50.949 지구의 궤도를 크게 추정했죠. 00:07:50.949 --> 00:07:53.413 오늘날 별의 시차 모형은 이렇습니다. 00:07:53.413 --> 00:07:54.760 이건 NASA에서 만든겁니다. 00:07:54.760 --> 00:07:57.183 보다시피 지구의 궤도는 아주 작죠. 00:07:57.183 --> 00:08:00.174 실제로는, 이 그림보다도 훨씬 작습니다. 00:08:00.174 --> 00:08:01.713 그러므로 별의 시차라는 건 00:08:01.713 --> 00:08:05.297 매우 작고 감지하기가 매우 어렵습니다. NOTE Paragraph 00:08:05.297 --> 00:08:07.271 그리고 그것은 예측이 틀리는 00:08:07.271 --> 00:08:09.130 두번째 이유로 이어지는데, 00:08:09.130 --> 00:08:11.045 천체망원경의 성능이 00:08:11.045 --> 00:08:14.055 별의 시차를 감지할 수 있을 정도로 00:08:14.055 --> 00:08:15.955 정교하다고 가정했던 것입니다. 00:08:15.955 --> 00:08:17.972 망원경은 그만큼 정교하질 못했죠. 00:08:17.976 --> 00:08:20.510 19세기가 되기 전까지는 00:08:20.510 --> 00:08:22.194 과학자들이 별의 시차를 00:08:22.194 --> 00:08:24.638 감지할 수 없었습니다. NOTE Paragraph 00:08:24.638 --> 00:08:26.372 또한 세 번째 문제도 있습니다. 00:08:26.372 --> 00:08:29.150 세 번째는 단순히 사실적 오류입니다. 00:08:29.150 --> 00:08:31.966 대부분의 과학이 교과서적 모델에는 맞지 않습니다. 00:08:31.966 --> 00:08:34.239 대부분 과학은 연역적이지 않습니다. 00:08:34.239 --> 00:08:36.007 사실 귀납적입니다. 00:08:36.007 --> 00:08:38.523 그러니까, 과학자들이 꼭 이론이나 가설로 00:08:38.523 --> 00:08:40.754 시작할 필요가 없습니다. 00:08:40.754 --> 00:08:42.623 자연세계의 현상을 관찰하는 것에서 00:08:42.623 --> 00:08:45.032 시작하곤 합니다. 00:08:45.032 --> 00:08:47.602 이에 관한 가장 유명한 사례는 00:08:47.602 --> 00:08:50.667 세상에서 가장 유명한 과학자, 찰스 다윈입니다. 00:08:50.667 --> 00:08:53.829 다윈이 젊어서 비글호를 타고 여행할 때 00:08:53.829 --> 00:08:57.441 그는 가설도, 이론도 없었습니다. 00:08:57.441 --> 00:09:00.507 단지 과학자 경력을 쌓고 싶어했고 00:09:00.507 --> 00:09:02.889 정보 수집을 시작했죠. 00:09:02.889 --> 00:09:04.689 피를 보는 것을 끔찍하게 싫어했기 때문에 00:09:04.689 --> 00:09:07.067 의학을 싫어하는 것을 알았고 00:09:07.067 --> 00:09:09.335 다른 진로를 찾아야 했습니다. 00:09:09.335 --> 00:09:11.469 그래서 정보를 수집하기 시작했습니다. 00:09:11.469 --> 00:09:14.635 다윈은 많은 것들을 수집했는데, 유명한 참새류도 그 일부였습니다. 00:09:14.635 --> 00:09:16.845 그는 새들을 모아서 가방 안에 던져두었고, 00:09:16.845 --> 00:09:19.185 그것이 어떤 의미인지 몰랐죠. 00:09:19.185 --> 00:09:21.472 몇 년 후 런던에서 00:09:21.472 --> 00:09:23.705 다윈은 수집한 정보들을 다시 보다가 00:09:23.705 --> 00:09:26.153 어떤 해석을 내놓게 되는데 00:09:26.153 --> 00:09:29.451 이것이 바로 자연 도태 이론입니다. NOTE Paragraph 00:09:29.451 --> 00:09:31.510 귀납적인 과학 이외에도 00:09:31.510 --> 00:09:34.446 과학자들은 종종 모델을 만드는데 참여합니다. 00:09:34.446 --> 00:09:36.782 과학자들이 생전에 하고 싶은 일 하나가 00:09:36.782 --> 00:09:39.050 사물의 원인을 설명하는 일입니다. 00:09:39.050 --> 00:09:40.568 어떻게 하냐구요? 00:09:40.568 --> 00:09:42.820 한가지 방법은 이론을 시험하는 00:09:42.820 --> 00:09:44.562 모델을 만드는 것입니다. NOTE Paragraph 00:09:44.562 --> 00:09:46.493 사진 속 인물은 헨리 카델입니다. 00:09:46.493 --> 00:09:49.359 19세기의 스코틀랜드 지질학자죠. 00:09:49.359 --> 00:09:51.092 사냥모자와 웰링턴부츠를 신고 있으니 00:09:51.092 --> 00:09:53.380 스코틀랜드 사람인 건 아시겠죠? 00:09:53.380 --> 00:09:55.334 (웃음) 00:09:55.334 --> 00:09:56.900 카델은 이런 의문을 가졌습니다. 00:09:56.900 --> 00:09:58.668 산은 어떻게 형성되었을까? 00:09:58.668 --> 00:10:00.184 그리고 카델이 관찰한 바로는 00:10:00.184 --> 00:10:02.758 아팔래치아 산맥을 예로 들면 00:10:02.758 --> 00:10:04.391 접혀진 바위들을 볼 수 있는데 00:10:04.391 --> 00:10:06.160 이 바위들이 00:10:06.160 --> 00:10:08.286 특정한 방식으로 접혀져 있습니다. 00:10:08.286 --> 00:10:09.670 카델이 생각하기엔 00:10:09.670 --> 00:10:11.899 이 바위들이 옆에서 눌린 것이었죠. 00:10:11.899 --> 00:10:13.987 이 생각은 후에 대륙이동설에 관한 00:10:13.987 --> 00:10:16.410 논쟁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00:10:16.410 --> 00:10:19.166 그래서 카델은 이 모형, 이 괴상한 장치를 만들었습니다. 00:10:19.166 --> 00:10:21.068 레버와 나무, 그리고 손수레, NOTE Paragraph 00:10:21.068 --> 00:10:23.510 양동이, 커다란 해머가 있습니다. 00:10:23.510 --> 00:10:25.408 왜 웰링턴부츠를 신었는지는 모르겠네요. 00:10:25.408 --> 00:10:26.985 아마 비가 오려고 했나 보죠. 00:10:26.985 --> 00:10:30.390 카델은 이 실제 모형을 만들어서, 00:10:30.390 --> 00:10:34.035 여기서는 진흙을 사용했는데 00:10:34.035 --> 00:10:36.189 바위에 문양을 만들거나 00:10:36.189 --> 00:10:38.645 산처럼 보이게 만들 수 있음을 보여주었습니다. 00:10:38.645 --> 00:10:40.777 양쪽에서 압축해서 말이죠. 00:10:40.777 --> 00:10:44.405 그것은 산의 형성 원인에 관한 논증이었죠. NOTE Paragraph 00:10:44.405 --> 00:10:47.453 요즘에는 대부분의 과학자들이 앉아서 연구합니다. 00:10:47.453 --> 00:10:49.880 실제 모형을 많이 만들지 않고 00:10:49.880 --> 00:10:52.241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활용합니다. 00:10:52.241 --> 00:10:55.080 물론 시뮬레이션도 일종의 모형이죠. 00:10:55.080 --> 00:10:56.943 수학으로 만들어진 모형입니다. 00:10:56.943 --> 00:11:00.176 19세기의 실제 모형과 마찬가지로 00:11:00.176 --> 00:11:03.954 원인을 생각하는데 매우 중요합니다. 00:11:03.954 --> 00:11:06.569 기후변화와 관련된 큰 문제는 00:11:06.569 --> 00:11:08.372 지구가 점점 더워지고 있다는 00:11:08.372 --> 00:11:10.422 증거가 엄청나게 많다는 건데요. 00:11:10.422 --> 00:11:12.716 여기를 보시면, 검은색 선은 00:11:12.716 --> 00:11:14.836 과학자들이 지난 150년간 00:11:14.836 --> 00:11:16.799 측정한 것입니다. 00:11:16.799 --> 00:11:18.349 지구의 온도가 꾸준히 00:11:18.349 --> 00:11:19.983 높아지는 것이 보이시죠. 00:11:19.983 --> 00:11:22.689 특히 최근 50년 동안에 00:11:22.689 --> 00:11:24.453 거의 섭씨 1도 정도, 00:11:24.453 --> 00:11:26.793 혹은 화씨 2도에 가깝게 00:11:26.793 --> 00:11:29.028 급격하게 증가했습니다. NOTE Paragraph 00:11:29.028 --> 00:11:31.605 그렇다면 도대체 무엇이 이런 변화를 일으킬까요? 00:11:31.605 --> 00:11:33.640 더워지는 현상을 관찰했는데 00:11:33.640 --> 00:11:35.456 원인은 어떻게 알 수 있을까요? 00:11:35.456 --> 00:11:37.680 과학자는 모형을 만들 수 있어요. 00:11:37.680 --> 00:11:39.928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활용해서요. 00:11:39.928 --> 00:11:42.330 이 표의 컴퓨터 시뮬레이션에는 00:11:42.330 --> 00:11:44.451 지구의 기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00:11:44.451 --> 00:11:47.056 모든 다양한 요인들이 나타납니다. 00:11:47.056 --> 00:11:49.808 대기오염으로 생긴 황산화입자, 00:11:49.808 --> 00:11:52.778 화산폭발로 인한 화산재, 00:11:52.778 --> 00:11:54.782 태양 복사열의 변화, 00:11:54.782 --> 00:11:57.390 그리고 물론 온실가스도 있죠. 00:11:57.390 --> 00:11:59.618 과학자들은 어떤 변수 요인이 00:11:59.618 --> 00:12:02.904 우리가 보는 현실을 00:12:02.904 --> 00:12:05.880 재생해내는지 물었습니다. 00:12:05.880 --> 00:12:07.910 여기 검은 선이 실제 현실입니다. 00:12:07.910 --> 00:12:10.180 여기 엷은 회색선이 모형인데, 00:12:10.180 --> 00:12:11.780 그 대답은 00:12:11.780 --> 00:12:16.147 이 모델이 앞서 말한 모든 것을 00:12:16.147 --> 00:12:18.302 다 포함한 것이죠. 00:12:18.302 --> 00:12:20.066 관측된 기후 변화를 00:12:20.066 --> 00:12:21.707 재현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00:12:21.707 --> 00:12:24.018 온실가스를 포함한 이 모든 요인을 00:12:24.018 --> 00:12:25.719 함께 집어넣는 것입니다. 00:12:25.719 --> 00:12:28.270 특히, 온실가스의 증가가 00:12:28.270 --> 00:12:30.054 지난 50년간 00:12:30.054 --> 00:12:32.360 기온이 급격하게 증가한 것과 00:12:32.360 --> 00:12:34.220 비슷함을 알 수 있죠. 00:12:34.220 --> 00:12:36.274 그렇기 때문에 기상학자들이 00:12:36.274 --> 00:12:39.382 기후변화가 일어나는 것 뿐만 아니라 00:12:39.382 --> 00:12:42.150 그 주요 원인이 온실가스라는 것도 00:12:42.150 --> 00:12:44.680 알 수 있다고 하는 겁니다. NOTE Paragraph 00:12:44.680 --> 00:12:47.122 자, 이 모든 다양한 일들을 00:12:47.122 --> 00:12:48.767 과학자들이 하기 때문에, 00:12:48.767 --> 00:12:52.263 철학자 파울 파이어아벤트는 이런 유명한 말을 남겼습니다. 00:12:52.263 --> 00:12:55.419 "발전을 막지 않는 유일한 과학 원칙은 00:12:55.419 --> 00:12:57.848 어떤 것이든 허용된다는 것이다." 00:12:57.848 --> 00:13:00.464 이 말은 때로는 문맥을 벗어나서 인용되곤 합니다. 00:13:00.464 --> 00:13:02.582 사실 파이어아벤트가 하려던 말은 00:13:02.582 --> 00:13:04.556 과학에선 뭐든지 허용된다는 게 아니었어요. 00:13:04.556 --> 00:13:05.880 그가 했던 말을 00:13:05.880 --> 00:13:08.024 정확하게 인용하자면 이렇습니다. 00:13:08.024 --> 00:13:10.030 "과학적 방법이 무엇이냐고 00:13:10.030 --> 00:13:11.786 나에게 대답을 강요한다면 00:13:11.786 --> 00:13:15.155 어떤것이든 허용된다고 답하겠다." 00:13:15.155 --> 00:13:16.453 그가 말하려던 의미는 00:13:16.453 --> 00:13:18.910 과학자들이 다양한 방법을 시도한다는 것이었죠. 00:13:18.910 --> 00:13:21.218 과학자들은 창의적입니다. NOTE Paragraph 00:13:21.218 --> 00:13:23.328 다시 이 질문으로 돌아오게 되는군요. 00:13:23.328 --> 00:13:26.799 과학자들이 단일한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면 00:13:26.799 --> 00:13:28.698 무엇이 옳고 그른지 00:13:28.698 --> 00:13:30.306 어떻게 판단할 수 있을까요? 00:13:30.306 --> 00:13:32.050 그 판단은 누가 하나요? 00:13:32.050 --> 00:13:34.130 답을 말하자면, 그 판단은 과학자들이 합니다. 00:13:34.130 --> 00:13:37.013 판별 증거들을 가지고 판단하죠. 00:13:37.013 --> 00:13:40.422 다양한 방식으로 증거를 모으지만 00:13:40.422 --> 00:13:42.224 어떤 식으로 수집했던간에 00:13:42.224 --> 00:13:44.621 철저하게 조사해야합니다. 00:13:44.621 --> 00:13:47.181 그래서 사회학자 로버트 머튼은 00:13:47.181 --> 00:13:49.361 과학자들이 어떻게 자료와 증거를 00:13:49.361 --> 00:13:51.040 철저히 검증하는지 탐구했고 00:13:51.040 --> 00:13:53.848 과학자들이 조사하는 방식을 00:13:53.848 --> 00:13:55.767 "조직화된 회의주의"라고 했습니다. 00:13:55.767 --> 00:13:57.651 조직적이라고 한 이유는 00:13:57.651 --> 00:13:59.129 과학자들이 집단적으로 00:13:59.129 --> 00:14:00.758 그룹을 이루기 때문이고, 00:14:00.758 --> 00:14:02.764 회의주의라고 한 이유는 00:14:02.764 --> 00:14:05.028 의심에서 출발하기 때문입니다. 00:14:05.028 --> 00:14:06.990 그러니까, 증명할 의무는 00:14:06.990 --> 00:14:09.471 가설을 제기한 사람에게 있습니다. 00:14:09.471 --> 00:14:12.614 이런 면에서, 과학은 본질적으로 보수적입니다. 00:14:12.614 --> 00:14:15.186 과학자 집단이 설득을 당해 00:14:15.186 --> 00:14:18.897 "그래, 알겠어, 이건 옳아"라고 말하는 일은 드뭅니다. 00:14:18.897 --> 00:14:21.393 패러다임의 전환이란 개념이 00:14:21.393 --> 00:14:22.990 인기 있기는 하지만, 00:14:22.990 --> 00:14:24.274 우리가 발견한 바로는, 00:14:24.274 --> 00:14:27.059 과학적 사고가 크게 변화한 일은 00:14:27.059 --> 00:14:30.779 과학의 역사에서 찾아보기 힘듭니다. NOTE Paragraph 00:14:30.779 --> 00:14:34.342 그래서 우리는 또 다른 생각을 하게 됩니다. 00:14:34.342 --> 00:14:38.050 과학자들이 집단적으로 증거를 판단한다면 00:14:38.050 --> 00:14:40.062 어떻게 의견이 일치되는지에 00:14:40.062 --> 00:14:42.081 역사학자들은 주목했습니다. 00:14:42.081 --> 00:14:44.126 결국 가장 중요한 것은 00:14:44.126 --> 00:14:45.860 과학이란, 00:14:45.860 --> 00:14:47.760 과학적 지식이란 00:14:47.760 --> 00:14:50.899 과학 전문가들의 합의란 것이죠. 00:14:50.899 --> 00:14:53.121 조직화된 검증, 집단적 검증의 00:14:53.121 --> 00:14:55.360 과정을 거쳐서 00:14:55.360 --> 00:14:57.179 그것이 옳은지 아닌지 00:14:57.179 --> 00:14:59.215 증거를 판단하고 00:14:59.215 --> 00:15:01.231 결론에 이른 것이죠. NOTE Paragraph 00:15:01.231 --> 00:15:03.268 그러므로 우리는 과학적 지식을 00:15:03.268 --> 00:15:05.640 전문가들의 합의라고 볼 수 있습니다. 00:15:05.640 --> 00:15:07.674 또한 과학을 배심원이 되는 것으로 00:15:07.674 --> 00:15:09.028 생각할 수 있어요. 00:15:09.028 --> 00:15:11.524 매우 특별한 배심원이죠. 00:15:11.524 --> 00:15:13.538 평범한 사람들이 아니라 00:15:13.538 --> 00:15:15.604 괴짜들로 이뤄진 배심원이죠. 00:15:15.604 --> 00:15:19.158 모든 배심원이 박사 학위가 있어요. 00:15:19.158 --> 00:15:21.600 일반적인 배심원과 달리 00:15:21.600 --> 00:15:23.530 유죄 또는 무죄 2가지 선택만 00:15:23.530 --> 00:15:25.975 하는 것이 아니라 00:15:25.975 --> 00:15:29.336 과학자들은 여러가지 선택을 할 수 있습니다. 00:15:29.336 --> 00:15:32.157 무언가 옳으면 옳다고 할 수 있어요. 00:15:32.157 --> 00:15:34.730 틀렸으면 틀렸다고 할 수 있어요. 00:15:34.740 --> 00:15:37.281 또는 "사실일 수도 있지만 00:15:37.281 --> 00:15:40.321 더 조사하고 증거를 수집하자"고 할 수도 있죠. 00:15:40.321 --> 00:15:41.940 아니면, "사실일 수도 있지만 00:15:41.940 --> 00:15:43.800 제대로 증명할 방법을 모르니까 00:15:43.800 --> 00:15:45.250 우선은 제쳐두고 00:15:45.250 --> 00:15:47.873 나중에 다시 생각하자"고 할 수도 있죠. 00:15:47.873 --> 00:15:51.875 이런 경우를 과학자들은 "다루기 힘들다"고 말합니다. NOTE Paragraph 00:15:51.875 --> 00:15:54.481 하지만 이러면 우리는 마지막 의문에 도달합니다. 00:15:54.481 --> 00:15:57.419 과학자들이 옳다고 하는 것이 과학이라면 00:15:57.419 --> 00:15:59.960 그저 권위에 호소하는 것 아닌가요? 00:15:59.960 --> 00:16:01.952 권위에 호소하는 것은 논리적 오류라고 NOTE Paragraph 00:16:01.952 --> 00:16:04.249 학교에서 배우지 않았나요? 00:16:04.249 --> 00:16:07.281 이 점이 바로 현대 과학의 역설입니다. 00:16:07.281 --> 00:16:09.993 제 생각에, 역사학자들과 철학자들, 00:16:09.993 --> 00:16:12.154 그리고 사회학자들이 도달한 결론은 00:16:12.154 --> 00:16:15.655 과학이 사실은 권위에 호소하고 있다는 것이죠. 00:16:15.655 --> 00:16:19.431 하지만 그건 개인의 권위가 아닙니다. 00:16:19.431 --> 00:16:21.840 개인이 얼마나 똑똑한가는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00:16:21.840 --> 00:16:25.695 플라톤, 소크라테스, 또는 아인슈타인이라 해도 말이죠. 00:16:25.695 --> 00:16:28.809 과학은 집합적 공동체의 권위에 호소하는 겁니다. 00:16:28.809 --> 00:16:31.795 군중의 지혜라고 생각하실 수도 있지만 00:16:31.795 --> 00:16:35.701 이 경우엔 특별한 종류의 집단이죠. 00:16:35.701 --> 00:16:37.901 과학은 권위에 호소를 합니다만, 00:16:37.901 --> 00:16:39.971 그건 개인에게 근거하는 것이 아니며 00:16:39.971 --> 00:16:42.447 그 개인이 얼마나 똑똑한지는 중요하지 않습니다. 00:16:42.447 --> 00:16:44.348 그것의 근거는 집단적 지혜, 00:16:44.348 --> 00:16:46.730 집단적 지식, 집단적 연구입니다. 00:16:46.730 --> 00:16:48.688 특정한 문제에 대해서 00:16:48.688 --> 00:16:51.465 함께 연구하는 과학자 모두의 것이죠. 00:16:51.465 --> 00:16:54.251 과학자들에겐 집단적으로 의심하는 문화가 있습니다. 00:16:54.251 --> 00:16:56.451 "증명해 봐" 하는 문화죠. 00:16:56.451 --> 00:16:58.401 여기 멋진 여성이 동료들에게 00:16:58.401 --> 00:17:01.483 증거를 보여주는 모습이 있네요. 00:17:01.483 --> 00:17:03.680 물론, 이 사람들이 진짜 과학자 같지는 않네요. 00:17:03.680 --> 00:17:05.376 너무 행복해 보이니까요. 00:17:05.376 --> 00:17:09.338 (웃음) NOTE Paragraph 00:17:09.338 --> 00:17:13.660 자, 그래서 결론을 말씀드리자면 00:17:13.660 --> 00:17:16.308 우리는 다들 아침에 일어나고, 00:17:16.308 --> 00:17:17.718 자동차를 신뢰합니다. 00:17:17.718 --> 00:17:19.260 저는 맨하탄에 살기 때문에 00:17:19.260 --> 00:17:20.688 좋은 비유는 아니지만, 00:17:20.688 --> 00:17:23.382 맨하탄에 살지 않는 대부분의 미국인들은 00:17:23.382 --> 00:17:25.120 아침에 일어나서 차를 탑니다. 00:17:25.120 --> 00:17:27.649 시동을 걸면 차가 작동을 하죠. 00:17:27.649 --> 00:17:29.650 놀랍게도 잘 작동합니다. 00:17:29.650 --> 00:17:32.365 요즘 자동차는 거의 망가지지가 않아요. NOTE Paragraph 00:17:32.365 --> 00:17:35.148 왜 그럴까요? 어째서 이렇게 잘 작동하는거죠? 00:17:35.148 --> 00:17:37.392 그건 핸리 포드, 칼 벤츠, 또는 엘론 머스크같은 사람들의 00:17:37.392 --> 00:17:40.743 천재성 때문이 아닙니다. NOTE Paragraph 00:17:40.743 --> 00:17:42.885 이는 현대의 자동차가 00:17:42.885 --> 00:17:47.249 100년이 넘는 노동의 산물이며, 00:17:47.249 --> 00:17:49.311 거기엔 수백, 수천, 수만명이 00:17:49.311 --> 00:17:51.053 관여했기 때문입니다. 00:17:51.053 --> 00:17:52.956 현대의 자동차는 그 동안 00:17:52.956 --> 00:17:55.715 자동차 산업에 종사해온 00:17:55.715 --> 00:17:57.972 각각의 남녀의 집합적 노동과 00:17:57.972 --> 00:17:59.750 지혜와 경험의 산물입니다. 00:17:59.750 --> 00:18:02.615 기술을 믿을 수 있는 이유는 00:18:02.615 --> 00:18:05.298 축적된 노력의 결과이기 때문입니다. 00:18:05.298 --> 00:18:07.715 우리는 차를 타는 것은 천재였던 벤츠나 00:18:07.715 --> 00:18:09.451 포드나 머스크 덕분이 아니라 00:18:09.451 --> 00:18:11.989 현대의 자동차를 만들기 위해 00:18:11.989 --> 00:18:14.240 열심히 일해온 모든 사람들의 노력과 00:18:14.240 --> 00:18:16.070 집단적 지식 덕분이죠. 00:18:16.070 --> 00:18:18.170 과학도 자동차와 마찬가지입니다. 00:18:18.170 --> 00:18:20.804 단지 과학이 더 오래 됐죠. 00:18:20.804 --> 00:18:23.378 우리가 과학을 신뢰하는 근거는 00:18:23.378 --> 00:18:26.052 기술을 신뢰하는 근거와 같고, 00:18:26.052 --> 00:18:30.039 무엇이든 신뢰하는 것, 00:18:30.039 --> 00:18:32.267 말하자면, 경험과 같습니다. NOTE Paragraph 00:18:32.267 --> 00:18:34.821 하지만 이 신뢰는 우리가 아무 것이나 믿는 00:18:34.821 --> 00:18:36.921 맹목적인 믿음이 되어서는 안됩니다. 00:18:36.921 --> 00:18:39.762 과학에 대한 신뢰는, 과학처럼 00:18:39.762 --> 00:18:41.675 증거에 기반해야 합니다. 00:18:41.675 --> 00:18:43.247 그러기 위해서 과학자들은 00:18:43.247 --> 00:18:45.225 소통에 더 관심을 가져야겠지요. 00:18:45.225 --> 00:18:47.812 뭘 아는지 뿐만 아니라 00:18:47.812 --> 00:18:49.864 어떻게 알았는지도 설명해야 합니다. 00:18:49.864 --> 00:18:53.730 그리고 우리도 더 나은 청취자가 되려 노력해야겠죠. NOTE Paragraph 00:18:53.730 --> 00:18:55.149 감사합니다. NOTE Paragraph 00:18:55.149 --> 00:18:57.452 (박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