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드레아 지텔 : "왜건 스테이션 캠프"] [여성 #1] 저는 1주 정도 이곳에 있었어요. 2주 정도 있을 예정이에요. 시간이 아주 많을 것 같아요. 경치 보면서 작품도 많이 만들고요. 이건 저한테 연구 활동 같은 거에요. 많은 사람들이 여러 가지 이유로 사막으로 옵니다. 역사적으로 보아도 그렇습니다. 사람들이 모여서 등산을 하거나 요리를 하는 등의 이유로 이곳에 옵니다. 텐트 같은 것도 챙겨서 이곳을 돌아다니는데 왜건 스테이션은 진짜 여기에 잘 맞는 것 같아요. 왜건에 들어가서 개인적인 시간을 보낼 수도 있고 사람들 모임에서 완전히 떠난 것도 아닌 여유로운 상태가 될 수도 있어요. [웃음] [여성 #2] 여기서 좋은 시간 보내면 좋은데! [여성 #1] 사람들이 여기서 같이 요리 해 먹었으면 좋겠어요. [여성 #2] 사람들한테 진짜 그렇게 말할거에요? [여성#1] 그럼요. [여성 #2] 저한테 양파랑 사과가 있어요. [여성 #3] 진짜 부러운데요. [웃음] 지텔이 공간을 사용하는 방법이 정말 뛰어나다고 생각해요. 저는 이게 정말 흥미로운 모델이 된다고 생각해요. 사적인 거주공간이죠. 공식적인 주거공간은 아지만요. 지텔이 이 공간을 개방해서 사람들이 올 수 있습니다. 예술가나 창조적인 일 을 하는 사람들이 만나 함께 살 수 있는 아주 진보적인 방식이에요. 압박을 주는 요소도 따로 없고요. [여성 #1] 저는 하이킹을 아주 많아 했어요. 사진도 찍고요. 독서도 하고요. 저는 글을 쓸겁니다. 안드레아는 저한테 아주 관대하게 말을 했어죠. [여성 #2] 요즘같은 때에 관대한 사람은 찾기 힘들죠. 아주 급진적이라고 생각해요. [지텔] 좋아요. 새로운 문제가 있어요. 글자 아래에 종이가 꼈어요. 개척자 정신을 가지고 처음부터 다시시작해야겠네요. 왜건스테이션의 역사에는 두 세대가 관련되어 있습니다. 첫 번째 세대는 제 친구들이랑 제가 함께 작업을 했던 사람들이었어요. 그들은 여기 와서 한동안 머물다 갔어요. 그렇지만 왜건 스테이션에 오는 사람들은 정해져 있었어요. 그 사람들은 이곳을 자신에게 맞게 변경해서 사용하곤 했어요. 당시 왜건 스테이션은 굉장히 자발적인 성격이 강한 곳이었습니다. 안에 캠프 스토브도 있었어요. 당시에 그런 것들을 치워버렸는데 스테이션에서 그 사람들이 따로 행동하기 시작했기 때문이에요. 그 사람들은 전시를 위해 여행을 다니던 사람들이었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