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00:00:00,385 --> 00:00:01,557 이전 강의에서는 2 00:00:01,557 --> 00:00:04,459 감수 분열, 그 중에서도 3 00:00:04,459 --> 00:00:06,398 감수 1분열, 더 자세히 말하자면 4 00:00:06,398 --> 00:00:08,964 감수 1분열 전기에 대해 배우기 시작했습니다 5 00:00:08,964 --> 00:00:11,018 그 곳에서 일어나는 흥미로운 일들을 6 00:00:11,018 --> 00:00:12,783 설명하는 데 시간을 꽤 썼습니다 7 00:00:12,783 --> 00:00:15,198 체세포 분열의 전기와 비슷하게 8 00:00:15,198 --> 00:00:19,226 핵막이 사라지기 시작하고 9 00:00:19,226 --> 00:00:23,022 염색체들이 현미경에서도 볼 수 있는 10 00:00:23,022 --> 00:00:24,705 밀집한 형태로 11 00:00:24,705 --> 00:00:26,505 뭉치게 됩니다 12 00:00:26,505 --> 00:00:29,395 하지만 감수 1분열, 그 중에서도 특히 전기에서 13 00:00:29,395 --> 00:00:32,820 흥미로웠던 것은 14 00:00:32,820 --> 00:00:35,479 염색체 교차가 일어난다는 점입니다 15 00:00:35,479 --> 00:00:39,484 이 과정은 감수 1분열에서 빈번하게 일어납니다 16 00:00:39,484 --> 00:00:43,303 상동염색체 쌍의 동일한 부분이 17 00:00:43,303 --> 00:00:47,238 서로 교차하게 되는 과정입니다 18 00:00:47,238 --> 00:00:51,329 이 부분들은 보통 같은 유전자의 19 00:00:51,329 --> 00:00:54,139 정보를 담고 있으며 즉 그 유전자의 20 00:00:54,139 --> 00:00:55,892 다양한 변이형이라 할 수 있습니다 21 00:00:55,892 --> 00:00:57,343 서로 다른 대립 형질을 가지게 되면 22 00:00:57,343 --> 00:00:59,653 유성 생식에서의 23 00:00:59,653 --> 00:01:02,277 유전적 다양성을 더할 수 있으니 24 00:01:02,277 --> 00:01:04,970 꽤 괜찮은 방식입니다 25 00:01:04,970 --> 00:01:07,036 다시 감수 분열 그 중에서도 26 00:01:07,036 --> 00:01:09,718 감수 1분열로 돌아가 봅시다 27 00:01:09,718 --> 00:01:11,993 다음에 이어지는 과정은 무엇일까요? 28 00:01:12,000 --> 00:01:17,260 바로 중기 감수 1분열 중기입니다 29 00:01:17,560 --> 00:01:21,814 체세포 분열의 중기와는 몇 가지 공통점이 있습니다 30 00:01:21,814 --> 00:01:24,943 세포를 그려서 설명해 봅시다 31 00:01:25,727 --> 00:01:30,231 이것이 세포막이고 32 00:01:30,231 --> 00:01:32,413 이것이 중심체입니다 중심체는 33 00:01:32,413 --> 00:01:34,800 세포 분열에서 큰 역할을 할 것입니다 34 00:01:35,153 --> 00:01:38,032 핵막이 사라졌으며 35 00:01:38,032 --> 00:01:41,527 체세포 분열에서의 중기처럼 36 00:01:41,527 --> 00:01:43,674 유전자들은 제가 그리는 37 00:01:43,674 --> 00:01:48,225 이 선을 따라 정렬될 것입니다 38 00:01:48,225 --> 00:01:49,595 그려 봅시다 39 00:01:49,600 --> 00:01:53,320 이 염색체는 40 00:01:53,780 --> 00:01:57,180 자매 염색분체 두 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41 00:01:57,245 --> 00:01:58,905 염색체 교차 과정에서 42 00:01:58,905 --> 00:02:00,507 교환된 유전자는 43 00:02:00,507 --> 00:02:01,285 다른 색을 섞어 44 00:02:01,285 --> 00:02:03,189 표현해봅시다 45 00:02:03,189 --> 00:02:05,685 어머니에게서 물려받은 46 00:02:05,685 --> 00:02:07,792 염색체 한 개가 더 있습니다 47 00:02:07,972 --> 00:02:09,063 이 염색체도 48 00:02:09,063 --> 00:02:12,134 염색체 교차 과정을 거쳤습니다 49 00:02:12,280 --> 00:02:15,480 그림으로 표현해봅시다 50 00:02:15,580 --> 00:02:17,000 유전자 한 쌍이 51 00:02:17,004 --> 00:02:19,082 더 있다고 칩시다 52 00:02:19,082 --> 00:02:23,221 아버지에게서 물려받은 염색체입니다 53 00:02:23,621 --> 00:02:26,692 복제 과정을 거쳐 염색 분체 두 개로 이루어져 있죠 54 00:02:26,720 --> 00:02:27,661 어머니에게서 55 00:02:27,661 --> 00:02:30,226 물려받은 염색체에서는 염색체 교차가 56 00:02:30,226 --> 00:02:32,171 일어나지 않았다고 칩시다 57 00:02:32,525 --> 00:02:34,818 상동 재조합도 일어나지 않았기에 58 00:02:35,311 --> 00:02:37,360 염색체 길이가 조금 짧습니다 59 00:02:38,248 --> 00:02:40,379 동원체를 그려 보겠습니다 60 00:02:40,605 --> 00:02:43,095 파란색으로 나타내 보겠습니다 61 00:02:43,449 --> 00:02:47,442 동원체와 62 00:02:47,442 --> 00:02:48,824 중심체가 있습니다 63 00:02:48,824 --> 00:02:51,262 중심체들을 분리시켜 주는 64 00:02:51,262 --> 00:02:54,303 방추사들도 나타내 봅시다 65 00:02:54,303 --> 00:02:58,529 방추사는 염색체의 동원체에 66 00:02:58,529 --> 00:03:01,629 이 그림과 같이 부착되기도 합니다 67 00:03:01,629 --> 00:03:05,146 염색체에 붙은 방추사가 68 00:03:05,146 --> 00:03:07,398 기능하는 방식은 69 00:03:07,398 --> 00:03:08,223 제가 보기에 70 00:03:08,223 --> 00:03:10,579 매우 놀라운 일입니다 71 00:03:10,579 --> 00:03:13,447 단백질 다발이 72 00:03:13,447 --> 00:03:17,986 화학적 혹은 열역학적인 과정을 통해 73 00:03:17,986 --> 00:03:19,901 염색체를 옮긴다던지 하는 74 00:03:19,901 --> 00:03:24,684 흥미로운 일을 해낼 수 있고 75 00:03:24,684 --> 00:03:27,401 유성 생식을 하는 데 필요한 76 00:03:27,401 --> 00:03:30,965 생식 세포도 만들어낼 수 있기 때문입니다 77 00:03:30,965 --> 00:03:32,300 수십억 년의 78 00:03:32,300 --> 00:03:38,000 진화 과정을 거쳐 발달되었다는 것이 대단히 놀랍습니다 79 00:03:38,320 --> 00:03:41,157 그 복잡함도 믿을 수 없을뿐더러 80 00:03:41,157 --> 00:03:42,504 우리는 아직 이 과정이 어떻게 진행되는지를 81 00:03:42,504 --> 00:03:43,874 완벽히 설명할 수도 없기 때문이죠 82 00:03:43,874 --> 00:03:45,836 염색체를 이동시키는 미세소관 등의 83 00:03:45,840 --> 00:03:50,960 운동단백질들이 84 00:03:51,200 --> 00:03:53,753 늘어나고 줄어드는 방식은 85 00:03:53,753 --> 00:03:55,761 상당히 흥미롭습니다 86 00:03:55,761 --> 00:03:58,733 다시 본론으로 돌아가봅시다 87 00:03:58,733 --> 00:04:01,252 지금까지 감수 1분열 중기에 대해 알아보았으니 88 00:04:01,252 --> 00:04:03,632 이제 후기로 넘어가 보죠 89 00:04:03,632 --> 00:04:06,581 이제 후기로 넘어가 봅시다 90 00:04:06,581 --> 00:04:08,004 91 00:04:08,113 --> 00:04:11,533 감수 1분열 후기에서는 92 00:04:12,014 --> 00:04:14,881 체세포 분열의 후기에서처럼 93 00:04:14,881 --> 00:04:19,072 염색체들이 서로 분리되게 되지만 94 00:04:19,072 --> 00:04:21,893 한 가지 매우 중요한 95 00:04:21,893 --> 00:04:24,349 차이점이 있습니다 96 00:04:24,378 --> 00:04:29,378 체세포 분열에서 자매 염색분체들은 97 00:04:30,159 --> 00:04:32,121 서로 분리되어 98 00:04:32,121 --> 00:04:34,779 두 개의 염색체를 형성합니다 99 00:04:34,779 --> 00:04:37,554 감수 분열에서는 이 과정이 일어나지 않으며 100 00:04:37,554 --> 00:04:41,849 자매 염색분체들은 계속 결합되어 있습니다 101 00:04:41,849 --> 00:04:45,942 대신 상동 염색체끼리 접합해 형성된 2가염색체가 102 00:04:45,970 --> 00:04:47,370 분리됩니다 103 00:04:47,549 --> 00:04:49,952 그림으로 설명해보겠습니다 104 00:04:49,952 --> 00:04:52,959 자매 염색분체들은 서로 떨어지지 않습니다 105 00:04:52,960 --> 00:04:57,140 세포의 한쪽 끝으로 이동하고 있는 106 00:04:57,540 --> 00:05:00,017 염색체를 그려보겠습니다 107 00:05:00,017 --> 00:05:03,395 다른 염색체와 유전 정보 108 00:05:03,395 --> 00:05:06,037 일부를 교환했습니다 109 00:05:06,077 --> 00:05:09,102 다른 쪽 끝으로 이동하고 있는 110 00:05:09,540 --> 00:05:15,400 염색체도 그려보겠습니다 111 00:05:15,520 --> 00:05:17,628 서로 다른 색으로 표현해 112 00:05:17,628 --> 00:05:19,787 쉽게 구별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113 00:05:19,787 --> 00:05:22,824 세포의 양쪽 끝으로 114 00:05:23,375 --> 00:05:25,035 이동하고 있는 염색체 115 00:05:25,040 --> 00:05:32,200 몇 개를 더 그려보겠습니다 116 00:05:32,380 --> 00:05:34,728 중심체를 그려봅시다 117 00:05:34,728 --> 00:05:37,410 중심체가 118 00:05:37,410 --> 00:05:39,290 염색체를 끌어오고 있습니다 119 00:05:39,290 --> 00:05:41,844 다른 관점에서 보자면 중심체들이 120 00:05:41,844 --> 00:05:43,667 염색체들을 이동시키면서 121 00:05:43,667 --> 00:05:45,072 세포의 반대편 끝에 122 00:05:45,072 --> 00:05:48,671 도달하기 위해 서로를 밀어내는 것입니다 123 00:05:48,671 --> 00:05:50,609 방추사가 염색체를 124 00:05:50,609 --> 00:05:52,165 끌어오는 과정은 125 00:05:52,165 --> 00:05:54,313 매우 흥미롭습니다 126 00:05:54,313 --> 00:05:56,530 상동 염색체 쌍들은 127 00:05:56,530 --> 00:05:58,794 다시 한 번 무작위로 128 00:05:58,794 --> 00:06:00,732 분리됩니다 129 00:06:00,732 --> 00:06:02,926 어떤 염색체가 세포의 130 00:06:02,926 --> 00:06:04,087 어느 쪽에 있을지 131 00:06:04,087 --> 00:06:05,388 모르는 것입니다 132 00:06:05,388 --> 00:06:10,388 이 과정은 생식 세포의 유전적 다양성을 133 00:06:12,365 --> 00:06:15,685 더욱 증가시키며 형성된 생식 세포들은 134 00:06:15,685 --> 00:06:19,423 모두 서로 다른 유전 정보를 가지게 됩니다 135 00:06:19,423 --> 00:06:20,932 감수 1분열 후기에서는 136 00:06:20,932 --> 00:06:22,209 염색체가 분리되었습니다 137 00:06:22,209 --> 00:06:25,315 말기에서는 무슨 일이 일어날지 생각해 봅시다 138 00:06:25,332 --> 00:06:30,332 감수 1분열 말기는 139 00:06:32,564 --> 00:06:36,553 체세포분열의 말기와 140 00:06:36,553 --> 00:06:39,502 꽤 비슷한 과정을 거칩니다 141 00:06:39,502 --> 00:06:44,221 세포질 분열이 시작됩니다 142 00:06:44,412 --> 00:06:47,001 사실 체세포 분열에서 세포질 분열은 143 00:06:47,001 --> 00:06:49,811 빠르면 후기쯤에 시작되기도 합니다 144 00:06:49,811 --> 00:06:51,540 말기에서는 그 과정이 145 00:06:51,540 --> 00:06:53,119 겉으로 드러나게 되죠 146 00:06:53,119 --> 00:06:58,119 상동 염색체 쌍이 완벽하게 분리되어 147 00:06:58,378 --> 00:06:59,794 세포의 양쪽 끝으로 이동합니다 148 00:06:59,794 --> 00:07:03,451 염색체가 풀어지기 시작하며 149 00:07:03,451 --> 00:07:04,856 염색사가 되죠 150 00:07:04,856 --> 00:07:09,856 염색체가 풀어지는 것을 표현해 보겠습니다 151 00:07:10,359 --> 00:07:12,327 이 염색체에는 다른 염색체의 152 00:07:12,390 --> 00:07:16,877 유전 정보도 조금 섞여 있습니다 153 00:07:17,278 --> 00:07:19,530 이 염색체도 154 00:07:19,530 --> 00:07:22,177 풀어지며 155 00:07:22,177 --> 00:07:24,127 염색사가 되고 있습니다 156 00:07:24,127 --> 00:07:28,376 다른 염색체도 그려 보죠 157 00:07:28,376 --> 00:07:32,207 이 염색체 또한 158 00:07:32,207 --> 00:07:34,686 풀어지고 있습니다 159 00:07:35,248 --> 00:07:39,114 이 염색체도 마찬가지입니다 160 00:07:39,114 --> 00:07:41,384 교차 현상으로 인해 161 00:07:41,668 --> 00:07:42,968 주황색 염색체 일부가 섞였군요 162 00:07:42,968 --> 00:07:45,847 핵막이 다시 형성되기 시작합니다 163 00:07:51,791 --> 00:07:54,368 핵막이 사라지고 염색체가 만들어지던 164 00:07:54,368 --> 00:07:55,750 감수분열 전기 과정을 165 00:07:55,750 --> 00:07:58,159 반대로 하는 셈이죠 166 00:07:58,524 --> 00:08:03,522 핵막 바깥에 위치한 167 00:08:03,632 --> 00:08:06,732 중심체들을 살펴보면 168 00:08:06,732 --> 00:08:09,664 방추사도 분해되고 있다는 것을 169 00:08:09,866 --> 00:08:11,747 알 수 있습니다 170 00:08:11,747 --> 00:08:14,591 그리고 세포질분열이 일어나 171 00:08:14,591 --> 00:08:17,006 이 세포는 172 00:08:17,006 --> 00:08:20,379 두 개의 딸세포로 분열됩니다 173 00:08:20,512 --> 00:08:22,311 지금까지 감수 분열의 174 00:08:22,311 --> 00:08:26,406 첫 번째 단계를 살펴보며 이배체 세포가 175 00:08:26,406 --> 00:08:31,406 두 개의 반수체로 분열되는 과정을 알아보았습니다 176 00:08:32,250 --> 00:08:35,283 하지만 아직 끝난 것이 아닙니다 177 00:08:35,283 --> 00:08:37,546 이 강의에서 알아보았던 178 00:08:37,546 --> 00:08:39,323 모든 과정들은 179 00:08:39,323 --> 00:08:42,608 감수 분열의 첫 단계에 지나지 않습니다 180 00:08:42,608 --> 00:08:44,268 감수 1분열이라는 뜻이죠 181 00:08:44,268 --> 00:08:48,482 다음 시간에는 감수 2분열에 대해 182 00:08:48,482 --> 00:08:50,775 알아보도록 합시다 183 00:08:51,141 --> 00:08:56,141 다시 강조하자면 184 00:08:56,620 --> 00:08:59,610 이 모든 과정은 감수 분열의 첫 번째 단계입니다 185 00:09:00,103 --> 00:09:04,712 감수 1분열을 통해 186 00:09:04,712 --> 00:09:07,242 두 개의 딸세포가 만들어지는데 187 00:09:07,242 --> 00:09:08,740 이 세포들은 반수체이며 핵상은 n=2입니다 188 00:09:08,740 --> 00:09:13,186 이 세포들은 반수체이며 핵상은 n=2입니다 189 00:09:13,186 --> 00:09:15,183 이 세포들은 반수체이며 핵상은 n=2입니다 190 00:09:15,183 --> 00:09:16,460 이 염색체들은 191 00:09:16,460 --> 00:09:20,418 각각 두 개의 자매 염색분체를 가지고 있는데, 192 00:09:20,418 --> 00:09:22,543 체세포분열과 비슷한 과정을 거치는 193 00:09:22,543 --> 00:09:24,598 감수 2분열에서는 194 00:09:24,598 --> 00:09:27,419 이 자매 염색분체들이 195 00:09:27,419 --> 00:09:28,661 염색체로부터 분리되어 196 00:09:28,661 --> 00:09:32,120 각각 두 개의 딸세포를 형성할 것입니다 197 00:09:32,120 --> 00:09:33,583 지금 보이는 것처럼 198 00:09:33,583 --> 00:09:35,278 이 세포의 핵상은 n=2 입니다 199 00:09:35,278 --> 00:09:37,008 세포당 두 개의 200 00:09:37,008 --> 00:09:38,517 염색체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201 00:09:38,517 --> 00:09:42,017 다음 시간에는 감수 2분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