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라우마'의 사전적 정의는 극도로 힘겨운 상황을 겪으면서 받는 극심한 감정적 충격과 고통을 말합니다. 트라우마를 극복하는 방법은 정해져 있지 않습니다. 그러나, 영화 "그리고 베를린에서"가 보여주는 베를린과 브루클린이라는 각각의 서로 다른 공동체가 그들을 형성한 비극에 어떻게 대응하는지 볼 수 있습니다. 그러고 나서, 우리의 트라우마에 대처한는 방법을 배울 수 있죠. 브루클린에선, 트라우마가 19살의 에스티와 그녀의 공동체의 정체성을 형성합니다. 모든 행동은 하시딕 유태인의 비밀스런 '사트마' 공동체 강령에 따릅니다. 현재 루마니아인 사투 마레의 유태인 학살로 부터 도피한 랍비에 의해 확립됐읍니다. 사트마 공동체는 이방인과 섞이지 않습니다. "그리고 베를린에서"를 보면 남녀가 분리되어 배석한 유월절 만찬에서, 유태인들이 포로 생활하던 고대 이집트로 부터의 탈출을 매년 기념하는 것인데, 에스티의 할아버지가 그에 대한 자신의 이유를 말해줍니다. [할아버지] 우리는 우리자신에게 유월절 이야기를 들려준다 우리의 고통을 상기하기 위해서. [내레이터] 이영화가 경축하는 것은 가족과 전통에 대한 강한 유대, 에스티의 공동체 안에서, 종교적 관습과 기도가 안전하게 이루어 질 수 있는 곳, 살상하는 공격이 유태 교회당에서, 그리고 유태인들이 드나드는 다른 곳들 전 세계에서 일어나고 있는 동안. 이 공동체는 경건한 생활로 유태인 차별주의에 대항합니다. 우리는 또 이 장면에서 사트마 유태인들이 어떻게 과거의 트라우마로 거대한 사악한 바깥 세상에 대한 공포를 조성하는지 봅니다. [할아버지] 우리가 친지와 이웃을 믿었을 때 하나님은 우리를 벌했다. 우리가 누군지 잊으면 하나님의 분노를 산다. [내레이터] 유태인 학살은 생존자들에게 PTSD (트라우마 후 스트레스 장애)를 낳습니다. 그 충격은 존속합니다. 아우슈비츠 생존자이고, 생화학자, 작가인 프리모 레비가 말하기를: "아우슈비츠 는 우리 밖에 있다, 그렇지만, 우리를 둘러싸고 있다, 공기로. 그 역병은 소멸됐지만, 그 전염성은 아직 남아있어, 그것을 부정하는 것은 어리석은 일이다." 이러한 대를 물리는 트라우마는 에스티 가문의 뿌리에서 자라나 에스티의 인격을 형성합니다. 그녀가 열정을 탐구하는 것은 공동체 가치에 위배됨으로 저지됩니다. 그녀의 피아노 렛슨은 눈총거리여서, 비밀리에 받아야 합니다. 그녀의 선생님, 비비안 드롭킨은, '쉭사' 혹은 비유태인이라고 비웃음 받습니다. 재미있게도, 영화 전체를 통해 한 번도 언급하지 않는 것은, 드롭킨은, 비정통, 세속화된 유태인이라는 겁니다. 그녀의 신앙에도 불구하고, 그녀의 선택들이 정통 유대적이 아니라서, 에스티의 경건한 공동체가 보기에는요. [이디쉬어 말하는 사람] 많은 정통 유태인들이 믿기로는 유태인 학살의 트라우마를 바로잡는 것은, 인구를 재생하는 것이다. 2013년 퓨 센터의 연구는 정통 유태인의 출생율 4.1을 보인다, 미 전국 출생율 1.8에 비교하여. 에스티는 그녀가 가르침 받은 것을 전적으로 믿는다, 후일 저항하지만, "우리는 잃어버린 6백만을 다시 확립한다." 홀로코스트에서 유태인들이 학살당했다. [할머니] 너무 많이 갔어. 그래도 곧 네 자식들이 생길거야. [내레이터] 6백만은 하찮은 숫자가 아니예요. 그래서, 그녀의 살림을 잘 챙기고, 남펴,얭키 샤피로릏 잘 먹이고 , 양복 잘 대려 주고, 하는 것 외에, 에스티의 일은 자녀를 양산하는 거였어요. [여인] 너는 이 결혼에 아무런 권력 행사권이 없어, 애를 낳을 때까지, 알겠니? [내레이터] 그녀가 듣는 얘기는, 성교가 남편을 즐겁게 할거고, 그 댓가로, 그녀가 바로 원하는 것, 그게 그녀가 원하는 거라고 들은 것, 아기를 가질 거라는 거죠. 이런 식으로 트라우마에 대처하는 것의 문제는 , 그것이 도미노 효과를 낳는다는 거예요. 학술 분야 중 후성 유전학이라는 것, 세대간의 트라우마나, 혹은 대를 잇는 트라우마에 대처하는 학문입니다. 어떤 연구는 DNA가 끔찍한 경험의 결과 변화됨을, 그런 다음, 대를 물려 전수 되는 것을 암시합니다. 후서 유전학을 통해서건 아니건, 이 영화 "그리고 베를린에서"는 트라우마를 가진 부모가 고의가 아닌데, 자녀에게 트라우마를 자행합니다. 에스티의 조부모는 굳어있읍니다, 아시다시피, 홀로코스트로 상실되어. 그들의 아들 , 모르데카이는 정신적으로 불안정합니다. 리아는, 그녀의 트라우마는, 주로, 그녀에게 주어진 틀에 딱 들어 맞지 못하는 데서 비롯됩니다. 에스티는 그녀의 부모의 고통에 뒤덮여 있어요. 그런데 지금 신부가 되고 보니, 규칙들이 성가셔요. [미세스 샤피로] 이 결혼에 찬성하지 말걸 그랬어. [양키 샤피로] 엄마, 제발! [미세스 샤피로] 그 부모 그 자식이지, 부전자전. [내레이터] 에스티가 주장을 폈다가, 잠자리가 고통을 감수하는 것이 아니라, 즐거울 수 있다는, 그게 하나님의 뜻이라는 성경을 증거로 인용하면서, 그녀는 입을 닫아야했다. [얭키 샤피로] 여자는 탈무드를 읽으면 안돼! [내레이터] 이 원본은 여성이 아닌, 남성만을 위한 것, 소위, 알려진 바, "Kavod Hatzibur" (모든 인간의 존업성) 혹은 지역 사회의 품위 때문에. 에스티의 이야기는 트라우마에 대한 사회적 반응이 어떻게 부당하게 여성의 입을 막는지를 보여줍니다. 에스티는 그녀의 시댁 사촌 모이셰가 하는 것의 절반도 허용되지 않습니다. 모이셰는 도둑, 거짓말장이, 뻔뻔스럽고, 남의 체면 가리지 않습니다. 그런데, 그의 행동은 자기 혐오에서 나옵니다. 그의 도덕적 부패, 트라우마가 그를 따라잡아서, 그 자신 깨닫건대, 그는 한 공동체의 유대나, 다른 쪽의 수단 둘 다 잃었음을 알게 된거죠. [모이셰가 웃음을 터트림] [내레이터] 한편, 얭키는, 모이셰에 비하면 성인, 트라우마를 할당받는데, 어릴 적 멋 모르고 한 헌신, 그의 공동체를 지키기로, 무슨 수단이던지 가리지않고. 브룩클린에서는 안타깝게도, 우리는 트라우마가 또 트라우마를 낳는 것을 봅니다. 에스티 엄마가 말하듯: [리아] 브룩클린에서 손실이 크다, 하나님의 이름으로. 율법들, 소문들. 에스티가 견딜 수 없는 게 당연하지. [내레이터] 베를린에서는, 한편 트라우마에 다른 식으로 대처하고 있어요. [고전 음악] 영화 "베를린에서는" 아돌프 히틀러가 전에 세력을 떨치던 곳을 자유주의적이고, 다양한 유유자적 하는, 사람들, 특히 젊은이들이, 무엇을 원하든, 언제던, 누구와 할 수 있는 곳으로 그려놓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