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라우마'의 사전적 정의는 극도로 힘겨운 상황을 겪으면서 받는 극심한 감정적 충격과 고통을 말합니다. 트라우마를 극복하는 방법은 정해져 있지 않습니다. 그러나, 영화 "그리고 베를린에서"가 보여주는 베를린과 브루클린이라는 각각의 서로 다른 공동체가 그들을 형성한 비극에 어떻게 대응하는지 볼 수 있습니다. 그러고 나서, 우리의 트라우마에 대처한는 방법을 배울 수 있죠. 브루클린에선, 트라우마가 19살의 에스티와 그녀의 공동체의 정체성을 형성합니다. 모든 행동은 하시딕 유태인의 비밀스런 '사트마' 공동체 강령에 따릅니다. 현재 루마니아인 사투 마레의 유태인 학살로 부터 도피한 랍비에 의해 확립됐읍니다. 사트마 공동체는 이방인과 섞이지 않습니다. "그리고 베를린에서"를 보면 남녀가 분리되어 배석한 유월절 만찬에서, 유태인들이 포로 생활하던 고대 이집트로 부터의 탈출을 매년 기념하는 것인데, 에스티의 할아버지가 그에 대한 자신의 이유를 말해줍니다. [할아버지] 우리는 우리자신에게 유월절 이야기를 들려준다 우리의 고통을 상기하기 위해서. [내레이터] 이영화가 경축하는 것은 가족과 전통에 대한 강한 유대, 에스티의 공동체 안에서, 종교적 관습과 기도가 안전하게 이루어 질 수 있는 곳, 살상하는 공격이 유태 교회당에서, 그리고 유태인들이 드나드는 다른 곳들 전 세계에서 일어나고 있는 동안. 이 공동체는 경건한 생활로 유태인 차별주의에 대항합니다. 우리는 또 이 장면에서 사트마 유태인들이 어떻게 과거의 트라우마로 거대한 사악한 바깥 세상에 대한 공포를 조성하는지 봅니다. [할아버지] 우리가 친지와 이웃을 믿었을 때 하나님은 우리를 벌했다. 우리가 누군지 잊으면 하나님의 분노를 산다. [내레이터] 유태인 학살은 생존자들에게 PTSD (트라우마 후 스트레스 장애)를 낳습니다. 그 충격은 존속합니다. 아우슈비츠 생존자이고, 생화학자, 작가인 프리모 레비가 말하기를: "아우슈비츠 는 우리 밖에 있다, 그렇지만, 우리를 둘러싸고 있다, 공기로. 그 역병은 소멸됐지만, 그 전염성은 아직 남아있어, 그것을 부정하는 것은 어리석은 일이다." 이러한 대를 물리는 트라우마는 에스티 가문의 뿌리에서 자라나 에스티의 인격을 형성합니다. 그녀가 열정을 탐구하는 것은 공동체 가치에 위배됨으로 저지됩니다. 그녀의 피아노 렛슨은 눈총거리여서, 비밀리에 받아야 합니다. 그녀의 선생님, 비비안 드롭킨은, '쉭사' 혹은 비유태인이라고 비웃음 받습니다. 재미있게도, 영화 전체를 통해 한 번도 언급하지 않는 것은, 드롭킨은, 비정통, 세속화된 유태인이라는 겁니다. 그녀의 신앙에도 불구하고, 그녀의 선택들이 정통 유대적이 아니라서, 에스티의 경건한 공동체가 보기에는요. [이디쉬어 말하는 사람] 많은 정통 유태인들이 믿기로는 유태인 학살의 트라우마를 바로잡는 것은, 인구를 재생하는 것이다. 2013년 퓨 센터의 연구는 정통 유태인의 출생율 4.1을 보인다, 미 전국 출생율 1.8에 비교하여. 에스티는 그녀가 가르침 받은 것을 전적으로 믿는다, 후일 저항하지만, "우리는 잃어버린 6백만을 다시 확립한다." 홀로코스트에서 유태인들이 학살당했다. [할머니] 너무 많이 갔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