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00:00:00,418 --> 00:00:04,726 이 강의에서는 연산의 순서에 대해 2 00:00:04,726 --> 00:00:06,500 설명하려고 합니다 3 00:00:06,500 --> 00:00:08,547 주의할 게 있어요 4 00:00:08,547 --> 00:00:10,793 수학에서 하는 모든 것은 확실하게 5 00:00:10,793 --> 00:00:14,524 연산의 순서에 기초를 두어야하기 때문이에요 6 00:00:14,524 --> 00:00:17,571 연산의 순서라는 것은 무슨 뜻일까요? 7 00:00:17,571 --> 00:00:19,520 예제로 설명할게요 8 00:00:19,549 --> 00:00:23,420 수학식을 해석하는 길은 하나여야 한다는 거에요 9 00:00:23,420 --> 00:00:26,239 다음과 같은 수학식이 있다고 합시다 10 00:00:26,239 --> 00:00:32,293 7 더하기 3 곱하기 5 11 00:00:32,293 --> 00:00:36,511 연산의 순서에 합의하지 않으면 12 00:00:36,511 --> 00:00:39,335 이 식을 두 가지로 해석할 수 있어요 13 00:00:39,335 --> 00:00:41,424 단순히 왼쪽부터 오른쪽으로 계산하는 거에요 14 00:00:41,424 --> 00:00:46,526 7 + 3을 하고 15 00:00:46,526 --> 00:00:49,319 거기에 5를 곱하면 16 00:00:49,319 --> 00:00:53,249 7 + 3은 10 이고 17 00:00:53,249 --> 00:00:56,657 여기에 5를 곱하면 18 00:00:56,657 --> 00:00:59,751 10 * 5가 되어 50 이에요 19 00:00:59,751 --> 00:01:01,645 이것이 첫 번째 해석이에요 20 00:01:01,645 --> 00:01:03,597 21 00:01:03,597 --> 00:01:05,810 단순히 왼쪽에서 오른쪽 순서로 진행한 거에요 22 00:01:05,810 --> 00:01:07,252 다른 해석은 23 00:01:07,252 --> 00:01:10,403 덧셈을 하기 전에 곱셈을 먼저 하는 거에요 24 00:01:10,403 --> 00:01:14,397 이렇게 해석할 수도 있어요 25 00:01:14,397 --> 00:01:21,666 7에 3 *5 를 먼저 계산해 더하는 거에요 26 00:01:21,666 --> 00:01:22,815 27 00:01:22,815 --> 00:01:32,750 7에다 3 × 5를 계산한 15를 더해면 22에요 28 00:01:32,750 --> 00:01:35,713 7 + 3 × 5를 두 가지로 해석할 수 있었어요 29 00:01:35,713 --> 00:01:37,756 첫 번째는 단순히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계산해서 30 00:01:37,756 --> 00:01:39,985 덧셈을 먼저하고 곱셈을 했어요 31 00:01:39,985 --> 00:01:41,916 다른 방법은 곱셈을 먼저 하고 덧셈을 했어요 32 00:01:41,916 --> 00:01:45,248 그래서 2개의 다른 답을 구했어요 33 00:01:45,248 --> 00:01:50,388 만약 이 수식이 어떤 것을 달에 보내는 일이었다면 34 00:01:50,388 --> 00:01:52,233 두 사람이 이 식을 서로 다르게 해석했기 때문에 35 00:01:52,233 --> 00:01:54,106 한 컴퓨터는 왼쪽으로 해석하고 다른 컴퓨터는 오른쪽으로 해석했다면 36 00:01:54,106 --> 00:01:57,278 인공위성은 화성으로 갔을 수도 있어요 37 00:01:57,301 --> 00:01:59,401 이것은 용납될 수 없는 일이고 38 00:01:59,401 --> 00:02:03,141 그래서 연산 순서를 합의해야 해요 39 00:02:03,141 --> 00:02:06,644 이 수식을 해석하는 방법에 대한 합의에요 40 00:02:06,644 --> 00:02:13,122 합의된 연산 순서는 괄호를 먼저 계산하고 41 00:02:13,122 --> 00:02:19,034 괄호 먼저 42 00:02:19,034 --> 00:02:21,258 다음은 지수에요 지수가 무엇인지를 모른다면 43 00:02:21,258 --> 00:02:24,731 지금 당장은 걱정 안해도 되요 44 00:02:24,731 --> 00:02:30,403 이 강의에서는 지수가 있는 예제는 다루지 않을 거에요 45 00:02:30,409 --> 00:02:36,291 다음에 곱셈과 나눗셈을 해요 46 00:02:36,291 --> 00:02:37,928 47 00:02:37,928 --> 00:02:40,652 곱셈과 나눗셈은 순위가 같아요 48 00:02:40,652 --> 00:02:47,553 마지막으로 덧셈과 뺄셈을 해요 49 00:02:47,553 --> 00:02:49,867 연산의 순서는 무엇인가요? 50 00:02:49,867 --> 00:02:55,755 여기 써 있는 것이 합의된 연산 순서에요 51 00:02:55,755 --> 00:02:58,350 이 연산 순서를 따르면 52 00:02:58,350 --> 00:03:00,309 항상 주어진 수식에 대해서 같은 답을 구할 수 있어요 53 00:03:00,309 --> 00:03:02,656 7 + 3 × 5는 무엇을 말하는 걸까요? 54 00:03:02,656 --> 00:03:05,281 가장 바른 해석은 55 00:03:05,281 --> 00:03:07,159 이 식에는 괄호가 없어요 56 00:03:07,159 --> 00:03:10,947 괄호는 숫자 주변에 이렇게 좀 구부러진 거에요 57 00:03:10,947 --> 00:03:12,329 괄호가 있는 58 00:03:12,329 --> 00:03:15,111 예제를 몇 개 해볼게요 59 00:03:15,111 --> 00:03:17,025 이 식에는 지수도 없어요 60 00:03:17,025 --> 00:03:20,499 이 식에 곱셈이 있어요 61 00:03:20,499 --> 00:03:20,853 62 00:03:20,853 --> 00:03:25,352 연산 순서에서 곱셈과 나눗셈이 우선 순위에요 63 00:03:25,352 --> 00:03:28,320 이 식에서는 곱셈을 먼저해야 되요 64 00:03:28,320 --> 00:03:32,580 여기 3 × 5를 먼저 계산해야 해요 65 00:03:32,580 --> 00:03:36,735 곱셈은 덧셈이나 뺄셈 보다 우선 순위에요 66 00:03:36,735 --> 00:03:39,508 3 곱하기 5 를 계산하면 67 00:03:39,508 --> 00:03:42,679 15이고 여기에 7을 더해요 68 00:03:42,679 --> 00:03:44,723 69 00:03:44,723 --> 00:03:47,866 여기에는 덧셈이 있네요 70 00:03:47,866 --> 00:03:52,321 곱셈을 먼저 계산해서 15이고 여기에 7을 더하면 22에요 71 00:03:52,326 --> 00:03:56,113 합의된 연산 순서를 따라 계산한 72 00:03:56,113 --> 00:03:59,375 22가 정답이에요 73 00:03:59,375 --> 00:04:03,544 다른 문제를 풀어봅시다 74 00:04:03,544 --> 00:04:08,082 연산의 순서를 확실하게 알 수 있을 거에요 75 00:04:08,082 --> 00:04:10,467 76 00:04:10,467 --> 00:04:17,932 7 + 3 에 괄호가 있고 77 00:04:19,871 --> 00:04:30,652 × 4 ÷ 2 - 5 × 6 를 해보겠습니다 78 00:04:30,652 --> 00:04:33,756 복잡한 연산이 모두 여기에 있는데요 79 00:04:33,756 --> 00:04:37,477 연산의 순서를 따르면 수식이 간단해져서 80 00:04:37,477 --> 00:04:39,409 모두 정답을 구할 수 있어요 81 00:04:39,409 --> 00:04:41,631 연산 순서를 따라 해 볼게요 82 00:04:41,631 --> 00:04:43,752 첫 번째로 괄호를 찾아봐야 해요 83 00:04:43,752 --> 00:04:45,473 여기에 괄호가 있나요? 84 00:04:45,473 --> 00:04:48,798 네, 7 +3 에 괄호가 있네요 85 00:04:48,798 --> 00:04:55,277 괄호안에 있는 7 +3 을 계산하면 10 이에요 86 00:04:55,277 --> 00:04:57,199 간단히 할 수 있어요 87 00:04:57,199 --> 00:05:01,256 10 곱하기 나머지 식으로요 88 00:05:01,256 --> 00:05:06,266 복사해서 붙이면 계속 쓸 필요가 없어요 89 00:05:06,266 --> 00:05:06,870 90 00:05:06,870 --> 00:05:10,079 이제 10 곱하기 나머지 식으로 간단히 됐고 91 00:05:10,079 --> 00:05:13,330 괄호를 먼저 계산했고 그 다음 무엇을 해야 하나요? 92 00:05:13,330 --> 00:05:15,362 이 수식에는 더 이상의 괄호가 없구요 93 00:05:15,362 --> 00:05:18,106 다음으로 지수를 해야 하는데 이 식에는 지수가 없어요 94 00:05:18,106 --> 00:05:20,145 지수가 어떻게 생겼는지 궁금하다면 95 00:05:20,145 --> 00:05:23,163 지수는 이렇게 생겼어요 7의 제곱으로 96 00:05:23,163 --> 00:05:25,699 오른쪽 위에 있는 작은 수에요 97 00:05:25,699 --> 00:05:27,927 여기엔 지수가 없으니 걱정할 필요 없어요 98 00:05:27,935 --> 00:05:32,742 다음으로 곱셈과 나눗셈을 해야되요 99 00:05:32,742 --> 00:05:34,199 곱셈이 있는지 살펴보면 100 00:05:34,199 --> 00:05:38,826 곱셈, 나눗셈, 다시 곱셈이 있네요 101 00:05:38,826 --> 00:05:43,795 같은 순위의 연산이 여러 개 있을 때에는 102 00:05:43,795 --> 00:05:47,474 곱셈과 나눗셈은 같은 순위니까 103 00:05:47,474 --> 00:05:50,482 왼쪽부터 오른쪽으로 계산해요 104 00:05:50,482 --> 00:05:58,711 이 식에서는 10에 4를 곱하고 나서 2를 나눠야 해요 105 00:05:58,711 --> 00:05:59,166 106 00:05:59,166 --> 00:06:04,547 뺄셈을 하기 전에 5 × 6 을 해요 107 00:06:04,547 --> 00:06:06,504 계산해 봅시다 108 00:06:06,504 --> 00:06:08,984 곱하기를 먼저 하면 109 00:06:08,984 --> 00:06:11,757 10 × 4를 하고 동시에 5 × 6을 할 수도 있는데요 110 00:06:11,757 --> 00:06:13,262 틀리지 않기 때문이에요 111 00:06:13,262 --> 00:06:15,433 하지만 한 번에 한 단계씩만 해 볼게요 112 00:06:15,433 --> 00:06:20,111 다음 단계는 10 × 4 에요 113 00:06:20,111 --> 00:06:25,733 10 × 4는 40이에요 114 00:06:25,733 --> 00:06:28,626 40을 2로 나눠요 115 00:06:28,626 --> 00:06:31,519 나머지를 복사하고 붙이면 116 00:06:31,519 --> 00:06:34,414 이렇게 단순해져요 117 00:06:34,414 --> 00:06:38,472 곱셈과 나눗셈은 동급이라는 것을 기억하세요 118 00:06:38,472 --> 00:06:40,000 왼쪽부터 오른쪽으로 계산해요 119 00:06:40,000 --> 00:06:43,006 이것을 곱하기 2분의 1로 표현할 수도 있는데요 120 00:06:43,006 --> 00:06:45,510 순서의 문제가 아니라 단순화의 문제에요 121 00:06:45,510 --> 00:06:49,333 곱셈과 나눗셈이 같이 있으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계산해요 122 00:06:49,333 --> 00:06:53,116 40 ÷ 2 - 5 × 6 이 되요 123 00:06:53,116 --> 00:06:57,697 여기 나눗셈이 있고 124 00:06:57,697 --> 00:06:59,763 여기 곱셈이 있는데 125 00:06:59,763 --> 00:07:01,909 곱셈과 나눗셈이 같이 있지 않지만 126 00:07:01,909 --> 00:07:03,671 실제로는 동시에 할 수도 있어요 127 00:07:03,671 --> 00:07:07,015 뺄셈 하기 전에 곱셈과 나눗셈을 먼저 계산한다는 것을 기억하세요 128 00:07:07,015 --> 00:07:11,605 곱셈과 나눗셈은 덧셈과 뺄셈 보다 우선 순위가 높기 때문에 129 00:07:11,605 --> 00:07:13,871 괄호를 넣을 수도 있어요 130 00:07:13,871 --> 00:07:16,387 40 ÷ 2 와 5 × 6을 먼저 계산 해요 131 00:07:16,387 --> 00:07:22,338 곱셈과 나눗셈이 뺄셈보다 우선 순위니까 132 00:07:22,355 --> 00:07:26,690 40을 2로 나누면 20 이고 빼기 부호 쓰고 133 00:07:26,690 --> 00:07:31,071 5 * 6 은 30이에요 134 00:07:31,071 --> 00:07:35,668 20 - 30은 음수 10이에요 135 00:07:35,668 --> 00:07:39,012 이것이 정답이에요 136 00:07:39,012 --> 00:07:41,035 아주 확실히 정리해 봅시다 137 00:07:41,035 --> 00:07:45,667 연산의 우선 순위가 같은 것끼리 있으면 138 00:07:45,667 --> 00:07:51,922 1 + 2 - 3 + 4 - 1을 한다면 139 00:07:51,922 --> 00:07:55,253 덧셈과 뺄셈은 연산 순서에서 같은 순위니까 140 00:07:55,253 --> 00:07:58,352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계산해야 되요 141 00:07:58,352 --> 00:08:01,455 1 더하기 2는 3이고 142 00:08:01,455 --> 00:08:05,872 그러면 3 빼기 3 더하기 4 빼기 1 이 되요 143 00:08:05,872 --> 00:08:10,316 3 - 3은 0이고 여기에 + 4 - 1 이에요 144 00:08:10,316 --> 00:08:13,424 이것은 4 빼기 1과 같고 145 00:08:13,424 --> 00:08:16,675 3 이에요 146 00:08:16,675 --> 00:08:20,529 곱셈과 나눗셈도 마찬가지에요 147 00:08:20,529 --> 00:08:22,666 같은 순위니까요 148 00:08:22,666 --> 00:08:29,400 4 곱하기 2 나누기 3 곱하기 2를 계산하면 149 00:08:29,400 --> 00:08:35,344 4 곱하기 2는 8이고 나누기 3 곱하기 2가 되서 150 00:08:35,344 --> 00:08:39,338 8 나누기 3은 분수가 되어 151 00:08:39,338 --> 00:08:44,353 3분의 8이 되고 3분의 8 곱하기 2가 되요 152 00:08:44,353 --> 00:08:50,855 3분의 8 곱하기 2는 3분의 16이 되요 153 00:08:50,855 --> 00:08:55,782 이 식을 해석해서 정답을 구한 거에요 154 00:08:55,782 --> 00:08:56,335 155 00:08:56,335 --> 00:08:59,815 순서를 마음대로 할 수 있을 때는 156 00:08:59,815 --> 00:09:03,184 모두 덧셈이거나 모두 곱셈일 때에요 157 00:09:03,184 --> 00:09:08,682 1 + 5 + 7 + 3 + 2를 한다면 158 00:09:08,682 --> 00:09:11,267 어떤 순서로 하건 상관이 없어요 159 00:09:11,267 --> 00:09:13,164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할 수도 있고 160 00:09:13,174 --> 00:09:14,539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할 수도 있어요 161 00:09:14,539 --> 00:09:15,886 중간부터 할 수도 있어요 162 00:09:15,886 --> 00:09:18,757 하지만 덧셈만 있을 때에요 163 00:09:18,757 --> 00:09:21,528 모두 곱셈만 있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에요 164 00:09:21,528 --> 00:09:25,379 1 × 5 × 7 × 3 × 2 를 한다면 165 00:09:25,379 --> 00:09:28,192 순서를 어떻게 하건 상관 없어요 166 00:09:28,192 --> 00:09:32,140 모두 덧셈이거나 모두 곱셈인 경우에만 적용되요 167 00:09:32,140 --> 00:09:34,682 나눗셈이나 뺄셈이 여기에 섞여 있으면 168 00:09:34,682 --> 00:09:39,267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진행하는 것이 가장 좋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