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00:00:16,000 --> 00:00:18,000 이런 모습을 상상해 보세요: 2 00:00:18,000 --> 00:00:20,000 여러분이 친구와 함께 시트콤을 보고 있습니다. 3 00:00:20,000 --> 00:00:22,000 시트콤 속의 한 건방진 조수가 4단짜리 웨딩 케잌을 들고 4 00:00:22,000 --> 00:00:25,000 방으로 들어오고 있습니다. 5 00:00:25,000 --> 00:00:25,000 그가 발을 접질러서 6 00:00:25,000 --> 00:00:26,000 넘어지고 7 00:00:26,000 --> 00:00:28,000 케잌에 얼굴을 박았습니다. 8 00:00:28,000 --> 00:00:31,000 여러분의 친구는 박장대소하며 말합니다. 9 00:00:31,000 --> 00:00:34,000 "아, 너무 웃겨! 아이러니해!" 10 00:00:34,000 --> 00:00:36,000 글쎄요, 여러분은 어떤가요? 11 00:00:36,000 --> 00:00:38,000 여러분은 관객들의 웃음 소리에 따라 웃으면서 12 00:00:38,000 --> 00:00:41,000 아이러니에 대한 오해를 묵인하고 있나요? 13 00:00:41,000 --> 00:00:43,000 아니면, 마음 단단히 먹고 14 00:00:43,000 --> 00:00:45,000 아이러니의 진짜 뜻을 설명하시나요? 15 00:00:45,000 --> 00:00:48,000 만약 여러분이 저라면, 여러분은 후자를 택하시겠죠. 16 00:00:48,000 --> 00:00:52,000 불행히도, 사람들은 아이러니를 완전하게 오해해 왔어요. 17 00:00:52,000 --> 00:00:54,000 우리는 뭔가 웃기거나 우연인 것을 볼 때 18 00:00:54,000 --> 00:00:57,000 아이러니라는 말을 쓰곤 해요. 19 00:00:57,000 --> 00:01:00,000 아이러니한 게 웃길 수도 있지만, 20 00:01:00,000 --> 00:01:04,000 그게 아이러니한 것의 주된 요소는 아닙니다. 21 00:01:04,000 --> 00:01:07,000 만약 어떤 상황이 예상되는 것과 정반대로 일어나면 22 00:01:07,000 --> 00:01:10,000 그 상황은 아이러니한 것입니다. 23 00:01:10,000 --> 00:01:13,000 여러분이 A라고 예상했는데, B가 나오면 24 00:01:13,000 --> 00:01:15,000 아이러니한 것이죠. 25 00:01:15,000 --> 00:01:17,000 처음의 케잌 상황을 예로 들어 보겠습니다. 26 00:01:17,000 --> 00:01:20,000 누군가가 균형을 못잡으며 불안하게 뭘 들고 걸으면 27 00:01:20,000 --> 00:01:22,000 혼자 옮길 수 없겠죠. 28 00:01:22,000 --> 00:01:25,000 발을 접지르고, 넘어지고, 난장판이 될거에요. 29 00:01:25,000 --> 00:01:27,000 이건 우습지만, 아이러니 하지는 않아요. 30 00:01:27,000 --> 00:01:29,000 사실, 누군가 혼자서 엄청 큰 케잌을 가지고 들어온다면 31 00:01:29,000 --> 00:01:32,000 넘어질 거라고 당연히 예상할거에요. 32 00:01:32,000 --> 00:01:35,000 그가 그렇게 됐을 때, 예상한 일이 실제로 일어났고, 33 00:01:35,000 --> 00:01:38,000 따라서 그건 아이러니하지 않아요. 34 00:01:38,000 --> 00:01:41,000 하지만 만약 그가 1996년 애틀란타 올림픽에서 35 00:01:41,000 --> 00:01:43,000 케잌 들고 걷기 대회에서 우승한 금메달을 목에 걸고 36 00:01:43,000 --> 00:01:46,000 들어왔다면 어땠을까요? 37 00:01:46,000 --> 00:01:49,000 만약 전문 케잌 운반사였다면 어땠을까요? 38 00:01:49,000 --> 00:01:52,000 그럼, 아마 타당한 예상을 하고 있었을 겁니다. 39 00:01:52,000 --> 00:01:54,000 그가 말도 안되는 큰 케잌을 운반할 때 40 00:01:54,000 --> 00:01:57,000 더 잘 할 수 있을거라는. 41 00:01:57,000 --> 00:02:02,000 그리고 그 타당한 예상을 깨고 그가 넘어진다면, 42 00:02:02,000 --> 00:02:05,000 그건 아이러니의 좋은 예가 될거에요. 43 00:02:05,000 --> 00:02:06,000 다른 예로, 44 00:02:06,000 --> 00:02:09,000 한 노인이 문자 메세지를 보내고 블로그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45 00:02:09,000 --> 00:02:10,000 아주 '성숙한' 어르신들에 대한 46 00:02:10,000 --> 00:02:13,000 평범하고 타당한 예상은 47 00:02:13,000 --> 00:02:16,000 그들이 기술을 싫어하거나 모르거나, 48 00:02:16,000 --> 00:02:19,000 컴퓨터를 작동시키는데 어려움이 있거나, 49 00:02:19,000 --> 00:02:22,000 또는 1980년대에 만들어진 듯한 벽돌같이 큰 핸드폰을 가지고 있을거라고 생각하는 것입니다. 50 00:02:22,000 --> 00:02:25,000 사람들은 노인들이 51 00:02:25,000 --> 00:02:26,000 최첨단 기술 52 00:02:26,000 --> 00:02:27,000 문자 메세지에 대한 지식 53 00:02:27,000 --> 00:02:29,000 블로그 운영 등, 54 00:02:29,000 --> 00:02:31,000 "나 때는 말이야" 라고 말할 수 있는 55 00:02:31,000 --> 00:02:35,000 과거에 경험해 보지 못한 것들과 연결되어 있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56 00:02:35,000 --> 00:02:37,000 그래서 할머니가 스마트폰을 꺼내 57 00:02:37,000 --> 00:02:39,000 그녀의 틀니나 58 00:02:39,000 --> 00:02:40,000 손자 사진을 어딘가에 게시할 때, 59 00:02:40,000 --> 00:02:42,000 아이러니가 생겨납니다. 60 00:02:42,000 --> 00:02:46,000 논리적인 예상이 상황에 맞지 않는 것 61 00:02:46,000 --> 00:02:48,000 그것이 아이러니입니다. 62 00:02:48,000 --> 00:02:51,000 그래서 케익을 떨어뜨린 경우은 아이러니가 될 수 없으며, 63 00:02:51,000 --> 00:02:55,000 인생의 모든 종류의 상황들이 그렇습니다. 64 00:02:55,000 --> 00:02:59,000 밖으로 나가서 진짜 아이러니의 예들을 찾아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