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00:00:02,200 --> 00:00:07,000 언플러그드 활동 | 컴퓨터적 사고 2 00:00:08,000 --> 00:00:09,900 컴퓨터적 사고에 대한 이번 강의에서 3 00:00:10,100 --> 00:00:13,769 어떻게 크고 어려운 문제를 4 00:00:13,769 --> 00:00:17,420 여러개의 간단한 문제들로 쪼개는지 가르쳐주려고 합니다. 5 00:00:17,420 --> 00:00:20,650 이번 강의의 목표는 괴물을 따라 그리려고 하는 사람을 위해 6 00:00:20,650 --> 00:00:24,700 설명서를 적도록 하는 것입니다. 7 00:00:24,700 --> 00:00:28,509 학생들은 설명서를 적는 그룹으로 나뉘고 8 00:00:28,509 --> 00:00:30,500 몬스터를 그려야하는 다른 그룹이랑 바꿀꺼에요. 9 00:00:32,510 --> 00:00:34,400 그룹들은 설명서를 컴퓨터적 사고 4단계를 사용하여 10 00:00:34,400 --> 00:00:37,000 설명서를 적습니다. 11 00:00:37,000 --> 00:00:38,300 문제분해 (decomposition) 12 00:00:38,300 --> 00:00:40,000 패턴의 위치 (pattern location) 13 00:00:40,100 --> 00:00:41,900 추상화 (abstraction) 14 00:00:41,900 --> 00:00:43,200 알고리즘 (algorithms) 15 00:00:43,200 --> 00:00:46,000 먼저, 그룹원들은 문제를 분해합니다. 16 00:00:46,000 --> 00:00:48,000 다시말해 게임 계획을 세우는 거에요. 17 00:00:48,000 --> 00:00:52,719 그리고, 카달로그에있는 모든 괴물들간의 패턴을 찾습니다. 18 00:00:52,719 --> 00:00:56,370 괴물들 사이에 차이점이 있는 경우, 19 00:00:56,370 --> 00:00:59,870 그런 내용을 추상화하거나, 디테일을 삭제합니다. 20 00:00:59,870 --> 00:01:04,430 예를들어, 하나의 괴물이 vegitas 눈을 갖고있고, 다른 괴물은 21 00:01:04,430 --> 00:01:06,800 다른 괴물은 spritem 눈을 갖고 있을텐데요, 22 00:01:06,800 --> 00:01:08,270 하지만, 둘은 모두 눈을 가지고 있다는 공통점이 있어요. 23 00:01:08,270 --> 00:01:12,800 우리는 이렇게 적을 수 있습니다. "이 괴물은 ( ) 눈을 가지고 있다" 24 00:01:13,000 --> 00:01:16,300 이렇게 학생들은 어떤 스타일인지는 공란으로 두고 괴물의 일부들을 나열하는 25 00:01:16,300 --> 00:01:19,729 설명서를 적을 수 있는데, 26 00:01:19,729 --> 00:01:22,000 이것을 알고리즘이라고 해요. 27 00:01:22,000 --> 00:01:24,900 이것은 친구들에게 전달하면 누구나 자기 자신만의 괴물을 만들수있는 28 00:01:24,900 --> 00:01:28,900 하나의 설명서가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