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BVTT 00:00:00.240 --> 00:00:04.938 (지하철 안내 방송 소리) 00:00:04.938 --> 00:00:08.574 (나레이터) 우리는 들을 수 있는 사람들을 위한 세상에 살고 있습니다. 00:00:08.574 --> 00:00:10.770 (여성) "여보세요, 내 말 들려?" 00:00:11.380 --> 00:00:17.191 (일상에서 들을 수 있는 다양한 소리들) 00:00:17.191 --> 00:00:20.960 (일상에서 들을 수 있는 다양한 소리들) 00:00:20.960 --> 00:00:24.147 (나레이터) 하지만 만약 들을 수 없는 사람들을 위해 설계된 00:00:24.147 --> 00:00:26.319 세상의 모습은 어떻게 생겼으며 어떤 느낌일까요? 00:00:26.319 --> 00:00:29.050 ♪ (박자가 빠른 음악) ♪ 00:00:29.050 --> 00:00:31.190 워싱턴 DC의 갤로댓 대학은 00:00:31.190 --> 00:00:33.848 농아인 그리고 난청인을 위한 학교입니다. 00:00:33.848 --> 00:00:36.240 그리고 이 학교는 듣지 못하는 학생들의 00:00:36.240 --> 00:00:39.590 감각적인 경험을 기반으로 전체 건물을 재설계 하였습니다. 00:00:39.590 --> 00:00:44.480 ♪ (박자가 빠른 음악) ♪ 00:00:44.480 --> 00:00:47.320 line:1 어떻게 하면 우리가 건물 전체를, 캠퍼스를 00:00:47.320 --> 00:00:50.810 심지어는 도시를 DeafSpace와 일치할 수 있는지 00:00:50.810 --> 00:00:55.130 시험해 보기 위한 도전을 이제 막 00:00:55.130 --> 00:00:57.770 시작했을 뿐입니다. 00:00:57.770 --> 00:01:00.625 DeafSpace란? - 일차적으로 청각 장애인들이 인식하고 00:01:00.625 --> 00:01:03.480 살아가는 공간의 독특한 방식으로 알려져 있는 건축 그리고 설계의 접근법. 00:01:03.480 --> 00:01:07.920 문화에서 청각 장애인들은 매우 소외되어 있습니다. 00:01:08.490 --> 00:01:12.380 소외된 공동체로써 저희는 저희만의 문화를 발전시켜왔으며 00:01:12.380 --> 00:01:16.800 그런 점이 저희가 집이라고 부를 만한 장소를, 그리고 00:01:16.800 --> 00:01:19.370 공간을 어떻게 내세우고 가질지를 정의하고 있습니다. 00:01:19.840 --> 00:01:22.744 그래서 저희 스스로에게 이러한 질문을 하기 시작했고 00:01:22.744 --> 00:01:25.560 그렇게 해서 저희는 훨씬 창의적으로, 00:01:25.560 --> 00:01:27.280 우리를 둘러싼 환경에 우리 방식을 배치하는 00:01:27.280 --> 00:01:29.464 다른 방법을 어떻게 하면 찾을 수 있을지 00:01:29.464 --> 00:01:32.964 사고를 확장시켜 나갔습니다. 00:01:32.964 --> 00:01:36.210 <그룹 공간> 00:01:36.210 --> 00:01:40.970 line:1 강의실은 반원이나 U자형 배치를 지향하고 있어서 00:01:40.970 --> 00:01:45.840 line:1 학우들이 다른 학우들과 계속해서 시각적으로 소통할 수 있습니다. 00:01:46.635 --> 00:01:49.240 토의에 참여하고 싶은 누구든지 00:01:49.240 --> 00:01:51.750 앞자리에 앉아있는 것과 같은 시야를 얻습니다. 00:01:51.750 --> 00:01:54.000 <복도> 00:01:54.000 --> 00:01:58.080 복도가 더 넓으면 두 사람이 수화를 나누며 나란히 걸을 수 있습니다. 00:01:58.080 --> 00:02:01.340 line:1 하지만 저희에게 몸짓과 수화를 나누는 것을 00:02:01.340 --> 00:02:04.021 line:1 관찰 할 수 있는 특정한 거리 조건이 있습니다. 00:02:04.955 --> 00:02:08.820 들을 수 있는 사람들은 그런 식의 거리 요구 조건이 필요하지 않죠. 00:02:08.820 --> 00:02:11.440 가시거리가 필요 없이도 옆에서 대화를 나눌 수 있습니다. 00:02:11.440 --> 00:02:13.310 <넓은 계단> 계단 또한 발을 놓는 데 있어 더 시각적인 주목을 필요로 하죠. 00:02:15.885 --> 00:02:18.460 그리고 경사로는 그 역할을 축소시킵니다. 00:02:19.720 --> 00:02:22.240 line:1 누군가와 의사소통을 할 때 경사로를 오른다면 00:02:22.890 --> 00:02:24.860 훵씬 쉽게 길을 오를 수 있습니다. 00:02:24.860 --> 00:02:27.810 <가시거리> 00:02:27.810 --> 00:02:30.496 DeafSpace 내에서, 우리는 항상 가시적인 환경에 00:02:30.496 --> 00:02:33.750 크게 의존하고 있습니다. 00:02:33.750 --> 00:02:37.970 line:1 왜냐하면 청각적으로 정보를 얻고 있지 않기 때문이죠. 00:02:37.970 --> 00:02:41.835 테라스의 맨 위에 앉아 있다면, 00:02:41.835 --> 00:02:44.028 line:1 아래까지 전부 볼 수 있습니다. 00:02:44.028 --> 00:02:46.082 통합될 수 있거나 세가지로 구분되는 영역을 갖는 00:02:46.082 --> 00:02:47.950 한 독특한 공간인 셈이죠. 00:02:47.950 --> 00:02:51.280 <색감과 조명> 00:02:51.280 --> 00:02:54.507 색감과 조명은 의사소통의 접근성에 있어 높은 관련이 있습니다. 00:02:54.507 --> 00:02:59.360 파란색과 초록색은 대개 대부분의 피부 톤과 00:02:59.360 --> 00:03:02.210 line:1 구별되면서도 눈의 피로를 줄여줍니다. 00:03:02.210 --> 00:03:06.945 조명에 있어서는 좀더 00:03:06.945 --> 00:03:09.050 00:03:10.149 --> 00:03:14.831 00:03:14.831 --> 00:03:16.980 00:03:16.980 --> 00:03:18.900 00:03:18.900 --> 00:03:21.170 00:03:21.170 --> 00:03:23.620 00:03:23.620 --> 00:03:25.240 00:03:25.240 --> 00:03:27.760 00:03:27.760 --> 00:03:29.568 00:03:29.568 --> 00:03:32.042 00:03:32.042 --> 00:03:34.400 00:03:34.400 --> 00:03:36.380 00:03:36.982 --> 00:03:39.080 00:03:39.580 --> 00:03:43.524 00:03:43.524 --> 00:03:45.550 00:03:45.550 --> 00:03:48.720 00:03:48.720 --> 00:03:52.420 00:03:52.420 --> 00:03:55.354 00:03:55.354 --> 00:03:59.540 00:03:59.540 --> 00:04:03.110 00:04:03.110 --> 00:04:05.890 00:04:05.890 --> 00:04:09.680 00:04:10.482 --> 00:04:12.995 00:04:12.995 --> 00:04:14.290 00:04:14.290 --> 00:04:15.780 00:04:15.780 --> 00:04:18.680 00:04:18.680 --> 00:04:20.467 00:04:20.467 --> 00:04:23.645 00:04:23.645 --> 00:04:29.477 00:04:29.477 --> 00:04:31.535 00:04:31.535 --> 00:04:34.465 00:04:34.465 --> 00:04:40.205 00:04:40.205 --> 00:04:46.3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