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BVTT 00:00:00.371 --> 00:00:01.927 스티브 라미레즈: 대학원 1학년 때였습니다. 00:00:01.927 --> 00:00:03.931 그 당시의 저는 방에 틀어박혀 00:00:03.931 --> 00:00:06.231 벤앤 제리 아이스크림을 퍼먹으며 00:00:06.231 --> 00:00:07.915 시덥잖은 TV 프로그램이나 보고 있었죠. 00:00:07.915 --> 00:00:11.142 그리고 만에 하나, 어쩌면 테일러 스위프트의 노래를 듣고 있었을 지도 몰라요. 00:00:11.142 --> 00:00:12.883 여자 친구와 막 헤어졌을 때였거든요. 00:00:12.883 --> 00:00:14.330 (관객 웃음 소리) 00:00:14.330 --> 00:00:16.526 그래서 정말 오랫동안 제가 한 일은 00:00:16.526 --> 00:00:20.342 그 사람에 대한 기억을 계속해서 떠올리는 것이었죠. 00:00:20.342 --> 00:00:22.835 속이 뒤집어질 것 같은 느낌을 없앨 수 있기를 바라면서요. 00:00:22.835 --> 00:00:25.368 내장이 "욱" 하는 그 느낌이요. NOTE Paragraph 00:00:25.368 --> 00:00:27.651 이제 제가 신경과학자가 되고 나니 00:00:27.651 --> 00:00:30.053 그 사람에 대한 기억과 00:00:30.053 --> 00:00:33.193 그 기억을 덧칠하는 감정적인 무의식은 00:00:33.193 --> 00:00:35.827 대부분 뇌의 독립된 여러 기관에서 관장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00:00:35.827 --> 00:00:38.192 그래서 생각했죠. 만약 우리가 뇌 속으로 들어갈 수 있다면, 00:00:38.192 --> 00:00:40.282 그래서 그 불쾌한 감정을 지울 수 있다면, 00:00:40.282 --> 00:00:43.252 그리고 동시에 그 사람에 대한 기억은 온전히 지킬 수 있다면 어떨까 하고요. 00:00:43.252 --> 00:00:45.663 하지만 현재로선 건방진 생각일 뿐이었습니다. 00:00:45.663 --> 00:00:48.456 그렇다면 일단 뇌 속으로 들어가서 00:00:48.456 --> 00:00:51.089 하나의 기억을 찾는 것으로 시작해보면 어떨까요? 00:00:51.089 --> 00:00:53.603 그 기억을 다시 되살려서 00:00:53.603 --> 00:00:57.471 그 안의 내용들을 조작해볼 수도 있을까요? NOTE Paragraph 00:00:57.471 --> 00:00:59.700 말하고 나니 이 세상에서 딱 한 사람 그 사람만큼은 00:00:59.700 --> 00:01:01.755 제발 이 강연을 보지 말았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NOTE Paragraph 00:01:01.755 --> 00:01:05.696 (관객 웃음) NOTE Paragraph 00:01:05.696 --> 00:01:08.985 네, 물론 공짜는 아닙니다. 조건이 있죠. 00:01:08.985 --> 00:01:11.773 지금 제가 하는 이야기가 영화 "토탈 리콜"이나 00:01:11.773 --> 00:01:13.747 "이터널 선샤인" 00:01:13.747 --> 00:01:15.050 "인셉션"의 내용처럼 들릴 수도 있을 겁니다. 00:01:15.050 --> 00:01:16.626 하지만 중요한 점은 우리가 한께 일한 영화 배우는 00:01:16.626 --> 00:01:18.569 실험실의 스타라는 것이죠. NOTE Paragraph 00:01:18.569 --> 00:01:20.469 쉬 리우: 실험용 쥐를 소개합니다. NOTE Paragraph 00:01:20.469 --> 00:01:21.597 (관객 웃음) NOTE Paragraph 00:01:21.597 --> 00:01:24.751 신경과학자로서 저희가 하는 일은 쥐 실험을 통해 00:01:24.751 --> 00:01:28.161 기억이라는 것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이해하기 위한 연구입니다. 00:01:28.161 --> 00:01:30.730 오늘 저희가 여러분께 설명드리고자 하는 것은 00:01:30.730 --> 00:01:33.946 뇌 속의 기억을 되살리는 것이 가능하다는 사실입니다. 00:01:33.946 --> 00:01:36.116 그것도 빛의 속도로요. 00:01:36.116 --> 00:01:39.222 이를 위해서 거쳐야 할 두가지의 간단한 단계가 있습니다. 00:01:39.222 --> 00:01:42.732 우선 뇌 속의 해당 기억을 찾아 이름을 붙입니다. 00:01:42.732 --> 00:01:46.362 그리고 스위치를 켜서 작동시키면 됩니다. 00:01:46.362 --> 00:01:47.807 그게 끝이에요. 00:01:47.807 --> 00:01:49.629 (관객 웃음) NOTE Paragraph 00:01:49.629 --> 00:01:51.474 다들 이해하셨죠? 00:01:51.474 --> 00:01:55.195 하지만 뇌 속의 기억을 찾는 일은 그리 간단하지 않더라고요. NOTE Paragraph 00:01:55.195 --> 00:01:57.998 사실입니다, 이건 말하자면 짚더미 속에서 00:01:57.998 --> 00:02:00.402 바늘을 찾는 것보다 어려운 일이죠. 00:02:00.402 --> 00:02:02.991 왜냐하면 여러분들도 아시다피시 00:02:02.991 --> 00:02:05.491 바늘은 우리가 실제로 만질 수 있으니까요. 00:02:05.491 --> 00:02:07.468 하지만 기억은 그렇지 않죠. 00:02:07.468 --> 00:02:10.506 그리고 뇌가 갖고 있는 세포의 수는 00:02:10.506 --> 00:02:15.572 보통 짚더미의 지푸라기보다 훨씬 많기도 하고요. 00:02:15.572 --> 00:02:18.451 네, 저희 연구가 그렇게 만만한 일은 아니더라고요. 00:02:18.451 --> 00:02:22.130 하지만 다행히도 뇌가 우리를 도와주었습니다. 00:02:22.130 --> 00:02:24.585 알고보니 우리가 할 일은 간단했습니다. 00:02:24.585 --> 00:02:26.578 우선 뇌가 먼저 기억을 형성하도록 하고 00:02:26.578 --> 00:02:30.408 그 후 뇌가 우리에게 어떤 세포를 사용했는지 알려주는 것이죠. 00:02:30.408 --> 00:02:32.174 해당 기억에 사용된 특정 세포를요. NOTE Paragraph 00:02:32.174 --> 00:02:34.531 그럼 제 뇌 속에선 무슨 일이 일어났을까요? 00:02:34.531 --> 00:02:36.625 제가 전 여자 친구를 생각하는 동안에요. 00:02:36.625 --> 00:02:39.027 인간의 윤리를 잠시 잊고 00:02:39.027 --> 00:02:40.695 뇌를 한번 잘라봅시다. 00:02:40.695 --> 00:02:42.713 앞으로 보시겠지만 뇌 내부에서는 00:02:42.713 --> 00:02:45.891 그 기억을 되살리는 동안 수많은 부분이 일을 해야합니다. 00:02:45.891 --> 00:02:48.803 그리고 그 중 특히 활발히 움직이는 것은 00:02:48.803 --> 00:02:50.810 해마라고 하는 부분입니다. 00:02:50.810 --> 00:02:53.265 지난 수십 년간의 연구를 통해 우리가 소중히 아끼는 기억은 00:02:53.265 --> 00:02:55.681 이 부분에서 담당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00:02:55.681 --> 00:02:58.255 그렇기 때문에 기억을 찾아 되살리려면 00:02:58.255 --> 00:03:01.040 이 부분을 공략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일 수 있죠. NOTE Paragraph 00:03:01.040 --> 00:03:03.434 해마 부위를 확대해서 보게 되면 00:03:03.434 --> 00:03:05.782 엄청난 양의 세포를 볼 수 있습니다. 00:03:05.782 --> 00:03:08.813 하지만 저희는 어떤 세포가 00:03:08.813 --> 00:03:10.289 어떤 기억을 담당하는지 알 수 있죠. 00:03:10.289 --> 00:03:12.907 세포가 활성화 상태라면, 00:03:12.907 --> 00:03:14.371 예를 들자면 기억을 만들고 있는 상태처럼요, 00:03:14.371 --> 00:03:18.128 항상 흔적을 남기기 때문에 우리가 나중에 알 수 있게 됩니다. 00:03:18.128 --> 00:03:20.830 최근에 활동한 세포가 어떤 것인지를요. NOTE Paragraph 00:03:20.830 --> 00:03:22.990 밤에 건물에 불이 켜져 있다면 00:03:22.990 --> 00:03:25.938 누군가 거기서 일을 한다는걸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00:03:25.938 --> 00:03:29.226 실제로 이 생물학적 센서들도 00:03:29.226 --> 00:03:31.180 세포 안에 자리잡고 있다가 00:03:31.180 --> 00:03:33.315 해당 세포가 활동을 시작하는 순간 켜지게 되는거죠. 00:03:33.315 --> 00:03:35.191 그들이 현재 일하는 상태라는 것을 우리에게 알려주는 00:03:35.191 --> 00:03:37.169 일종의 생물학적 창문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NOTE Paragraph 00:03:37.169 --> 00:03:39.998 그래서 이 센서의 일부를 잘라내어 00:03:39.998 --> 00:03:43.145 세포 작동을 조절하는 스위치에 붙여보았습니다. 00:03:43.145 --> 00:03:47.045 그리고 이 스위치를 특수 처리된 바이러스 안에 삽입하여 00:03:47.045 --> 00:03:49.633 이를 실험용 쥐의 뇌에 주입하였습니다. 00:03:49.633 --> 00:03:52.267 그래서 쥐가 기억을 형성하는 동안 00:03:52.267 --> 00:03:54.615 그 기억에 관련된 활성 세포가 00:03:54.615 --> 00:03:57.357 이 스위치를 갖게 되는 거죠. NOTE Paragraph 00:03:57.357 --> 00:03:58.982 예를 들면 이 사진은 무서운 기억을 형성한 직후의 00:03:58.982 --> 00:04:01.822 해마 부위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00:04:01.822 --> 00:04:03.962 여기 보이는 파란 배경은 00:04:03.962 --> 00:04:05.914 뇌세포가 가득찬 상태입니다. 00:04:05.914 --> 00:04:07.459 그런데 이 초록색 세포가 00:04:07.459 --> 00:04:09.555 바로 특정한 공포에 대한 기억과 연관이 있는 00:04:09.555 --> 00:04:11.398 뇌세포들입니다. 00:04:11.398 --> 00:04:13.377 그러므로 여러분께서는 지금 떠다니는 형태의 00:04:13.377 --> 00:04:15.764 공포의 진수를 보고 계신 겁니다. 00:04:15.764 --> 00:04:19.261 기억의 한 단면도를 보고 계신 것이죠. NOTE Paragraph 00:04:19.261 --> 00:04:21.669 그리고 말씀드렸던 그 스위치는 00:04:21.669 --> 00:04:24.639 굉장히 빠른 속도로 작동해야 합니다. 00:04:24.639 --> 00:04:27.218 몇 분 혹은 몇 시간이 걸리면 곤란하죠. 00:04:27.218 --> 00:04:31.482 뇌의 속도와 같아야 하니 천 분의 몇 초가 되어야 합니다. NOTE Paragraph 00:04:31.482 --> 00:04:32.912 쉬, 그렇다면 우리가 00:04:32.912 --> 00:04:35.514 약물을 사용할 수도 있겠네요. 00:04:35.514 --> 00:04:37.352 뇌세포 작동을 조절하기 위해서요? NOTE Paragraph 00:04:37.352 --> 00:04:41.415 에이, 안되죠. 약은 여기저기 번져서 지저분해요. 00:04:41.415 --> 00:04:44.423 그리고 시간도 아주 오래 걸리고요 . 00:04:44.423 --> 00:04:48.072 그래서 실시간으로 기억을 조절하기가 불가능합니다. 00:04:48.072 --> 00:04:52.366 스티브, 그렇다면 뇌에 전기 충격을 가하는건 어떨까요? NOTE Paragraph 00:04:52.366 --> 00:04:54.671 전기가 빠르기는 하지만 00:04:54.671 --> 00:04:56.410 우리가 필요로 하는 특정 기억에 관련된 세포를 00:04:56.410 --> 00:04:58.764 정확하게 겨냥하기는 어려울 거에요. 00:04:58.764 --> 00:05:00.642 그리고 뇌도 다 타버릴거고요. NOTE Paragraph 00:05:00.642 --> 00:05:03.837 아, 그러네요. 그렇다면 00:05:03.837 --> 00:05:06.448 빛의 속도로 뇌를 자극하기 위한 00:05:06.448 --> 00:05:09.743 더 좋은 방법을 꼭 찾아야겠어요. NOTE Paragraph 00:05:09.743 --> 00:05:14.829 그러고 보니 빛의 속도로 움직이는건 바로 빛이군요. 00:05:14.829 --> 00:05:18.312 그렇다면 기억의 활성화를 조절하는 일에 00:05:18.312 --> 00:05:19.809 빛을 사용한다면? NOTE Paragraph 00:05:19.809 --> 00:05:21.164 그거 괜찮겠는데요. NOTE Paragraph 00:05:21.164 --> 00:05:23.049 왜냐하면 뇌세포는 보통 00:05:23.049 --> 00:05:24.637 빛의 파동엔 반응하지 않거든요. 00:05:24.637 --> 00:05:26.595 그러므로 빛에 반응하는 것은 00:05:26.595 --> 00:05:29.059 빛 파동에 민감한 스위치를 가진 세포가 되겠죠. 00:05:29.059 --> 00:05:31.005 자, 그렇다면 우선 뇌세포를 조작하여 00:05:31.005 --> 00:05:32.467 레이저 빔에 반응하도록 해봅시다. NOTE Paragraph 00:05:32.467 --> 00:05:33.537 네, 들으신 그대로에요. 00:05:33.537 --> 00:05:35.669 뇌에 레이저를 쏠 거예요. 00:05:35.669 --> 00:05:37.414 (관객 웃음) NOTE Paragraph 00:05:37.414 --> 00:05:40.738 여기에 필요한 기술을 광유전학이라고 합니다. 00:05:40.738 --> 00:05:44.020 광유전학의 도움으로 스위치를 사용하여 00:05:44.020 --> 00:05:45.528 우리가 뇌세포를 작동시킬 수 있게 되었죠. 00:05:45.528 --> 00:05:48.045 이 스위치를 채널로돕신이라고 합니다. 00:05:48.045 --> 00:05:50.582 여기 보시면 초록색 점의 형태로 뇌세포에 부착되어있죠. 00:05:50.582 --> 00:05:53.881 이 채널로돕신은 쉽게 말하면 빛에 반응하는 스위치라고 할 수 있습니다. 00:05:53.881 --> 00:05:56.508 우리가 인위적으로 이를 뇌세포에 부착하고 00:05:56.508 --> 00:05:58.422 이 스위치를 사용해서 00:05:58.422 --> 00:06:01.435 뇌세포를 켜고 끌 수 있는 것이죠. 00:06:01.435 --> 00:06:03.903 그리고 이 스위치를 작동시키는것은 빛의 파동입니다. 00:06:03.903 --> 00:06:07.689 이렇게 빛을 감지하는 스위치인 채널로돕신을 00:06:07.689 --> 00:06:09.897 지금까지 말씀드린 이 센서에 부착하여 00:06:09.897 --> 00:06:12.352 뇌에 주입하는 것입니다. 00:06:12.352 --> 00:06:15.563 그래서 앞으로 뇌에서 기억을 만들 때 00:06:15.563 --> 00:06:17.790 해당 기억에 관련된 뇌세포는 00:06:17.790 --> 00:06:21.274 우리가 설치한 스위치를 갖게 됩니다. 00:06:21.274 --> 00:06:23.675 그래서 우리가 이 세포들에 00:06:23.675 --> 00:06:27.939 여기 보시는 것처럼 레이저를 쪼여서 세포 기능을 조절하게 되죠. NOTE Paragraph 00:06:27.939 --> 00:06:30.803 그럼 이제 실험을 해봅시다. 00:06:30.803 --> 00:06:32.938 실험용 쥐를 준비해서 00:06:32.938 --> 00:06:35.866 이렇게 생긴 상자 안에 넣고 00:06:35.866 --> 00:06:38.206 발에 아주 약한 충격을 가합니다. 00:06:38.206 --> 00:06:40.241 그럼 이 상자에 대한 두려움이 형성되겠죠. 00:06:40.241 --> 00:06:42.220 이 안에서서는 안좋은 일이 생긴다는 것을 알게 됩니다 . 00:06:42.220 --> 00:06:44.562 이제 저희가 설명드린 시스템을 통해 00:06:44.562 --> 00:06:47.493 해마 부위에서 이 기억을 만든 활성 세포들만이 00:06:47.493 --> 00:06:50.376 채널로돕신 스위치를 갖게 됩니다 NOTE Paragraph 00:06:50.376 --> 00:06:53.393 쥐처럼 작은 생명체라면 00:06:53.393 --> 00:06:56.988 온 세상이 나만 공격하는 기분이겠죠. 00:06:56.988 --> 00:06:58.736 이럴 때 최상의 방어법은 00:06:58.736 --> 00:07:01.218 상대의 눈에 띄지 않는 것입니다. 00:07:01.218 --> 00:07:03.251 쥐가 공포를 느끼면 00:07:03.251 --> 00:07:04.777 상자의 구석으로 도망치는 00:07:04.777 --> 00:07:06.546 독특한 습성을 보입니다. 00:07:06.546 --> 00:07:09.664 몸의 어느 부분도 움직이지 않고 정지하게 되죠. 00:07:09.664 --> 00:07:12.959 이 상태를 공포 반응이라고 합니다. 00:07:12.959 --> 00:07:17.253 그래서 이 상자 안에서 안좋은 일이 생겼다는 기억을 갖게 되면, 00:07:17.253 --> 00:07:19.876 우리가 똑같은 상자에 쥐를 다시 넣었을 때, 00:07:19.876 --> 00:07:21.680 쥐는 공포 반응을 보이게 됩니다. 00:07:21.680 --> 00:07:23.965 이 상자 안에서 겪었던 00:07:23.965 --> 00:07:26.660 공격을 피하게 위해서죠. NOTE Paragraph 00:07:26.660 --> 00:07:28.015 이 공포 반응을 쉽게 설명드리죠. 00:07:28.015 --> 00:07:30.230 우리가 주위에 신경쓰지 않고 길을 걸어가는 중에 00:07:30.230 --> 00:07:31.955 갑자기 예전 여자 친구나 남자친 구를 00:07:31.955 --> 00:07:34.147 마주친다고 생각해 보세요. 00:07:34.147 --> 00:07:36.281 짧은 순간이지만 정말 무섭잖아요. 00:07:36.281 --> 00:07:38.157 "어떡하지? 인사를 해야 하나?" 00:07:38.157 --> 00:07:39.525 "악수를 해야 하나? 뒤돌아서 도망갈까?" 00:07:39.525 --> 00:07:41.554 "여기 그냥 주저앉아서 없는 척 할까?" 00:07:41.554 --> 00:07:44.738 이런 오만가지 생각들이 우리를 꽁꽁 묶어버리잖아요. 00:07:44.738 --> 00:07:47.484 도로 한가운데서 자동차를 마주친 사슴 꼴이죠. NOTE Paragraph 00:07:47.484 --> 00:07:50.775 그렇지만 같은 쥐를 완전히 다른 형태의 00:07:50.775 --> 00:07:53.936 새 상자에 넣게 되면 여기 이 상자처럼요, 00:07:53.936 --> 00:07:56.083 쥐는 이 상자를 두려워하지 않습니다. 00:07:56.083 --> 00:08:00.812 이 새로운 환경을 두려워할 이유가 없기 때문이죠. NOTE Paragraph 00:08:00.812 --> 00:08:03.992 하지만 쥐를 새 상자에 넣으면서 00:08:03.992 --> 00:08:07.603 레이저를 사용하여 이전에 형성된 무서운 기억을 자극해 봅시다. 00:08:07.603 --> 00:08:10.282 조금 전에 보여드린 대로요. 00:08:10.282 --> 00:08:13.136 과연 이 새로운 환경에서도 00:08:13.136 --> 00:08:17.133 과거의 공포를 그대로 느낄 수 있을까요? NOTE Paragraph 00:08:17.133 --> 00:08:19.868 자, 이제 백만불 짜리 실험 결과를 알려드리겠습니다. 00:08:19.868 --> 00:08:22.781 해당 시점의 기억을 되살려 볼게요. 00:08:22.781 --> 00:08:24.964 레드 삭스가 그날 게임에서 이겼어요. 00:08:24.964 --> 00:08:26.873 초록빛이 만연한 봄날이었죠. 00:08:26.873 --> 00:08:28.690 강가에서 산책하기 좋은 날이었습니다. 00:08:28.690 --> 00:08:31.024 노스 엔드(보스턴 지명)에 가서 00:08:31.024 --> 00:08:33.184 카놀리(이태리식 디저트)를 사먹어도 되고요. 싫으면 말고요. 00:08:33.184 --> 00:08:36.286 하지만 쉬와 저는 00:08:36.286 --> 00:08:39.115 창문도 하나 없는 깜깜한 연구실에서 00:08:39.115 --> 00:08:42.776 눈 한번 깜빡이지 않은 채로 꼼짝없이 앉아있었습니다. 00:08:42.776 --> 00:08:45.242 컴퓨터의 화면에 눈을 고정한 채로요. 00:08:45.242 --> 00:08:47.798 실험쥐의 기억을 활성화시키려는 중이었거든요. 00:08:47.798 --> 00:08:49.681 우리의 기술을 사용한 첫 실험이었습니다. NOTE Paragraph 00:08:49.681 --> 00:08:52.369 이게 바로 저희가 본 것입니다. 00:08:52.369 --> 00:08:54.571 상자 안에 쥐를 넣은 직후에는 00:08:54.571 --> 00:08:57.684 쥐가 돌아다니면서 냄새도 맡고 상자를 관찰합니다. 00:08:57.684 --> 00:08:59.373 자기 할 일을 하는 거죠 00:08:59.373 --> 00:09:01.074 쥐는 천성적으로 00:09:01.074 --> 00:09:03.053 호기심이 많은 동물입니다. 00:09:03.053 --> 00:09:05.675 새 환경에 대해 알고 싶어 합니다. "이 상자는 뭐지?" 00:09:05.675 --> 00:09:07.206 "신기한데?" 00:09:07.206 --> 00:09:10.657 하지만 여기 보시는 대로 저희가 레이저를 발사하는 순간, 00:09:10.657 --> 00:09:13.689 쥐가 갑자기 공포 반응을 보이기 시작했습니다. 00:09:13.689 --> 00:09:18.120 저 부분에 가만히 서서 전혀 움직이지 않더라고요. 00:09:18.120 --> 00:09:19.748 공포 반응이 나타난거죠. 00:09:19.748 --> 00:09:22.331 실제로 기억을 되살리는 데 성공한 것입니다. 00:09:22.331 --> 00:09:24.395 원래 상자에 갖고 있던 공포를 00:09:24.395 --> 00:09:27.762 완전히 새로운 환경에서도 느끼게 된거죠. NOTE Paragraph 00:09:27.762 --> 00:09:29.874 이 장면을 보면서 스티브와 저는 00:09:29.874 --> 00:09:32.007 이 쥐와 마찬가지로 충격에 빠졌습니다. 00:09:32.007 --> 00:09:33.269 (관객 웃음) 00:09:33.269 --> 00:09:36.576 실험이 끝나고 저희는 연구실에서 나왔습니다. 00:09:36.576 --> 00:09:38.329 아무 말도 하지 않았죠. NOTE Paragraph 00:09:38.329 --> 00:09:41.725 아주 길고 어색한 침묵이 끝나고 00:09:41.725 --> 00:09:43.937 스티브가 말문을 열었습니다. NOTE Paragraph 00:09:43.937 --> 00:09:46.278 "우리 정말 성공한거야?" NOTE Paragraph 00:09:46.278 --> 00:09:49.252 제가 말했죠. "응, 정말로 성공한거야!" 00:09:49.252 --> 00:09:51.369 정말 짜릿한 순간이었죠. 00:09:51.369 --> 00:09:53.993 그리고 저희는 그 연구 결과를 00:09:53.993 --> 00:09:55.689 "네이처" 지에 발표했습니다. 00:09:55.689 --> 00:09:58.160 그 결과가 발표되고 나서 00:09:58.160 --> 00:10:00.575 인터넷을 통해 아주 많은 의견을 00:10:00.575 --> 00:10:02.700 듣게 되었습니다. 00:10:02.700 --> 00:10:06.450 그 중에서 몇 개를 살펴보도록 하죠. NOTE Paragraph 00:10:06.450 --> 00:10:08.907 ["으아아악 드디어... 앞으로 또 어떤 일이 일어날지, 가상 현실, 신경 조작, 꿈의 비주얼 에뮬레이션, 신경 부호화, '기억 형성과 조작 ', 정신 질환... 와, 미래가 기대되네요"] NOTE Paragraph 00:10:08.907 --> 00:10:10.907 여기서 가장 먼저 눈에 띄는 것은 00:10:10.907 --> 00:10:13.810 사람들이 이러한 실험에 폭발적인 반응을 보인다는 것입니다. 00:10:13.810 --> 00:10:16.364 저도 이 분의 낙관적인 의견에 00:10:16.364 --> 00:10:17.180 전적으로 동의합니다. 00:10:17.180 --> 00:10:19.988 0부터 신의 영역까지 그 정도를 측정한다면 00:10:19.988 --> 00:10:22.111 이 분의 의견은 우리의 의지를 불태우는 가장 애정어린 격려 중 하나였거든요. 00:10:22.111 --> 00:10:23.661 지금까지 저희가 받은 것 중에서는요. 00:10:23.661 --> 00:10:25.857 (관객 웃음) 00:10:25.857 --> 00:10:27.808 여러분들도 곧 보시겠지만 이 분 외에도 많은 분들이 의견을 보내주셨어요. NOTE Paragraph 00:10:27.808 --> 00:10:29.372 ["정말 무서운 소식이네요... 만약 이 기술이 1~2년 내에 인간에게도 적용 가능해지면 어쩌죠? 완전 망했다 "] NOTE Paragraph 00:10:29.372 --> 00:10:31.290 맞는 말이네요, 이 두 번째 의견은. 00:10:31.290 --> 00:10:33.397 아까처럼 긍정적이지만은 않다는걸 00:10:33.397 --> 00:10:35.772 우리 모두 알 수 있습니다. 00:10:35.772 --> 00:10:37.957 하지만 여기서 중요한 것은 00:10:37.957 --> 00:10:40.143 비록 지금은 실험쥐로 연구 중이지만 00:10:40.143 --> 00:10:43.660 인간의 기억 조작에 대한 윤리와 그 파급 효과를 00:10:43.660 --> 00:10:46.651 진지하게 고민해 보는 것도 00:10:46.651 --> 00:10:48.599 좋은 생각이라는 거죠. NOTE Paragraph 00:10:48.599 --> 00:10:50.799 그리고 세 번째 의견과 관련하여 00:10:50.799 --> 00:10:52.773 저희가 최근에 진행하고 있는 실험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00:10:52.773 --> 00:10:55.201 인셉션 프로젝트라는 것인데요. 00:10:55.201 --> 00:10:58.444 ["이런 건 영화로 만들어야 해요 . 사람의 이성에 생각을 주입해서 이를 통해 개선될 수 있게요. 이를 "인셉션"이라고 부르죠."] 00:10:58.444 --> 00:11:02.178 이제 기억을 되살릴 수 있다는 것이 논리적으로 증명되었으니 00:11:02.178 --> 00:11:05.130 이제 되살린 기억을 조금 손보는 것은 어떨까요? 00:11:05.130 --> 00:11:08.163 가짜 기억을 만들 수도 있을까요? NOTE Paragraph 00:11:08.163 --> 00:11:12.262 모든 기억은 몹시 정교하고 동적이지만 00:11:12.262 --> 00:11:15.241 간단하게 설명하기 위해 00:11:15.241 --> 00:11:16.643 기억을 한 편의 영화라고 해보죠. 00:11:16.643 --> 00:11:19.313 지금까지 저희가 말씀드린 내용은 영화의 "재생" 버튼을 00:11:19.313 --> 00:11:21.244 조작하는 방법이었습니다. 00:11:21.244 --> 00:11:25.829 이를 통해 언제 어디서든 영화를 볼 수 있죠. 00:11:25.829 --> 00:11:28.360 그렇지만 우리가 실제로 뇌 안으로 들어가서 00:11:28.360 --> 00:11:31.220 이 영화를 편집하는 것도 가능할까요? 00:11:31.220 --> 00:11:34.116 원본과는 다른 영화를 만드는 것도? 00:11:34.116 --> 00:11:36.294 네, 가능합니다. 00:11:36.294 --> 00:11:38.424 알고 보니 우리가 할 일은 간단하더군요. 00:11:38.424 --> 00:11:42.699 전에 하던 대로 레이저를 이용해 기억을 되살리면서 00:11:42.699 --> 00:11:46.138 동시에 새로운 정보를 주입하여 00:11:46.138 --> 00:11:50.112 이를 원래의 기억에 결합시킨다면 00:11:50.112 --> 00:11:52.550 기억이 변화되겠죠. 00:11:52.550 --> 00:11:56.213 나만의 리믹스로 노래 테이프를 만들듯이요. NOTE Paragraph 00:11:56.213 --> 00:11:59.071 그럼 어떻게 시작해야 할까요? 00:11:59.071 --> 00:12:01.028 이젠 뇌 속에서 공포의 기억을 찾지 않고 00:12:01.028 --> 00:12:02.744 우선 실험용 동물을 데려다가 00:12:02.744 --> 00:12:05.677 여기 보이는 파란 상자와 같은 상자에 넣어봅시다. 00:12:05.677 --> 00:12:08.171 그리고 이 파란 상자에 대한 기억을 담당하는 뇌세포를 찾아서 00:12:08.171 --> 00:12:10.244 이들이 빛의 파동에 반응하도록 조작하는 거죠. 00:12:10.244 --> 00:12:12.365 조금 전에 말씀드린 바로 그 방법 그대로입니다. 00:12:12.365 --> 00:12:14.489 그리고 그 다음 날 실험쥐를 데려다 00:12:14.489 --> 00:12:17.188 이들이 한번도 본 적 없는 빨간 상자에 넣어보는 겁니다. 00:12:17.188 --> 00:12:19.214 그리고 기억을 되살리기 위해 뇌에 레이저를 쏘는거죠. 00:12:19.214 --> 00:12:21.323 이전의 그 파란 상자에 대한 기억을 불러오기 위해서요. 00:12:21.323 --> 00:12:23.067 그렇다면 실험쥐가 00:12:23.067 --> 00:12:24.961 파란 상자에 대한 기억을 되살리는 동안 00:12:24.961 --> 00:12:27.604 발에 약한 충격을 몇 번 가한다면 어떻게 될까요? 00:12:27.604 --> 00:12:30.297 여기서 저희가 얻고자 하는 것은 00:12:30.297 --> 00:12:32.212 파란 상자에 대한 기억과 발에 가해진 충격을 00:12:32.212 --> 00:12:33.715 인위적으로 연관짓는 것입니다. 00:12:33.715 --> 00:12:35.494 단순히 둘을 연결시키는 것이죠. 00:12:35.494 --> 00:12:37.037 그리고 그 실험이 성공했는지 확인하기 위해 00:12:37.037 --> 00:12:38.365 실험쥐를 데려다가 00:12:38.365 --> 00:12:40.311 다시 그 파란 상자에 넣는 겁니다. 00:12:40.311 --> 00:12:43.049 저희가 파란 상자에 대한 기억을 되살리는 동안 00:12:43.049 --> 00:12:45.216 쥐의 발에 약한 충격을 가했었죠. 00:12:45.216 --> 00:12:47.586 쥐가 이제 공포 반응을 보이기 시작합니다. 00:12:47.586 --> 00:12:50.788 마치 발에 가해진 충격이 이 곳에서 일어난 것처럼요. 00:12:50.788 --> 00:12:53.790 실제로 일어나지 않은 일인데도 말이죠. 00:12:53.790 --> 00:12:55.652 가짜 기억이 형성된 것입니다. 00:12:55.652 --> 00:12:57.663 왜냐하면 이 쥐가 두려워하는 그 환경에선 00:12:57.663 --> 00:12:58.917 정확하게 말하자면 00:12:58.917 --> 00:13:01.266 아무런 나쁜 일도 일어나지 않았으니까요. NOTE Paragraph 00:13:01.266 --> 00:13:03.719 지금까지 말씀드린 내용은 00:13:03.719 --> 00:13:06.085 스위치의 "켜는" 기능이었습니다. 00:13:06.085 --> 00:13:09.373 하지만 저희는 "끄는" 기능의 스위치도 설치할 수 있습니다. 00:13:09.373 --> 00:13:11.453 그리고 이 "끄는" 스위치를 설치하여 00:13:11.453 --> 00:13:13.931 언제 어디서든 기억을 끌 수 있다는 것도 00:13:13.931 --> 00:13:19.519 쉽게 상상하실 수 있겠죠. NOTE Paragraph 00:13:19.519 --> 00:13:21.733 즉 저희가 오늘 말씀드린 내용은 00:13:21.733 --> 00:13:26.410 철학적인 논쟁이 주를 이루었던 신경과학의 원리에 바탕을 두고 있습니다. 00:13:26.410 --> 00:13:30.528 즉 이성은 겉으로는 신비롭게 보이지만 실제로는 우리가 조작 가능한 00:13:30.528 --> 00:13:34.173 물리적인 실체라는 것입니다. NOTE Paragraph 00:13:34.173 --> 00:13:35.648 저는 개인적으로 00:13:35.648 --> 00:13:37.229 우리가 원하는 어떤 기억이든 00:13:37.229 --> 00:13:39.345 다시 불러올 수 있는 세상이 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 00:13:39.345 --> 00:13:42.643 원치 않는 기억은 지워버리는 것도요. 00:13:42.643 --> 00:13:44.579 심지어 기억의 조작이 00:13:44.579 --> 00:13:46.118 현실의 일부가 된 세상도 가능하다고 봅니다. 00:13:46.118 --> 00:13:47.823 현재 우리가 살고 있는 세상에서는 00:13:47.823 --> 00:13:50.048 공상 과학 소설에서 유래된 질문을 00:13:50.048 --> 00:13:52.468 실제 실험을 통해 정당화할 수 있으니까요. NOTE Paragraph 00:13:52.468 --> 00:13:54.351 오늘날. 00:13:54.351 --> 00:13:56.737 전세계의 많은 실험실과 연구 단체가 00:13:56.737 --> 00:14:00.554 기억을 활성화, 재편집하기 위해 비슷한 방법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00:14:00.554 --> 00:14:04.395 오랜 기억, 새 기억 좋은 기억, 나쁜 기억 00:14:04.395 --> 00:14:07.067 모든 종류의 기억을 대상으로 우리가 기억의 원리를 00:14:07.067 --> 00:14:08.931 이해할수 있도록 돕는 것이죠. NOTE Paragraph 00:14:08.931 --> 00:14:10.715 예를 들면 저희 실험실의 한 팀에서는 00:14:10.715 --> 00:14:13.353 무서운 기억을 만드는 뇌세포를 찾아 00:14:13.353 --> 00:14:16.128 이를 즐거운 기억으로 바꾸는데 성공했습니다. 00:14:16.128 --> 00:14:19.190 제가 말씀드린 것이 바로 이러한 편집의 과정입니다 00:14:19.190 --> 00:14:21.002 그리고 또다른 연구원은 암컷 쥐의 기억을 00:14:21.002 --> 00:14:23.503 수컷 쥐의 뇌에 불러오기도 했어요. 00:14:23.503 --> 00:14:26.498 무척 흥미로운 기억이었다고들 하더군요. NOTE Paragraph 00:14:26.498 --> 00:14:30.615 그러므로 우리가 사는 이 세상은 00:14:30.615 --> 00:14:34.420 더이상 과학의 속도가 무제한이 아니라 00:14:34.420 --> 00:14:37.607 우리 상상력으로 제어할 수 있는 신기한 곳이 되었습니다. NOTE Paragraph 00:14:37.607 --> 00:14:39.754 이 모든 것을 통해 알 수 있는 것은 무엇일까요? 00:14:39.754 --> 00:14:41.725 이 기술을 더 발전시키려면 어떡해야 할까요? 00:14:41.725 --> 00:14:43.562 이러한 질문은 실험실에서만 머물러서는 00:14:43.562 --> 00:14:45.237 안 될 것입니다. 00:14:45.237 --> 00:14:47.809 오늘 저희 이야기의 궁극적인 목표는 00:14:47.809 --> 00:14:50.128 현대 신경과학 영역에서 가능해진 이러한 최신 정보들을 00:14:50.128 --> 00:14:51.512 여러분께 전달하는 것입니다. 00:14:51.512 --> 00:14:53.022 하지만 이와 마찬가지로 중요한 것은 00:14:53.022 --> 00:14:56.354 여러분도 저희와 함께해 주셨으면 좋겠습니다. 00:14:56.354 --> 00:14:58.683 우리 모두가 하나의 큰 팀을 구성하여 이 연구가 가지는 의미와 00:14:58.683 --> 00:15:01.157 앞으로 나아갈 길을 같이 의논하는거죠. 00:15:01.157 --> 00:15:03.255 쉬와 제가 생각하기로는 앞으로도 많은 의문이 00:15:03.255 --> 00:15:05.791 우리를 기다리고 있을 것 같거든요. NOTE Paragraph 00:15:05.791 --> 00:15:06.916 고맙습니다. 쉬: 고맙습니다. NOTE Paragraph 00:15:06.916 --> 00:15:08.550 (박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