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BVTT 00:00:06.194 --> 00:00:09.257 [뇌와 음식] 00:00:09.257 --> 00:00:12.859 뇌에서 수분을 전부 제거하고 00:00:12.859 --> 00:00:16.390 그 안의 내용물을 영양 성분별로 분류하면 00:00:16.390 --> 00:00:18.112 어떤 모습일까요? 00:00:18.112 --> 00:00:22.199 수분이 빠진 뇌 대부분을 차지하는 건 지방인데요. 00:00:22.199 --> 00:00:24.816 이 지방 성분을 지질이라고도 합니다. 00:00:24.816 --> 00:00:28.855 지방 외에 뇌를 구성하는 물질에는 단백질과 아미노산이 있고 00:00:28.855 --> 00:00:30.787 그 외에 미량영양소와 00:00:30.787 --> 00:00:32.973 포도당이 있습니다. 00:00:32.973 --> 00:00:37.392 물론, 뇌는 영양성분의 합을 의미하는 것만은 아닙니다. 00:00:37.392 --> 00:00:41.359 각 성분은 특수한 기능을 수행하고 00:00:41.359 --> 00:00:42.367 발달에 관여하며 00:00:42.367 --> 00:00:43.232 사람의 기분과 00:00:43.232 --> 00:00:44.940 에너지 사용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00:00:44.940 --> 00:00:46.726 점심 직후에 무기력함을 느끼거나 00:00:46.726 --> 00:00:49.548 밤에 잠 못 이루는 경우가 있는데요 00:00:49.548 --> 00:00:54.506 음식이 뇌에 영향을 미치면 이런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00:00:54.506 --> 00:00:59.758 뇌를 구성하는 지방 성분 중에 가장 중요한 게 오메가 3와 6입니다. 00:00:59.758 --> 00:01:01.600 이 두 가지가 핵심 지방산이죠. 00:01:01.600 --> 00:01:05.045 이 지방산 성분이 뇌가 퇴화하는 것을 막아주는데 00:01:05.045 --> 00:01:07.256 음식을 통해 섭취해야 합니다. 00:01:07.256 --> 00:01:09.005 오메가 성분이 풍부한 음식 00:01:09.005 --> 00:01:09.827 즉, 견과류나 00:01:09.827 --> 00:01:10.651 씨앗, 00:01:10.651 --> 00:01:11.944 생선을 먹어야 00:01:11.944 --> 00:01:16.755 세포막을 형성하고 유지할 수 있습니다. 00:01:16.755 --> 00:01:19.320 오메가 같은 지방 성분은 뇌 건강을 지켜주지만 00:01:19.320 --> 00:01:23.918 트랜스지방이나 포화지방은 장기간 섭취하면 00:01:23.918 --> 00:01:26.601 뇌 건강을 위협할 수 있습니다. 00:01:26.601 --> 00:01:29.291 반면, 단백질이나 아미노산과 같이 00:01:29.291 --> 00:01:32.349 성장과 발달에 관여하는 구성 요소들은 00:01:32.349 --> 00:01:35.819 사람의 감정과 행동에 영향을 미칩니다. 00:01:35.819 --> 00:01:39.976 아미노산에는 신경전달물질의 전구체가 들어 있습니다. 00:01:39.976 --> 00:01:43.799 전구체는 뉴런 사이에 신호를 보내는 일종의 화학전달물질로 00:01:43.799 --> 00:01:45.324 사람의 기분을 좌우할 뿐만 아니라 00:01:45.324 --> 00:01:46.230 수면이나 00:01:46.230 --> 00:01:47.290 주의력, 00:01:47.290 --> 00:01:49.072 그리고 체중에도 영향을 주죠. 00:01:49.072 --> 00:01:53.515 파스타를 많이 먹고 기분이 진정되는 건 그런 화학전달물질 때문이기도 합니다. 00:01:53.515 --> 00:01:56.855 단백질이 풍부한 음식을 먹고 각성하는 것도 역시 같은 이유에서죠. 00:01:56.855 --> 00:01:59.958 음식에 들어있는 복잡한 화합물이 뇌를 자극하면 뇌세포에서 00:01:59.958 --> 00:02:04.754 사람의 기분을 바꾸는 성분인 노르에피네프린과 00:02:04.754 --> 00:02:06.101 도파민, 00:02:06.101 --> 00:02:07.723 세로토닌이 분비됩니다. 00:02:07.723 --> 00:02:09.755 하지만 뇌세포를 자극하는 게 쉬운 일은 아닙니다. 00:02:09.755 --> 00:02:13.264 아미노산이 뇌에 도달하려면 치열한 경쟁을 해야 하거든요. 00:02:13.264 --> 00:02:17.412 다양한 음식을 고루 섭취하면 뇌에 있는 화학전달물질이 00:02:17.412 --> 00:02:19.287 균형을 이루는 데 도움이 됩니다. 00:02:19.287 --> 00:02:23.633 또한 기분이 오락가락하는 현상도 방지할 수가 있죠. 00:02:23.633 --> 00:02:25.535 우리 몸 안에 있는 다른 장기와 마찬가지로 00:02:25.535 --> 00:02:30.151 사람의 뇌는 미량영양소의 도움을 꾸준히 받아야 원활히 기능합니다. 00:02:30.151 --> 00:02:32.320 과일이나 채소에 들어있는 항산화 물질은 00:02:32.320 --> 00:02:37.326 뇌의 기능을 강화해 뇌세포를 파괴하는 활성산소를 억제하는 데 도움을 주며 00:02:37.326 --> 00:02:41.223 뇌가 장기간 문제없이 기능을 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00:02:41.223 --> 00:02:43.298 미량 영양소가 부족하게 되면 00:02:43.298 --> 00:02:44.602 예를 들어 비타민 B6나 00:02:44.602 --> 00:02:45.764 B12, 00:02:45.764 --> 00:02:47.257 엽산 같이 말이죠. 00:02:47.257 --> 00:02:51.869 뇌가 병들고 정신 건강에도 문제가 생깁니다. 00:02:51.869 --> 00:02:53.633 소량의 미네랄도 빠질 수 없습니다. 철분이나 00:02:53.633 --> 00:02:54.462 구리, 00:02:54.462 --> 00:02:55.288 아연, 00:02:55.288 --> 00:02:56.288 나트륨과 같은 성분은 00:02:56.288 --> 00:03:01.191 뇌의 건강을 유지하고 초기 인지 발달에 도움을 줍니다. 00:03:01.191 --> 00:03:04.567 뇌가 이같이 중요한 성분들을 효과적으로 변화시키고 00:03:04.567 --> 00:03:06.101 합성하려면 00:03:06.101 --> 00:03:08.441 많은 양의 연료가 공급돼야 합니다. 00:03:09.381 --> 00:03:12.881 사람의 체중에서 뇌는 전체의 2%를 차지하지만 00:03:12.881 --> 00:03:17.666 뇌가 소비하는 에너지양은 무려 20%나 됩니다. 00:03:17.666 --> 00:03:19.691 주요 에너지원은 탄수화물입니다. 00:03:19.691 --> 00:03:24.106 이 탄수화물은 체내에서 포도당과 혈당으로 전환되죠. 00:03:24.106 --> 00:03:28.004 뇌의 전두엽은 사실 포도당에 매우 민감합니다. 00:03:28.004 --> 00:03:31.786 뇌가 정상적인 기능을 못 하는 것은 대표적인 00:03:31.786 --> 00:03:34.754 영양 부족의 증상입니다. 00:03:34.754 --> 00:03:37.101 체내에서 포도당이 주기적으로 형성된다고 가정했을 때 00:03:37.101 --> 00:03:42.136 우리가 섭취하는 특정 탄수화물 성분이 우리 뇌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요? 00:03:42.136 --> 00:03:44.225 탄수화물에는 다음과 같이 세 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00:03:44.225 --> 00:03:44.985 녹말, 00:03:44.985 --> 00:03:45.759 당분, 00:03:45.759 --> 00:03:47.191 섬유질. 00:03:47.191 --> 00:03:48.856 영양성분표를 보면 00:03:48.856 --> 00:03:52.135 대개 이 세 가지를 묶어 탄수화물이라고 표기돼 있습니다. 00:03:52.135 --> 00:03:56.172 이 중 당분과 섬유질의 총량이 얼마냐에 따라 00:03:56.172 --> 00:03:58.782 우리 몸과 뇌가 반응하는 양상이 달라집니다. 00:03:59.802 --> 00:04:02.372 고혈당 음식인 흰 빵을 먹으면 00:04:02.372 --> 00:04:05.475 혈관에 포도당이 급속히 퍼집니다. 00:04:05.475 --> 00:04:07.519 그러고 나서 얼마 후 혈당이 확 떨어지죠. 00:04:07.939 --> 00:04:12.295 이처럼 혈당이 떨어지면서 주의력도 떨어지고 기분도 축 처집니다. 00:04:12.715 --> 00:04:17.653 반면, 귀리나 곡물, 콩을 먹으면 몸 안에 포도당이 서서히 퍼져 00:04:17.653 --> 00:04:20.561 주의력이 지속하는 시간이 길어지죠. 00:04:21.241 --> 00:04:23.028 뇌가 꾸준히 제 기능을 유지하려면 00:04:23.028 --> 00:04:26.965 영양분이 풍부한 음식을 종류별로 다양하게 섭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00:04:26.965 --> 00:04:30.179 무엇을 먹고, 씹고, 삼키느냐에 따라 00:04:30.179 --> 00:04:34.070 당신의 선택이 우리 몸에서 가장 강력한 장기인 뇌에 00:04:34.070 --> 00:04:36.297 즉각적이고 장기적인 영향을 미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