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00:00:00,520 --> 00:00:03,191 Langfocus 채널에 오신 여러분 환영합니다 2 00:00:03,191 --> 00:00:05,017 제 이름은 Paul입니다 3 00:00:05,017 --> 00:00:07,634 오늘의 주제는 언어의 사멸입니다 4 00:00:07,634 --> 00:00:10,202 이 채널에서 일반적으로 이야기하는 언어는 5 00:00:10,202 --> 00:00:11,894 주로 살아 있는 언어입니다 6 00:00:11,894 --> 00:00:14,770 오늘날의 원어민들이 지금까지도 언어를 사용하고 7 00:00:14,770 --> 00:00:17,200 끊임없이 변화하고 진화하죠 8 00:00:17,200 --> 00:00:21,089 하지만 사멸한 언어와 멸종된 언어도 존재하죠 9 00:00:21,089 --> 00:00:24,833 이 언어를 모어로 하는 사람이 없을 때 언어는 사멸했다고 간주됩니다 10 00:00:24,833 --> 00:00:27,760 이 언어가 다른 방식으로 사용된다고 해도 말이죠 11 00:00:27,760 --> 00:00:29,509 라틴어가 대표적인 예입니다 12 00:00:29,509 --> 00:00:32,009 하지만 종교적인 목적과 바티칸에서 여러 가지 13 00:00:32,009 --> 00:00:34,769 행정적인 목적으로 지금도 사용되고 있죠 14 00:00:35,640 --> 00:00:39,079 몇몇 사람은 라틴어를 구사하지만 모국어처럼 자연스럽지는 않죠 15 00:00:39,079 --> 00:00:41,629 그리고 모국어로 다음 세대로 전해지지 않죠 16 00:00:41,629 --> 00:00:43,490 다른 예는 히브리 어입니다 17 00:00:43,490 --> 00:00:46,017 현대 히브리어로 부활하기 전에 18 00:00:46,017 --> 00:00:47,920 사멸한 언어를 이야기하는 것입니다 19 00:00:47,920 --> 00:00:50,220 오랜 시간 누구도 모국어로 이야기하지 않지만 20 00:00:50,220 --> 00:00:53,019 종교적인 목적과 문학 언어로서 21 00:00:53,019 --> 00:00:55,279 계속 사용되어 왔습니다 22 00:00:55,279 --> 00:00:58,070 그에 반해서, 멸종되었다고 간주되는 언어는 23 00:00:58,070 --> 00:01:00,220 언어를 쓰는 사람이 모두 죽을 때입니다 24 00:01:00,220 --> 00:01:02,520 예를 들자면, 만약 북미 원주민 언어의 25 00:01:02,520 --> 00:01:04,575 마지막 화자가 사망하고 26 00:01:04,575 --> 00:01:06,935 제2언어로도 누구도 배우지 않는다면 27 00:01:06,941 --> 00:01:09,084 그 언어는 멸종하게 됩니다 28 00:01:09,084 --> 00:01:12,504 이와 같이, 고대 언어인 수메르 어도 멸종했죠 29 00:01:12,511 --> 00:01:15,749 몇몇 사람은 이 언어의 고대 문자를 해독할 수도 있겠지만 30 00:01:15,749 --> 00:01:17,749 누구도 이 문자를 사용하지 않죠 31 00:01:17,749 --> 00:01:20,216 언어는 소멸하거나 멸종하게 되죠 32 00:01:20,216 --> 00:01:21,946 언어 소멸의 결과로 말이죠 33 00:01:22,730 --> 00:01:24,514 언어 소멸의 유형 34 00:01:24,514 --> 00:01:26,740 언어는 항상 같은 식으로 소멸하지 않습니다 35 00:01:26,740 --> 00:01:29,121 언어의 소멸에는 여러 가지 유형이 있습니다 36 00:01:29,121 --> 00:01:31,367 언어가 소멸하는 가장 흔한 방식은 37 00:01:31,367 --> 00:01:33,250 점진적 사멸이라고 불립니다 38 00:01:33,250 --> 00:01:35,850 이는 한 언어의 화자들이 39 00:01:35,850 --> 00:01:39,125 더 우세한 언어와 접촉할 때 일어나게 됩니다 40 00:01:39,125 --> 00:01:42,063 우세하고 더 강력한 집단의 사람이 사용하는 언어죠 41 00:01:42,063 --> 00:01:45,029 이 집단은 한동안은 이중 언어로 생활할 것입니다 42 00:01:45,029 --> 00:01:46,851 하지만 세대가 바뀔 때마다 43 00:01:46,851 --> 00:01:49,338 전통적으로 사용했던 언어 화자의 수는 감소하고 44 00:01:49,338 --> 00:01:51,439 언어 숙련도도 낮아질 것입니다 45 00:01:51,439 --> 00:01:54,509 집단 구성원은 우세한 언어를 사용하기로 선택할 것입니다 46 00:01:54,509 --> 00:01:58,319 전통적으로 사용했던 언어를 아무도 사용하지 않는 그 날까지요 47 00:01:58,319 --> 00:01:59,950 콘월 어가 이 사례입니다 48 00:01:59,950 --> 00:02:02,972 19세기 후반에 영어의 영향력에 밀려 49 00:02:02,972 --> 00:02:05,446 사람들이 사용하지 않는 언어였죠 50 00:02:05,446 --> 00:02:09,478 그리고 콘월 어는 하류층의 사람들이 사용하는 언어로 인식되었죠 51 00:02:09,480 --> 00:02:11,719 콘월 어 화자들 사이에서도 이와 같았죠 52 00:02:11,719 --> 00:02:14,049 하지만 콘월 어는 멸종하지는 않았습니다 53 00:02:14,050 --> 00:02:16,114 콘월 어를 살리려고 노력했기 때문이죠 54 00:02:16,114 --> 00:02:18,860 사람들이 이 언어를 사용하도록 장려했습니다 55 00:02:18,860 --> 00:02:21,610 다음은 전례형 언어 소멸입니다 56 00:02:21,610 --> 00:02:23,440 전례형 언어 소멸은 57 00:02:23,440 --> 00:02:26,450 언어가 더이상 모어로 사용되지 않지만 58 00:02:26,450 --> 00:02:29,460 다른 상황에서는 계속 사용됩니다 59 00:02:29,460 --> 00:02:33,080 일반적으로 공식적인 종교 또는 의식에서 사용됩니다 60 00:02:33,080 --> 00:02:34,960 아니면 문학 작품에서 사용되죠 61 00:02:35,930 --> 00:02:37,460 점진적 언어 소멸에서는 62 00:02:37,460 --> 00:02:40,869 열세 언어는 초기에 공식적인 상황에서는 63 00:02:40,869 --> 00:02:43,028 우세 언어에 대체됩니다 64 00:02:43,028 --> 00:02:47,320 하지만 비공식적인 상황에서는 계속 사용되죠 65 00:02:47,320 --> 00:02:50,019 하지만 전례형 언어 소멸은 66 00:02:50,019 --> 00:02:51,799 하층에서의 언어는 소멸합니다 67 00:02:51,799 --> 00:02:53,780 다른 말로, 비공식적인 상황이죠 68 00:02:53,780 --> 00:02:56,689 하지만 공식적인 상황에서는 계속 사용됩니다 69 00:02:57,568 --> 00:02:58,990 라틴 어가 여기에 포함되죠 70 00:02:58,990 --> 00:03:01,730 종교적 행사, 의식 아니면 문학 작품 외에서는 71 00:03:01,730 --> 00:03:05,059 기본적으로 더 이상 사용되지 않습니다 72 00:03:05,700 --> 00:03:08,142 다음은 급격한 언어의 소멸입니다 73 00:03:08,142 --> 00:03:10,240 급격한 언어의 소멸은 74 00:03:10,240 --> 00:03:12,390 모든 언어의 화자들이 75 00:03:12,390 --> 00:03:16,228 재난 또는 폭력의 결과로 발생하게 됩니다 76 00:03:16,228 --> 00:03:19,520 이 사례는 1830년 대 태즈메이니아에서 발생합니다 77 00:03:19,520 --> 00:03:22,124 사실상 모든 섬의 원주민이 78 00:03:22,124 --> 00:03:25,950 유럽 개척자들에게 "검은 전쟁" 시기에 사망했을 때를 말하죠 79 00:03:26,980 --> 00:03:29,550 다음은 교체형 언어 소멸입니다 80 00:03:29,550 --> 00:03:31,394 급격한 언어 소멸과 유사하지만 81 00:03:31,394 --> 00:03:34,424 교체형 언어 소멸은 훨씬 빠르게 일어납니다 82 00:03:34,424 --> 00:03:37,310 보통 정치적 억압의 결과로 일어나게 됩니다 83 00:03:37,310 --> 00:03:39,373 아니면 폭력적인 위협이 뒤따르죠 84 00:03:39,373 --> 00:03:42,530 차이는 언어의 화자들이 사망하는 형태는 아닙니다 85 00:03:42,530 --> 00:03:44,889 하지만 자신의 언어를 더 이상 사용하지 않죠 86 00:03:44,889 --> 00:03:46,689 박해를 피하기 위해서입니다 87 00:03:46,689 --> 00:03:48,945 이 사례는 엘살바도르에서 발생했습니다 88 00:03:48,945 --> 00:03:51,105 1930년도에 일어난 봉기 기간이죠 89 00:03:51,105 --> 00:03:54,855 수많은 토착민이 갑자기 자신의 모국어를 더 이상 사용하지 않았죠 90 00:03:54,855 --> 00:03:56,870 토착민이라는 자신의 정체성이 드러나서 91 00:03:56,870 --> 00:03:58,990 죽을 가능성을 피하기 위해서였죠 92 00:03:59,940 --> 00:04:02,016 그리고 두 언어가 갑자기 사멸했습니다 93 00:04:02,016 --> 00:04:03,900 렝카 어와 카카오페라 어입니다 94 00:04:04,930 --> 00:04:06,220 사례 연구 95 00:04:06,220 --> 00:04:08,760 이미 소멸한 언어 여러 개로 알아보겠습니다 96 00:04:08,760 --> 00:04:11,710 이 언어들이 사라진 과정을 알 수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97 00:04:11,710 --> 00:04:13,260 고대 교회 슬라브어 98 00:04:13,260 --> 00:04:16,790 고대 교회 슬라브어는 슬라브어족 중 최초로 인정받았습니다 99 00:04:16,790 --> 00:04:20,040 9세기에서 11세기 사이에 통용되었습니다 100 00:04:20,040 --> 00:04:22,480 슬라브어족 언어 중에서 표준화된 언어입니다 101 00:04:22,480 --> 00:04:24,205 서로 유사점이 많은 102 00:04:24,205 --> 00:04:26,250 여러 가지 슬라브어족 방언의 103 00:04:26,250 --> 00:04:28,638 화자들 사이에서 서로 소통이 가능했습니다 104 00:04:28,640 --> 00:04:29,830 기초적으로 한 언어의 105 00:04:29,830 --> 00:04:32,920 구어체 형태라고 할 수 있는 슬라브어족 방언은 106 00:04:32,920 --> 00:04:36,159 오늘날 서로 다른 슬라브어족 언어로 서서히 발전했습니다 107 00:04:36,777 --> 00:04:40,200 오늘날 몇몇 교회에서 예배의 목적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108 00:04:40,200 --> 00:04:41,930 이 언어는 예배용 언어입니다 109 00:04:41,930 --> 00:04:46,179 따라서 전례형 언어 소멸의 범주에 맞다고 할 수 있습니다 110 00:04:46,184 --> 00:04:48,157 새로 만들어진 슬라브어족 언어가 111 00:04:48,157 --> 00:04:51,889 일상 생활 영역에서 오래된 슬라브어족 방언을 대체해 나갔습니다 112 00:04:51,889 --> 00:04:55,328 하지만 고대 교회 슬라브어는 종교 의식과 113 00:04:55,328 --> 00:04:58,528 특정 시간대에 정치적인 목적으로 계속 사용되어 왔습니다 114 00:04:59,196 --> 00:05:02,680 몇몇 예배용 언어는 소멸한 것이 아님을 알아둘 가치가 있습니다 115 00:05:02,680 --> 00:05:05,164 라틴 어와 고대 슬라브어는 116 00:05:05,164 --> 00:05:07,140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 것이 아니라 117 00:05:07,140 --> 00:05:10,000 다른 언어로 진화해서 계속 사용되는 것입니다 118 00:05:10,000 --> 00:05:12,620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 개별적인 소멸 언어로서 119 00:05:12,620 --> 00:05:15,845 성문화된 문학 언어를 남겨둔 채로 말이죠 120 00:05:15,845 --> 00:05:17,720 만단 어 121 00:05:17,720 --> 00:05:20,780 2016년 에드윈 벤슨이라는 122 00:05:20,780 --> 00:05:24,263 만단 어의 마지막 화자가 사망했습니다 123 00:05:24,263 --> 00:05:27,750 만단 어는 수어 족에 포함되는 북미 원주민 언어였습니다 124 00:05:27,750 --> 00:05:30,400 미국 노스 다코타 주에서 통용되는 언어였습니다 125 00:05:30,405 --> 00:05:33,494 만단 어 사용 인구는 천연두 창궐 이후 126 00:05:33,494 --> 00:05:35,155 급감하게 되었습니다 127 00:05:35,155 --> 00:05:38,180 1780년과 1830년에요 128 00:05:38,180 --> 00:05:40,158 영어의 영향력이 커지는 동안 129 00:05:40,158 --> 00:05:42,450 미 정부의 원주민 강제 이주 정책과 130 00:05:42,450 --> 00:05:46,174 댐 건설로 인해 원주민 마을이 흩어지고 131 00:05:46,174 --> 00:05:48,074 주민이 결집하지 못하게 막았습니다 132 00:05:48,074 --> 00:05:49,960 대부분의 화자가 천연두 창궐로 133 00:05:49,960 --> 00:05:52,670 비극적으로 사망한 것을 고려하면 134 00:05:52,670 --> 00:05:55,820 급격한 언어 소멸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135 00:05:55,820 --> 00:05:59,061 이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일부 살아 있다고 해도 말이죠 136 00:05:59,061 --> 00:06:02,440 잔존 화자를 고려한다면 우리는 이러한 사례를 137 00:06:02,440 --> 00:06:05,820 점진적 언어 소멸로 분류합니다 더 많은 사회 구성원이 138 00:06:05,820 --> 00:06:09,080 우세 언어인 영어를 사용하기 시작합니다 139 00:06:09,080 --> 00:06:10,865 결국 만단 어는 소멸하게 됩니다 140 00:06:10,865 --> 00:06:11,865 갈리아 어 141 00:06:11,865 --> 00:06:13,970 기원후 6세기까지 142 00:06:13,970 --> 00:06:17,510 갈리아 어로 불리는 켈트 어는 현재 프랑스 지역에서 사용되었습니다 143 00:06:17,510 --> 00:06:19,360 로마 인이 이 지역을 점령할 때 144 00:06:19,360 --> 00:06:22,090 이 지역의 공용어를 라틴 어로 지정했습니다 145 00:06:22,090 --> 00:06:24,270 그리고 지위와 경제적 기회를 얻기 위해 146 00:06:24,270 --> 00:06:26,849 라틴 어를 사용할 수 있었습니다 147 00:06:26,849 --> 00:06:28,120 수 세기 후에 148 00:06:28,120 --> 00:06:30,760 갈리아 토착 언어와 우세 언어인 라틴 언어의 149 00:06:30,760 --> 00:06:32,610 이중 언어를 쓰는 일은 흔했습니다 150 00:06:32,610 --> 00:06:35,515 그리고 라틴 어가 갈리아 어를 완전히 대체하게 되죠 151 00:06:35,515 --> 00:06:38,045 점진적 언어 소멸에 완벽하게 부합하는 사례입니다 152 00:06:38,045 --> 00:06:41,120 대다수 구성원이 토착어 사용을 포기하고 153 00:06:41,120 --> 00:06:43,555 우세 언어를 사용하는 사례입니다 154 00:06:43,555 --> 00:06:45,030 아자와 어 155 00:06:45,030 --> 00:06:47,410 1920년과 1940년 사이에 156 00:06:47,410 --> 00:06:49,985 나이지리아에서 아자와 어가 소멸했습니다 157 00:06:49,985 --> 00:06:53,212 사회 구성원 전체가 경제적, 실질적 이유로 158 00:06:53,212 --> 00:06:55,740 하우사 어로 교체했기 때문입니다 159 00:06:55,740 --> 00:06:59,570 구성원 전체가 아주 급격하게 자신들의 토착어 사용을 포기했고 160 00:06:59,570 --> 00:07:02,300 다음 세대로 전해지지 않았습니다 161 00:07:02,300 --> 00:07:04,729 교체형 언어 소멸에 해당하는 사례입니다 162 00:07:04,729 --> 00:07:07,360 사회 구성원 전체가 갑자기 다른 언어로 교체할 때 163 00:07:07,360 --> 00:07:09,560 그 언어는 소멸합니다 164 00:07:09,560 --> 00:07:11,779 교체형 언어 소멸의 수많은 사례는 165 00:07:11,779 --> 00:07:14,660 폭력에 직면했을 때 생존을 위해 구성원이 166 00:07:14,660 --> 00:07:15,960 자신의 언어를 포기합니다 167 00:07:15,960 --> 00:07:19,058 하지만 이 사례에서는 구성원들이 아자와 어를 포기한 이유는 168 00:07:19,058 --> 00:07:22,260 하우사 어를 사용하는 게 더 이득이 되기 때문입니다 169 00:07:23,265 --> 00:07:25,430 왜 언어 소멸에 주목해야 할까요? 170 00:07:25,430 --> 00:07:28,050 누군가는 언어가 소멸되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171 00:07:28,050 --> 00:07:30,580 언어 다양성이 줄어들어야 바람직하다고 하죠 172 00:07:30,580 --> 00:07:32,628 예를 들자면, 몇몇 국가의 지도자들은 173 00:07:32,628 --> 00:07:35,917 한 언어가 다른 언어를 지배하기를 원합니다 174 00:07:35,917 --> 00:07:39,076 그렇게 해야 국가를 통합할 수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175 00:07:39,076 --> 00:07:41,585 다르게 생각하면 언어는 문화입니다 176 00:07:41,585 --> 00:07:44,030 언어가 소멸할 때 그에 속한 문화가 소멸되죠 177 00:07:44,030 --> 00:07:46,790 세상을 바라보는 독특한 관점도 같이 소멸되죠 178 00:07:46,790 --> 00:07:48,933 예를 들자면, 볼리비아의 소멸위기언어인 179 00:07:48,936 --> 00:07:50,940 칼라와야 언어를 보겠습니다 180 00:07:50,940 --> 00:07:53,765 칼라와야 어는 약사 계층에서 사용되는 언어입니다 181 00:07:53,765 --> 00:07:57,015 이 언어를 배우는 계층은 의식을 배우고 182 00:07:57,015 --> 00:07:59,170 선조들에게서 구전받을 뿐만 아니라 183 00:07:59,170 --> 00:08:02,676 이 지역의 토착 식물을 의학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184 00:08:02,676 --> 00:08:06,149 칼라와야 어에만 존재하는 수천 가지의 185 00:08:06,149 --> 00:08:08,264 식물 이름 또한 알아야 합니다 186 00:08:08,264 --> 00:08:09,690 칼라야와 어가 사라진다면 187 00:08:09,690 --> 00:08:13,020 이 문화와 구전된 비밀 지식 모두가 사라지게 되겠죠 188 00:08:14,115 --> 00:08:16,840 언어 다양성은 점진적으로 감소해 왔습니다 189 00:08:16,840 --> 00:08:20,245 그리고 현재는 대략 7천 개의 언어가 존재합니다 190 00:08:20,245 --> 00:08:22,354 거의 절반이 소멸 위기입니다 191 00:08:22,354 --> 00:08:24,907 그리고 상위 100개의 언어를 192 00:08:24,907 --> 00:08:28,217 세계 인구의 85퍼센트가 사용하고 있습니다 193 00:08:28,220 --> 00:08:30,740 몇몇 소멸위기언어는 되살리려는 노력을 통해 194 00:08:30,740 --> 00:08:32,550 새로운 삶을 얻기도 합니다 195 00:08:32,550 --> 00:08:35,869 먼저 그 대상의 언어는 녹음되고 문서화되어야 합니다 196 00:08:35,869 --> 00:08:37,739 그리고 새 화자들을 가르쳐야 하죠 197 00:08:37,739 --> 00:08:41,740 그리고 사회 구성원이 열정적이고 헌신적이어야 합니다 198 00:08:41,740 --> 00:08:44,630 그리고 정치적 영향력이 누구도 다치게 해선 안 됩니다 199 00:08:44,630 --> 00:08:46,070 오늘의 질문입니다 200 00:08:46,070 --> 00:08:47,905 여러분의 나라, 혹은 지역에서 201 00:08:47,905 --> 00:08:51,670 사라져 가거나 멸종 위기에 있는 언어가 있나요? 202 00:08:51,670 --> 00:08:54,213 이 언어가 소멸할 때 여러분은 무엇을 느끼나요? 203 00:08:54,213 --> 00:08:55,863 중요한 것을 잃은 기분일까요? 204 00:08:56,459 --> 00:09:00,118 Langfocus의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팔로우 부탁드립니다 205 00:09:00,118 --> 00:09:03,399 그리고 모든 Patreon 후원자들에게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206 00:09:03,399 --> 00:09:06,269 특히 최상위 Patreon 후원자들에게요 207 00:09:06,269 --> 00:09:08,424 최상위 후원자는 화면에 표시했습니다 208 00:09:08,424 --> 00:09:09,664 정말 정말 감사드립니다 209 00:09:10,389 --> 00:09:12,819 제 마지막 영상의 주제는 도기 보나입니다 210 00:09:12,819 --> 00:09:16,890 왜 도기 보나가 후원자 명단에 있는 지 물어볼 것입니다 211 00:09:16,890 --> 00:09:19,449 도기 보나 어의 창시자가 212 00:09:19,449 --> 00:09:21,340 작년 여름에 후원했기 때문이죠 213 00:09:21,340 --> 00:09:23,835 하지만 명단에 올라가기를 원하지 않았습니다 214 00:09:23,835 --> 00:09:27,800 하지만 요청을 받고 언어 이름을 대신 명단에 올렸습니다 215 00:09:27,800 --> 00:09:30,663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좋은 하루 보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