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00:00:00,206 --> 00:00:02,666 제대로 따라했다면 이런 소리가 날 겁니다. 2 00:00:02,690 --> 00:00:06,569 틱! 탓, 틱! 탓, 틱! 탓, 틱! 탓, 틱! 탓, 틱! 탓, 3 00:00:06,593 --> 00:00:08,300 잘못했을 경우엔 이런 소리가 나죠 4 00:00:08,324 --> 00:00:09,823 틱 탓!, 틱 탓!, 틱 탓! 5 00:00:09,848 --> 00:00:11,173 [사소한 것에 담긴] 6 00:00:11,173 --> 00:00:12,699 [위대한 아이디어] 7 00:00:13,574 --> 00:00:15,460 [줄넘기에 대한 생각. 키라 가운트] 8 00:00:16,321 --> 00:00:19,754 줄넘기는 단순한 줄에 불과합니다. 9 00:00:19,918 --> 00:00:22,517 밧줄이나 빨랫줄, 노끈으로 만들 수 있죠. 10 00:00:22,541 --> 00:00:25,067 베베 꼬여 있죠(웃음) 11 00:00:25,091 --> 00:00:26,863 어떻게 설명해야 할지 모르겠네요. 12 00:00:26,887 --> 00:00:29,392 중요한 것은 적당한 무게가 있어야 하고 13 00:00:29,416 --> 00:00:32,793 쉭쉭거리는 소리가 나야 한다는 것이죠. 14 00:00:32,817 --> 00:00:36,615 줄넘기의 기원이 무엇인지는 분명하지 않아요. 15 00:00:36,639 --> 00:00:40,575 고대 이집트와 페니키아에서 시작되었다는 몇몇 증거가 있죠. 16 00:00:40,599 --> 00:00:44,671 그리고 줄넘기는 네덜란드 출신 정착민과 함께 북미에 전파되었습니다. 17 00:00:44,695 --> 00:00:49,333 여성들의 옷이 좀 더 몸에 달라붙게 되면서 줄넘기도 중요해졌죠. 18 00:00:49,357 --> 00:00:51,635 그리고 판타롱 바지가 유행하면서 19 00:00:51,659 --> 00:00:54,539 여성들도 줄넘기를 할 수 있게 됐어요. 20 00:00:54,563 --> 00:00:57,269 치맛자랏이 줄에 걸리지 않으니까요. 21 00:00:57,293 --> 00:01:01,173 여자 가정교사들은 학생들을 지도할 때 줄넘기를 사용했어요. 22 00:01:01,197 --> 00:01:04,438 심지어 남북 전쟁 전의 남부 아프리카 흑인 노예 아이조차도 23 00:01:04,462 --> 00:01:05,904 줄넘기를 했죠. 24 00:01:05,928 --> 00:01:10,539 1950년대 할렘, 브롱크스, 브루클린, 퀸즈에서 25 00:01:10,563 --> 00:01:15,039 인도에서 줄넘기를 하는 수많은 여자아이들이 보이시죠? 26 00:01:15,063 --> 00:01:18,785 때때로 줄넘기 두 개를 한 번에 뛰어넘기도 했습니다. 27 00:01:18,809 --> 00:01:22,595 아니면 계란교반기처럼 따로 따로 넘을 수도 있었죠. 28 00:01:22,619 --> 00:01:25,132 줄넘기는 메트로놈과 비슷하죠. 29 00:01:25,156 --> 00:01:26,673 틱, 틱, 틱, 틱 30 00:01:26,697 --> 00:01:30,759 라임과 리듬과 노래를 덧붙여서 할 수 있거든요. 31 00:01:30,783 --> 00:01:32,831 줄넘기는 우리 동네가 이웃보다도 훨씬 멋진 곳으로 32 00:01:32,855 --> 00:01:35,077 여겨지게끔 하는 공간을 33 00:01:35,101 --> 00:01:37,211 창조했습니다. 34 00:01:37,602 --> 00:01:41,288 흑인 여성들에게 더블 더치 줄넘기는 여전히 문화와 정체성의 35 00:01:41,312 --> 00:01:42,465 강력한 상징입니다. 36 00:01:42,489 --> 00:01:44,807 1950년대에서 1970년대까지 37 00:01:44,831 --> 00:01:46,966 여성들은 스포츠와 거리가 멀었어요. 38 00:01:46,990 --> 00:01:49,791 남자들은 야구, 농구, 축구를 했지만 39 00:01:49,815 --> 00:01:51,156 여성들에겐 허락되지 않았죠. 40 00:01:51,180 --> 00:01:53,704 하지만 이 시기에 많은 것이 변했습니다. 41 00:01:53,728 --> 00:01:55,569 여성들도 운동을 하기 시작한거죠. 42 00:01:55,593 --> 00:01:58,013 남자들이 낄 구석이 없다는 것을 분명히 했죠. 43 00:01:58,037 --> 00:02:00,283 여성들만의, 여성이 힘을 갖고 있는 분야였습니다. 44 00:02:00,307 --> 00:02:02,403 여성들이 빛날 수 있는 곳이었죠. 45 00:02:02,427 --> 00:02:03,989 하지만 저는 소년들도 마찬가지였을거라 생각하는데요 46 00:02:04,013 --> 00:02:05,489 왜냐하면 남자애들이 흑인 여자들이 47 00:02:05,513 --> 00:02:07,957 줄넘기를 하면서 부르는 노래를 듣고 이를 힙합 뮤지션들이 자신들의 노래에 48 00:02:07,981 --> 00:02:11,277 샘플링 했다고 생각하거든요. 49 00:02:11,301 --> 00:02:14,377 (노래) 얼음, 쉐이크, 줄넘기를 잘하는 것처럼, 50 00:02:14,401 --> 00:02:17,402 생선 휠레, 쿼터 파운드 버거, 감자 튀김, 차가운 얼음, 쉐이크 51 00:02:17,426 --> 00:02:18,881 줄넘기를 잘 하는 것처럼. 52 00:02:18,905 --> 00:02:22,925 넬리의 "컨트리 그래머"가 그래미 시상식 최우수 싱글이 된 이유는 53 00:02:22,949 --> 00:02:25,307 사람들이 이미 유사성을 알고 있었기 때문이겠죠. 54 00:02:25,331 --> 00:02:28,806 "우리는 레인지 로버를 타고 너를 향해 가고 있어 ..." 라는 부분이 55 00:02:28,830 --> 00:02:32,243 "갈 거야 내 사랑 롤러코스터를 타고 56 00:02:32,267 --> 00:02:34,696 달콤한 내 사랑, 널 절대 놓치지 않아." 57 00:02:34,720 --> 00:02:37,569 흑인들이 사는 도시에서 성장한 이라면 누구나 58 00:02:37,593 --> 00:02:39,878 이 노래를 알 것입니다. 59 00:02:39,902 --> 00:02:42,124 성공은 따놓은 당상이었죠. 60 00:02:42,656 --> 00:02:46,775 더블 더치 줄넘기가 이 노래를 꾸준히 퍼뜨렸고 61 00:02:46,799 --> 00:02:50,800 구호와 동작도 함께 유지되면서 62 00:02:50,824 --> 00:02:54,831 제가 말하는 "구전 운동"으로 자연스레 이어졌습니다. 63 00:02:54,855 --> 00:02:56,656 말과 행동이 모두 퍼지는 거죠. 64 00:02:57,133 --> 00:03:00,006 여러 세대에 걸쳐서 내려온 것입니다. 65 00:03:00,030 --> 00:03:02,961 어떤 의미에서 줄넘기가 그 전파에 일정 역할을 담당했다고 볼 수 있죠. 66 00:03:03,696 --> 00:03:06,569 기억을 전달하는데는 특별한 수단이 필요합니다. 67 00:03:06,943 --> 00:03:10,887 그리고 줄넘기는 다른 모든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68 00:03:10,911 --> 00:03:12,466 문화를 넘나들죠. 69 00:03:12,490 --> 00:03:16,495 사람들은 앞으로 전진해야 했고 그래서 줄넘기가 필요했습니다. 70 00:03:16,519 --> 00:03:21,906 저는 때로 가장 단순한 사물이 가장 창조적인 움직임을 만든다고 믿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