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태계는 수억년을 주기로 순환하고,
앞으로도 계속 그럴 것 입니다.
생물의 세계에선 쓰레기 매립지가 없습니다.
다만, 물질의 흐름이 있죠.
어떤 동물의 쓰레기는
다른 동물의 먹이입니다.
태양으로부터 생성된 에너지로
어떤 생명은 자라고,
죽기도 합니다.
그렇게 되면 영양분이 토양으로
안전하게 돌아오게 되죠.
이렇게 생태가 흘러가죠.
인간으로 살면서
우리는 선형적인 접근에 적응해 왔습니다.
취하고, 만들고, 버리면서 말이죠.
새로운 휴대폰이 출시됩니다.
그래서 우리는 옛 것을 버립니다.
세탁기가 멈췄습니다.
그래서 새 것을 삽니다.
이런 행동을 할 때마다,
우리는 자원의 한정적인 공급을 축내며
종종 독성 쓰레기를 생산하기도 합니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이렇게 지속할 순 없습니다.
그럼 어떻게 해야할까요?
만일 우리가 생태계의
순환 모델 작용을 이해한다면
생각의 방식을 바꿔서
우리 또한 순환 생태계를
운영하게 될 수 있을까요?
생태 시계부터 시작해 봅시다.
우리는 어떻게 쓰레기로
자금을 소비하는 대신 쌓아올릴 수 있을까요?
상품과 구성 요소, 그리고 출시 시 포장을
재고하고 재설계함으로서,
우리는 안전하고 비옥한 토양을 만드는
퇴비화가 가능한 물질을
만들 수 있습니다.
영화의 한 대사처럼,
"이 물질을 만들게 되면
어떤 자원도 잃지 않을 수 있습니다."
그럼 세탁기와 휴대폰, 냉장고는 어떻할까요?
이들은 생 분해가 되지 않는 물질이죠.
이렇게 생각해보면 어떨까요?
유용 금속이나 고분자, 합금을
재활용하게되면
그 물질들의
고유의 가치는 유지되고,
각각의 사용기한을 훨씬 넘겨
지속적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것입니다.
오늘 우리가 사용한 물건이
내일의 자원이 된다면 어떨까요?
상품성이 높아질 겁니다.
우리에게 익숙한 버리고 대체하는 문화 대신
반납하고 개선하는 것에 익숙해져서
상품과 구성요소를 해체 후
재조합이 가능하게 설계하는 것이죠.
해결책 중 하나는
새로운 주인의식을 가지는 것입니다.
우리가 기술을
실제로 가질 수 없다면 어떻게 될까요?
우리는 단지 제조사에게
기술 사용을 허락 받았을 뿐입니다.
이제, 이 두가지를 한데 모아 생각해봅시다.
상품이 제조사에게 되돌아 가도록
설계할 수 있다고 가정해봅시다.
제조사의 기술이 사용된 물질이
다시 사용되고,
생물학적 부분은
농업적 가치를 높이는 것이죠.
또한 이 상품들이
재생산 에너지를
만들고 옮긴다고 상상해보세요.
이것이 장기적 번영을
이룰 수 있는 방법입니다.
좋은 소식은
이미 이런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는
회사가 존재한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순환 경제는 한 제조사가
한 상품 제조 방식을 바꾸는 것으로는 부족합니다.
상호 연관 회사 모두가
우리의 기반시설과
경제를
함께 바꾸어 나가야합니다.
이것은 에너지에
관한 것입니다.
이것은 운영 방식 자체를
재고 해야 하는 것입니다.
우리는 새로운 시점과 지평을 열
멋진 기회를 얻었습니다.
현재의 실패에 갇혀있기보다
창의력과 혁신으로
우리는 미래를
재고하고 재설계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