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태계는 수억년을 주기로 순환하고,
앞으로도 계속 그럴 것 입니다.
생물의 세계에선 쓰레기 매립지가 없습니다.
다만, 물질의 흐름이 있죠.
어떤 동물의 쓰레기는
다른 동물의 먹이입니다.
태양으로부터 생성된 에너지로
어떤 생명은 자라고,
죽기도 합니다.
그렇게 되면 영양분이 토양으로
안전하게 돌아오게 되죠.
이렇게 생태가 흘러가죠.
인간으로 살면서
우리는 선형적인 접근에 적응해 왔습니다.
취하고, 만들고, 버리면서 말이죠.
새로운 휴대폰이 출시됩니다.
그래서 우리는 옛 것을 버립니다.
세탁기가 멈췄습니다.
그래서 새 것을 삽니다.
이런 행동을 할 때마다,
우리는 자원의 한정적인 공급을 축내며
종종 독성 쓰레기를 생산하기도 합니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이렇게 지속할 순 없습니다.
그럼 어떻게 해야할까요?
만일 우리가 생태계의
순환 모델 작용을 이해한다면
생각의 방식을 바꿔서
우리 또한 순환 생태계를
운영하게 될 수 있을까요?
생태 시계부터 시작해 봅시다.
우리는 어떻게 쓰레기로
자금을 소비하는 대신 쌓아올릴 수 있을까요?
상품과 구성 요소, 그리고 출시 시 포장을
재고하고 재설계함으로서,
우리는 안전하고 비옥한 토양을 만드는
퇴비화가 가능한 물질을
만들 수 있습니다.
영화의 한 대사처럼,
"이 물질을 만들게 되면
어떤 자원도 잃지 않을 수 있습니다."
그럼 세탁기와 휴대폰, 냉장고는 어떻할까요?
이들은 생 분해가 되지 않는 물질이죠.
이렇게 생각해보면 어떨까요?
유용 금속이나 고분자, 합금을
재활용하게되면
그 물질들의
고유의 가치는 유지되고,
각각의 사용기한을 훨씬 넘겨
지속적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것입니다.
오늘 우리가 사용한 물건이
내일의 자원이 된다면 어떨까요?
상품성이 높아질 겁니다.
우리에게 익숙한 버리고 대체하는 문화 대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