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에 관심이 많은 사진학과 학부생이었을 때
저는 저의 교수들이 전시회에 대해서 하는 말을 들었습니다.
그 전시회는 마사 슈나이더(Martha Schneider)라고 부르는 미술관에서 열릴 예정이었습니다.
전시회의 제목은 "새로운 예술가, 오래된 과정들"이었습니다.
그리고 저는 제가 그 전시회에 적합하다고 생각했습니다.
저는 갤러리에 포트폴리오를 보내기로 결정했습니다.
당시 19살이었고 대학교 2학년이었습니다.
그들은 아마추어 예술가들에게는 관심이 없었습니다.
그렇지만 지속적으로 간청을 한 이후에 한 여성이 저의 포트폴리오를 보았습니다.
그리고 다음주 그녀는 저에게 그 장소에서 개인전을 열 수 있는[웃음]
기회를 주었습니다.
그 개인전을 통해서 시카고 미술관과 휘트니 미술관이 제 작품 몇 점을 샀습니다.
-[남성 인터뷰어, 카메라 밖에서] 당신은 굉장히 대담한 분이시군요?
[존슨] 대담하기보다는 순진한거에 가깝죠.
바보같은 짓이었을 수도 있어요.
만약 지금의 저라면 그런 결정을 내리지는 않았을 거에요.
그리고 그 갤러리에서 전시회도 못했을 거고요. [웃음]
저는 포트폴리오를 가지고 MoMa로 가지 않을거고,
"이봐 내가 작품을 가지고 여기 왔어. 이걸 좀 보라고."라고 말하지도 않을 겁니다.
["라시드 존슨은 침착하다"]
--[존슨] 그가 들어옵니다.
[하우저 앤 워스, 어퍼 이스트 사이드]
[마크 파요, 갤러리 관리자]
--[파요] 특히 당신 작품이 경우에, 그림이 검은 색이기 때문에
입체적인 질감을 보는 게 어려워요.
사진이 평평하고 단조롭게 보일 수 있습니다.
--[존슨] 사람들이 사진을 볼 때 실제로
작품의 질감이 얼마나 생생한지
깨닫게 되는 것은 멋진 일입니다.
--그렇지만 사람들은 사진을 좋아합니다.
[모두 웃음]
저는 19세기에 유행한 사진 처리 기법을
많이 사용하면서 작업을 진행해 나갑니다.
그리고 이러한 소재를 사용해서 작업을 해 나가는 동안에
해야할 일이 있는데, 사진에 민감한
화학물을 종이에 바르는 일입니다.
이런 작업 과정 때문에 저는 종이에 많은 신경을 써야 했습니다.
그리고 소재와, 어떻게 그 소재가 적용되는 방식, 그리고 물리적으로 제가
그것과 어떻게 상호작용하고 있는지에 대해 많은 관심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그 결과 저는 검은 비누와 왁스를 녹여서 부어보는 일도 하게 되었습니다.
그러므로 저는 그것이 저에게 매우 자연스러운 발전 과정이었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다른 몇 가지 재료를을 잘 이해하는 데 관심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재료들은 실제로 예술작품에서 사용된 적이 없는 것들이며,
이러한 재료를 저만의 방식으로 적용할 수 있었습니다.
제가 스물 두 살이었을 때 저는 항상 러시아 터키 배스 하우스(Russian Turkish bagth house)에
갔습니다. 저는 그곳에 가서 땀을 흘리곤 했어요.
그리고 휴식을 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았습니다. 제가 스트레스를 잘 받는 편이거든요.
[웃음]
그래서 그 공간은 저에게 성전같은, 거의 ㅗㅇ교적인
공간처럼 되었습니다.
저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