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00:00:07,496 --> 00:00:09,361 여러분은 지금 바삭거리는 탄소로 가득찬 2 00:00:09,361 --> 00:00:12,454 거대한 에너지 그릇을 마주하고 있습니다. 3 00:00:12,454 --> 00:00:15,451 숟가락 가득 한번, 두번, 세번 떠 먹습니다. 4 00:00:15,451 --> 00:00:17,812 곧, 여러분은 그 음식으로 부터 에너지를 받아 5 00:00:17,812 --> 00:00:19,703 생기가 충전됩니다. 6 00:00:19,703 --> 00:00:22,813 그런데, 어떻게 그런 에너지가 여러분의 그릇에 담겨져 있을까요? 7 00:00:22,813 --> 00:00:25,502 에너지는 당의 형태로 존재합니다. 8 00:00:25,502 --> 00:00:28,313 밀이나 옥수수 같은 여러분이 먹는 시리얼의 원천인 곡물들에 9 00:00:28,313 --> 00:00:29,979 의해 만들어지죠. 10 00:00:29,979 --> 00:00:33,313 아시다시피 탄소는 화학물질의 기본을 이룹니다. 11 00:00:33,313 --> 00:00:35,011 그리고 식물들은 우리 모두 호흡하는 공기에 존재하는 12 00:00:35,011 --> 00:00:38,515 이산화탄소, 즉 CO2의 형태로 탄소를 13 00:00:38,515 --> 00:00:40,433 받아들이게 됩니다. 14 00:00:40,433 --> 00:00:42,602 그러나 엽록체 기질내에 들어있는 15 00:00:42,602 --> 00:00:45,021 식물의 에너지 공장이 어떻게 기체 상태의 탄소를, 16 00:00:45,021 --> 00:00:47,811 즉 이산화탄소같은 하나의 기체 단위를 17 00:00:47,811 --> 00:00:51,774 여섯개의 탄소 고체 단위로 이루어진 포도당과 같은 물질로 바꿀 수 있을까요? 18 00:00:51,774 --> 00:00:55,029 광합성을 생각하신다면, 정답입니다. 19 00:00:55,029 --> 00:00:58,240 하지만, 광합성은 두가지의 단계로 나누어집니다. 20 00:00:58,240 --> 00:01:00,782 첫째로, 태양으로부터 에너지를 아데노신3인산, 또는 ATP의 21 00:01:00,782 --> 00:01:05,343 형태로 저장하는 단계와, 22 00:01:05,343 --> 00:01:08,842 둘째로, 탄소를 흡수해서 당으로 바꾸는 23 00:01:08,842 --> 00:01:10,928 캘빈회로의 단계가 있습니다. 24 00:01:10,928 --> 00:01:13,296 이 두번째 단계가 자연에서 가장 오랫동안 지속되어온 25 00:01:13,296 --> 00:01:15,796 생산공정입니다. 26 00:01:15,796 --> 00:01:20,426 자 그럼 그 두번째 단계와 함께, 세상에서 가장 작은 공장으로 견학을 가 보도록 하겠습니다. 27 00:01:20,426 --> 00:01:21,844 생산재료가 뭘까요? 28 00:01:21,844 --> 00:01:24,308 공기중에 존재하는 CO2 분자 덩어리와, 29 00:01:24,308 --> 00:01:26,760 이미 조합되어 있는 분자인, 30 00:01:26,760 --> 00:01:30,399 리불로오스 인산, 또는 RuBP 이 재료이며, 31 00:01:30,399 --> 00:01:32,261 각각 탄소 다섯개씩 가지고 있습니다. 32 00:01:32,261 --> 00:01:36,178 시작하는 것? 루비스코라고 불리는 부지런한 효소입니다. 33 00:01:36,178 --> 00:01:39,614 그 효소는 CO2 분자에서 탄소 하나를 34 00:01:39,614 --> 00:01:41,593 RuBP 고리에 접착시켜서 35 00:01:41,593 --> 00:01:44,618 최초단계에서 필요한 여섯개 탄소 연속체를 만듭니다. 36 00:01:44,618 --> 00:01:47,873 그것이 빠르게 두개의 더 작은 고리들로 나눠져서, 37 00:01:47,873 --> 00:01:49,874 각 고리는 이제 세개의 탄소를 지니게 되는데, 38 00:01:49,874 --> 00:01:54,391 이것은 포스포글리세린산, 또는 줄여서 PGA 라고 불립니다. 39 00:01:54,391 --> 00:01:57,550 ATP(아데노신3인산), 그리고 또 하나의 화학물질인, 40 00:01:57,550 --> 00:02:01,678 니코틴아미드 아데닌 디누우클레오티드 인산, 41 00:02:01,678 --> 00:02:04,806 또는 줄여서 NADPH 단계에 들어가보죠. 42 00:02:04,806 --> 00:02:07,725 ATP는 윤활제 역할을 하면서 에너지를 전달하고, 43 00:02:07,725 --> 00:02:13,511 그동안 NADPH 는 각 PGA 고리에 하나의 수소를 붙이면서, 44 00:02:13,511 --> 00:02:15,427 각 PGA 고리를 글리세르알데히드 3인산, 또는 G3P 라고 불리는 45 00:02:15,427 --> 00:02:19,610 분자로 변형시킵니다. 46 00:02:19,610 --> 00:02:22,531 포도당이 형성되려면 여섯개의 탄소가 필요하고, 47 00:02:22,531 --> 00:02:25,242 그 여섯개의 탄소는 두개의 G3P 분자로 부터 형성될 수 있죠. 48 00:02:25,242 --> 00:02:28,426 왜냐면, 두개의 G3P를 합치면 우연히 여섯개의 탄소가 될수 있으니까요. 49 00:02:28,426 --> 00:02:30,844 자 그럼 당이 완성되었나요? 50 00:02:30,844 --> 00:02:32,511 아직 아닙니다. 51 00:02:32,511 --> 00:02:35,878 캘빈회로과정은 지속적인 생산공정처럼 작동합니다. 52 00:02:35,878 --> 00:02:38,178 원래의 RuBP 들은 53 00:02:38,178 --> 00:02:40,272 작업을 시작시키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54 00:02:40,272 --> 00:02:42,727 캘빈회로과정내에서 55 00:02:42,727 --> 00:02:44,359 재료들을 재사용해서 다시 만들어져야 한다는 뜻이죠. 56 00:02:44,359 --> 00:02:46,976 그러나 각각의 RuBP는 다섯개의 탄소를 보유하고 있고, 57 00:02:46,976 --> 00:02:49,809 포도당을 만들려면 여섯개의 탄소가 필요하죠. 58 00:02:49,809 --> 00:02:51,394 갯수가 안맞습니다. 59 00:02:51,394 --> 00:02:54,195 해답은 경이로운 하나의 현상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60 00:02:54,195 --> 00:02:57,225 우리가 지금껏 한가지 생산공정에만 집중하는 사이에, 61 00:02:57,225 --> 00:03:00,725 다섯개의 다른 공정이 동시에 돌아가고 있었던 것이죠. 62 00:03:00,725 --> 00:03:03,662 여섯개의 생산공정이 동시에 돌아가면서, 63 00:03:03,662 --> 00:03:05,809 하나의 탄소가 하나의 RuBP 고리에 64 00:03:05,809 --> 00:03:07,416 붙게 되는 것이 아니라, 65 00:03:07,416 --> 00:03:11,590 여섯개의 탄소가 여섯개의 RuBP에 붙게 되는 것입니다. 66 00:03:11,590 --> 00:03:15,091 이렇게 되면, 두개가 아닌 12개의 G3P 가 만들어지고, 67 00:03:15,091 --> 00:03:18,726 모두 합쳐서 36개의 탄소가 존재하게 된다는 뜻이죠: 68 00:03:18,726 --> 00:03:21,308 당을 생산해내는 것과, 처음 공정에 존재하는 RuBP를 69 00:03:21,308 --> 00:03:24,392 재생산하는 데 필요한 정확한 탄소 갯수입니다. 70 00:03:24,392 --> 00:03:27,187 그 모여진 12개의 G3P 중, 71 00:03:27,187 --> 00:03:28,940 두개가 떨어져 나와서 72 00:03:28,940 --> 00:03:32,309 에너지 가득한 탄소 여섯개짜리 포도당 고리를 형성합니다. 73 00:03:32,309 --> 00:03:35,614 바로 여러분이 아침 식사를 통해 에너지를 얻게 되는 그 당입니다. 성공이죠! 74 00:03:35,614 --> 00:03:37,617 그러나 생산공정으로 다시 돌아가면, 75 00:03:37,617 --> 00:03:39,617 당분 생산중에 생기는 부산물들은 재빠르게 옮겨 붙어서 76 00:03:39,617 --> 00:03:44,202 여섯개의 RuBP를 만듭니다. 77 00:03:44,202 --> 00:03:46,892 그것은 30개의 탄소들을 필요로 하는데, 78 00:03:46,892 --> 00:03:51,002 남아있는 10개의 G3P 로 부터 얻어질 수 있는 정확한 숫자죠. 79 00:03:51,002 --> 00:03:54,315 이제 분자 합성과 결합이 일어납니다. 80 00:03:54,315 --> 00:03:56,422 여섯개의 탄소를 가진 연속체를 만들면서, 81 00:03:56,422 --> 00:03:58,589 두개의 G3P 가 합쳐집니다. 82 00:03:58,589 --> 00:04:02,875 세번째의 G3P를 더하면서, 탄소 아홉개를 가진 고리가 만들어집니다. 83 00:04:02,875 --> 00:04:05,957 탄소 다섯개로 이루어졌던 첫번째 RuBP는 84 00:04:05,957 --> 00:04:07,599 이번 단계에서 사라지면서 85 00:04:07,599 --> 00:04:09,559 네개의 탄소를 남깁니다. 86 00:04:09,559 --> 00:04:11,104 그렇다고 해서 그 네개의 탄소들은 버려지지 않습니다. 87 00:04:11,104 --> 00:04:14,293 그것들은 네번째의 G3P 분자에 붙여져서 88 00:04:14,293 --> 00:04:16,315 일곱개의 탄소를 가진 고리를 만들게 됩니다. 89 00:04:16,315 --> 00:04:18,541 다섯번째 G3P 분자에 결합되면서 90 00:04:18,541 --> 00:04:20,707 탄소 열개로 구성된 고리가 만들어지고, 91 00:04:20,707 --> 00:04:24,074 RuBP 를 두개 더 만들 수 있게 됩니다. 92 00:04:24,074 --> 00:04:26,875 열개의 G3P 중 다섯개로 부터 만들어진 세개의 93 00:04:26,875 --> 00:04:29,204 완벽한 RuBP 를 가지고, 94 00:04:29,204 --> 00:04:31,207 이 과정을 반복하기만 해도 95 00:04:31,207 --> 00:04:33,875 여섯개의 RuBP 고리가 재생산 되게 됩니다. 96 00:04:33,875 --> 00:04:36,671 이 여섯개의 고리는 캘빈회로과정을 다시 시작시킬 수 있죠. 97 00:04:36,671 --> 00:04:39,089 그러니까, 캘빈회로공정은 이러한 생화학적 생산과정이 98 00:04:39,089 --> 00:04:40,793 끊임없이 돌아갈 수 있는 99 00:04:40,793 --> 00:04:43,375 정확한 갯수의 원소와 절차를 100 00:04:43,375 --> 00:04:45,208 만들어 냅니다. 101 00:04:45,208 --> 00:04:46,347 그리고 그것은 자연에 존재하는 수 백가지의 많은 102 00:04:47,486 --> 00:04:48,625 회로공정들 중 하나일 뿐입니다. 103 00:04:48,625 --> 00:04:49,959 왜 그렇게 많냐구요? 104 00:04:49,959 --> 00:04:53,060 만약에 생물학적 생산과정이 선형이라면, 105 00:04:53,060 --> 00:04:55,730 당분과 같은 자연이 의존하는 물질들을 106 00:04:55,730 --> 00:04:58,444 생산할 때, 에너지를 비효율적으로 107 00:04:58,444 --> 00:05:01,238 또는 높지 않은 성공율로 사용하게 됩니다. 108 00:05:01,238 --> 00:05:03,355 회로공정들은 중요한 송환 회전 구조를 만들어서 109 00:05:03,355 --> 00:05:06,857 재료들을 반복적으로 재사용하고 재생산해 냅니다. 110 00:05:06,857 --> 00:05:08,609 자연에서 얻을 수 있는 자원들로 부터 111 00:05:08,609 --> 00:05:10,987 가능한 많은 양을 만들어 내면서 말이죠. 112 00:05:10,987 --> 00:05:12,768 가공되지 않은 태양빛과 탄소를 113 00:05:12,768 --> 00:05:14,819 사용해서, 114 00:05:14,819 --> 00:05:16,650 식물내의 공장에서 변환되어, 115 00:05:16,650 --> 00:05:18,653 여러분에게 힘을 주며, 116 00:05:18,653 --> 00:05:21,652 여러분 일상의 회전 바퀴를 돌리는 그 당분처럼 말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