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름 감개] [타악기 및 호른 음악] 지나가겠습니다 [거리 음악] 거리에 있는 게 참 재미있어요, 무언가를 밀고 제가 지나갈 때 사람들이 비켜서는 것 말이죠 [웃음] 카트에 물건을 담고 밀고 가는 건 도시에서 사는 걸 의미하는 것 같아요 여기 뉴욕에서 자동차가 없는 문화 같은 거죠 제 생각엔 이미 자연스럽게 모두들 받아들이는 것 같아요 저 여자는 일하고 있고, 예술가구나 뭐 하는 거에요? 예술 다큐멘터리 촬영하는 거에요? 열심히 하세요 (달그락 달그락) 괜찮아, 괜찮아 (아비가일 데빌의 할렘 이야기) 저는 보이지 않는 역사에 대해 얘기하는 걸 좋아해요 더 이상 존재 하지 않는 공간을 차지하고 있는 사람들에 대한 역사요. 이 곳 할렘에서 400년 된 역사처럼, 바로 이 순간까지도 추방되고 있는 원주민들 말이죠. 하지만 그들은 이곳이 현재 모습을 형성하는데 기여했던 사람들이에요 (거리 소음) 아무도 123웨스트 131번가가 저희 할아버지가 태어나고 자랐던 하숙집이었던 건 모를 거에요 그리고 지금은 이 블록에서 가장 볼품없는 건물이 되어버렸죠. 이 연어 살색의 건물은 당시 50만 달러에 팔리곤 했죠 이 건물의 한 집에 말이에요 말도 안되는 거죠 제 할아버지의 배경 정보에 대해선 100퍼센트 확실하진 않아요 할아버지가 스스로에게 얼마나 확실한지도 모르겠어요 그저 노부부에게 길러졌고, 그들의 이름은 매리와 카운트 데빌이었다는 것만 알죠 운 좋게도 조상을 찾는 사이트에서 찾게 된 거에요 이 거리에 머리를 두고 산다는 것은 한 공간이나 영역의 되찾으려는 노력과 같은 것이라고 생각해요 (달그락 달그락) (거리 소음) 저희 할머니는 반대편 거리에 사셨어요 그러다 보니 두 분 이서 만나게 된 거고, 제 아버지가 태어난 거죠 그래서 할머니가 사셨던 브라운 스톤으로 지은 집이 될 수도 있었던 공간을 선택하게 된 거에요 저희 할머니의 가족은 30년대에서 40년대에 버지니아의 리치몬드에서 왔는데, 당시 흑인 대이동의 일환이었던 셈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