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잔잔한 음악] 액션! 아주 크죠 정말 굉장해요 이들은 실제가 아니라는 것을 제 자신에게 계속 상기시켜야 했어요 우리가 만드는 것은 어찌보면 역사 영화라고 볼 수 있죠 촬영장에서 촬영을 할 때 저는 보통 이런 모습으로 있어요 여기 와서 윌리엄스버그 세트장 세우고 베를린에서 촬영하는 게, 상상으로 펼치는 놀이죠. 저한테도 유대인이 쓰는 언어로 드라마 찍는 게 대단한 일이었죠. 우리는 아무도 알아듣지 못하는 말로 촬영을 하고, 아무도 이해하지 못할 의상과 의식을 다루니까요. 그러나 누구나 그 본질을 이해할 수 있어요. 이 작품은 아주 아름답고 특별한 이야기를 담고 있어요. 다른 두 세계를 보여주는 거죠. 이게 신의 존재를 다루는 이야기는 아니라고 생각해요. 뭐랄까.. 누구나 목소리를 낼 권리를 다루는 거죠. 그리고 결단코 나와 같은 사람들은 실제로 그럴 기회가 없었어요. 대중 문화에서 이런 이야기를 통해 우리 스스로를 고찰할 기회는 없었으니까요. 그래서 우린 우리만의 이야기를 어떻게 만들어나가는지 잘 몰랐어요. 그래서 전 이 작품이 정확하게 하디시즘이라는 공동체를 제대로 나타낸 최초의 드라마라고 생각하죠. 이들은 실제로 존재하며, 아주 보편적이고 공감대를 형성해온 경험을 가지고 있죠. 하디시즘 문화 속에서 살아가는 사람이 이 작품을 볼 때, 그리고 저같은 작품을 보고 이 소녀가 정확히 이 문화에 맞게 살고 있었고 그녀의 꿈을 쫓기 위해 최대한의 용기를 낼 수 있었다는 걸 알 수 있어요. 이 소녀도 마찬가지에요. 앤과 알렉사를 만나자마자 바로 친구가 되었어요. 그리고 만약 누군가가 이 이야기가 무얼 말하고자 하는지를 제대로 이해하게 될거라면, 그리고 정말 긍정적인 방향으로 문화적인 영향력을 끼칠 거라면, 바로 이 여자들이라는 걸 깨달았습니다. 데보라를 만나고 나서 그녀의 책을 읽었고, 정말 굉장하다고 생각했어요. 자리에 앉아 단숨에 책을 읽었는데, 도저히 책을 내려놓을 수 없었죠. 그러고나서, 그녀가 "내 책을 TV 드라마로 만들어 보는 게 어때?"라고 했어요. 그래서 한동안은 안나와 제가 드라마를 만들고 싶어서 다양한 주제들을 놓고 작업해봤어요. 특히 독일에서 유대인으로 사는 것에 대해 많은 이야기를 나누었죠. 저한텐 이 이야기가 한 젊은 여성이 스스로를 찾아 나서며 이 세계에서 그녀가 속할 공동체를 찾아나가는 여정이에요. 에스더는 19살 소녀죠. 브루클린의 윌리엄스버그, 그리고 사트말이라고 하는 지역 사회에서 태어나고 자라왔죠. - 에스더, 잊지마. 남자가 먼저 말하는 거야. 그녀는 매우 독실한 이웃들과 함께 성장했어요. 그리고 중매로 맺어진 불행한 결혼 생활로부터 탈출해서 베를린으로 날아갔죠. 그녀의 이야기는 특별하고 로맨틱해요. 뉴욕 브루클린의 윌리엄스버그의, 이렇게 아주 배타적인 무리를 떠나 여기서 선택의 여지 없이 살 길을 찾아나가는 게 굉장히 특이하다는 걸 느꼈어요. 아주 어린 나이부터 그녀는 스스로가 항상 남들과는 다르다고 생각했죠. 항상 마음 속으로 의문을 품어왔고, 대담한 마음가짐을 지녔다는 사실로 인해 그녀는 늘 특이하다는 말을 듣고 살아왔어요. 사트말 유대교는 하디시즘 공동체로 헝가리의 사투 마레라는 마을로부터 유래됩니다. 그들은 대부분 홀로코스트에서 생존한 이들의 후손이고 세계 대전 후 뉴욕에 자리 잡은 홀로코스트 생존자들로부터 이어져왔죠. 이러한 역사는 그들이 다른 하디시즘 공동체와는 다소 동떨어진 느낌을 주는데요. 왜냐하면 전쟁이 끝난 후, 과거와는 다른 그들만의 정체성을 세웠기 때문입니다. 사트말은 우리가 상상할 수 있는 가장 심각한 정신적 트라우마로 시달린 이들이 세웠습니다. 사트말 1세대에게, 제 생각엔 처음 1세대와 2세대에겐 이런 트라우마가 사트말 공동체의 사상적인 구조를 세우는 데 큰 원동력이 되었죠. 사트말 사람들이 이디쉬어를 모국어로 쓰는 것도 특별한 점이죠. 어느 정도는 그들이 이디시어를 존속시켜왔다고 볼 수 있습니다. - 그런데 왜 하필 베를린이야? - 생각을 해봐. - 뭐라고? - 정신나간 걔네 엄마가 베를린에서 살잖아! 오늘날 데보라 펠드만이라는 사람의 인생에 변화를 가져오는 점은 우리에게 정말 중요했습니다. 그녀는 어린 소녀이자 유명 인사이며, 대중적인 지식인이기 때문에 우리는 에스더의 베를린 생활이 실제 데보라의 베를린 생활과는 큰 차이가 있길 원했습니다. 그래서 어떤 의미에선 지난 일에 대한 회상은 책을 기반으로 하지만 현재의 이야기는 모두 꾸며진 내용입니다. 진부한 클리셰를 벗어나고, 이런 공동체 속에서의 삶은 어떠할지 예상하는 걸 뛰어넘어야 합니다. 그 공동체의 전통 의상, 의식, 그리고 관련된 모든 것들이 그저 정확히 고증되어 보이고 느끼게끔 하는 게 아니라 우린 TV를 통해 내보내야 하기 떄문에 이 인물들의 세상에 대한 생각들이 어떻게보면 진짜같다는 느낌을 빼고 더불어 한 단계 효과를 고조시키는 게 정말 중요했습니다. 여러분이 서로 다른 공동체를 나타낼 때에, 특히 겨우 명맥을 유지해온 공동체일 경우엔 전반적으로 세부사항을 정확히 설정해야 한다고 느껴요. 단순히 배우뿐만 아니라, 이 공동체에 뿌리를 둔 사람들이 카메라에 나오든 나오지 않든 이 촬영에 참여하는 게 정말 중요하다는 걸 알았습니다. 그래서 우리가 맨 처음 계약한 사람중 한 명인 엘리 로즌씨는 배우이자 번역가이고, 특히 이디시어에 관해서는 전문가였죠. 마치 우리를 이끄는 가이드였습니다. 우리의 정신적인 리더였어요. 그는 대본을 번역할 뿐만 아니라 배우들이 이디시어로 말하는 걸 지도하고 우리가 모든 문화적 세부 사항을 놓치지 않게 도와주었으며, 라비를 연기 했죠. 이 공동체를 나타내는 대표가 되어서 제대로 된 공동체의 문화를 보여달라는 제의를 받았을 떄 음, 저는.. 그저.. 바로 뛰어들었습니다. 완전히 초정통파 세계에서 촬영 장면을 감독하는 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