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잔잔한 음악]
액션!
아주 크죠
정말 굉장해요
이들은 실제가 아니라는 것을
제 자신에게 계속 상기시켜야 했어요
우리가 만드는 것은 어찌보면
역사 영화라고 볼 수 있죠
촬영장에서 촬영을 할 때 저는 보통
이런 모습으로 있어요
여기 와서 윌리엄스버그 세트장 세우고
베를린에서 촬영하는 게, 상상으로 펼치는 놀이죠.
저한테도 유대인이 쓰는 언어로 드라마 찍는 게 대단한 일이었죠.
우리는 아무도 알아듣지 못하는 말로 촬영을 하고,
아무도 이해하지 못할 의상과 의식을 다루니까요.
그러나 누구나 그 본질을 이해할 수 있어요.
이 작품은 아주 아름답고 특별한 이야기를 담고 있어요.
다른 두 세계를 보여주는 거죠.
이게 신의 존재를 다루는 이야기는 아니라고 생각해요.
뭐랄까.. 누구나 목소리를 낼 권리를 다루는 거죠.
그리고 결단코 나와 같은 사람들은 실제로 그럴 기회가 없었어요.
대중 문화에서 이런 이야기를 통해 우리 스스로를 고찰할 기회는
없었으니까요.
그래서 우린 우리만의 이야기를 어떻게 만들어나가는지 잘 몰랐어요.
그래서 전 이 작품이 정확하게 하디시즘이라는 공동체를
제대로 나타낸 최초의 드라마라고 생각하죠.
이들은 실제로 존재하며, 아주 보편적이고 공감대를 형성해온
경험을 가지고 있죠.
하디시즘 문화 속에서 살아가는 사람이 이 작품을 볼 때, 그리고 저같은
작품을 보고 이 소녀가 정확히 이 문화에 맞게 살고 있었고
그녀의 꿈을 쫓기 위해 최대한의 용기를 낼 수 있었다는 걸 알 수 있어요.
이 소녀도 마찬가지에요.
앤과 알렉사를 만나자마자 바로 친구가 되었어요.
그리고 만약 누군가가 이 이야기가 무얼 말하고자 하는지를
제대로 이해하게 될거라면,
그리고 정말 긍정적인 방향으로
문화적인 영향력을 끼칠 거라면, 바로 이 여자들이라는 걸
깨달았습니다.
데보라를 만나고 나서 그녀의 책을 읽었고,
정말 굉장하다고 생각했어요.
자리에 앉아 단숨에 책을 읽었는데, 도저히 책을 내려놓을 수 없었죠.
그러고나서, 그녀가
"내 책을 TV 드라마로 만들어 보는 게 어때?"라고 했어요.
그래서 한동안은 안나와 제가 드라마를 만들고 싶어서
다양한 주제들을 놓고 작업해봤어요.
특히 독일에서 유대인으로 사는 것에 대해 많은 이야기를 나누었죠.
저한텐 이 이야기가 한 젊은 여성이
스스로를 찾아 나서며
이 세계에서 그녀가 속할 공동체를 찾아나가는 여정이에요.
에스더는 19살 소녀죠.
브루클린의 윌리엄스버그, 그리고 사트말이라고 하는 지역 사회에서
태어나고 자라왔죠.
- 에스더, 잊지마. 남자가 먼저 말하는 거야.
그녀는 매우 독실한 이웃들과 함께 성장했어요.
그리고 중매로 맺어진 불행한 결혼 생활로부터 탈출해서
베를린으로 날아갔죠.
그녀의 이야기는 특별하고 로맨틱해요.
뉴욕 브루클린의 윌리엄스버그의, 이렇게 아주 배타적인 무리를 떠나
여기서 선택의 여지 없이 살 길을 찾아나가는 게
굉장히 특이하다는 걸 느꼈어요.
아주 어린 나이부터 그녀는 스스로가 항상 다른 사람과는 다르다고 생각했죠.
항상 마음 속으로 의문을 품어왔고,
대담한 마음가짐을 지녔다는 사실로 인해
그녀는 늘 특이하다는 말을 듣고 살아왔어요.
사트말 유대교는 하디시즘 공동체로
헝가리의 사투 마레라는 마을로부터 유래됩니다.
그들은 대부분 홀로코스트에서 생존한 이들의 후손이고
세계 대전 후 뉴욕에서 거주는 홀로코스트 생존자들로부터 이어져왔죠.
이러한 역사는 그들이 다른 하디시즘 공동체와는
다소 동떨어진 느낌을 주는데요.
왜냐하면 전쟁이 끝난 후, 과거와는 다른 그들만의 정체성을
세웠기 때문입니다.
사트말은 우리가 상상할 수 있는
가장 심각한 정신적 트라우마로 시달린 이들이 세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