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00:00:06,761 --> 00:00:09,132 북극 주변의 지역은 2 00:00:09,132 --> 00:00:14,052 얼음으로 뒤덮히고 황량하며, 아무것도 변하지 않는 것처럼 보입니다. 3 00:00:14,052 --> 00:00:19,006 하지만 실제의 북극의 환경은 복잡하고 섬세한 균형을 이루고 있으며 4 00:00:19,006 --> 00:00:23,160 이 지역의 극한의 위치 때문에 대기중의 아주 작은 변화를 통해 5 00:00:23,160 --> 00:00:27,068 큰 변화를 유발시키는 피드백과정에 취약합니다. 6 00:00:27,068 --> 00:00:30,302 사실 과학자들은 종종 기후변화의 영향을 예측할 때 7 00:00:30,302 --> 00:00:36,260 북극을 ‘탄광의 카나리아’라고 묘사합니다. 8 00:00:36,260 --> 00:00:39,703 북극의 주요 기후변화 피드백 중 하나는 반사율과 관계가 있습니다. 9 00:00:39,703 --> 00:00:41,946 눈과 얼음과 같은 하얀 표면은 10 00:00:41,946 --> 00:00:46,027 매우 효율적으로 햇빛을 우주로 반사시킵니다. 11 00:00:46,027 --> 00:00:51,109 반면 어두운 육지나 물 표면은 햇빛을 더 많이 흡수하지요. 12 00:00:51,109 --> 00:00:55,094 북극이 약간 더워지면, 눈과 얼음이 일부 녹고, 13 00:00:55,094 --> 00:00:58,111 아래에 있는 땅과 바다가 노출됩니다. 14 00:00:58,111 --> 00:01:03,606 이들 표면이 흡수한 열이 많아질수록 얼음은 더 많이 녹게 됩니다. 15 00:01:03,606 --> 00:01:07,111 현재의 북극은 점점 더 따뜻해지고 있지만, 16 00:01:07,111 --> 00:01:09,365 그 반대의 경우도 생길 수 있습니다. 17 00:01:09,365 --> 00:01:12,607 약간의 기온 하락 때문에 얼음이 더 많이 얼면 18 00:01:12,607 --> 00:01:15,942 이것이 눈과 얼음에 의한 반사량을 증가시킵니다. 19 00:01:15,942 --> 00:01:18,484 따라서 햇빛의 흡수량이 줄어들고 20 00:01:18,484 --> 00:01:22,757 온도는 계속해서 떨어지게 됩니다. 마치 예전의 빙하기처럼요. 21 00:01:22,757 --> 00:01:26,544 북극의 바다 얼음은 또 다른 피드백도 발생시키는데, 22 00:01:26,544 --> 00:01:28,294 이는 단열효과 때문입니다. 23 00:01:28,294 --> 00:01:30,206 얼음들은 해양 표면층을 덮음으로써 24 00:01:30,206 --> 00:01:36,436 차가운 북극 공기와 상대적으로 따뜻한 물 사이의 완충제 역할을 합니다. 25 00:01:36,436 --> 00:01:39,450 하지만 어떤 곳에서 그것이 얇아지고, 깨지거나, 녹으면 26 00:01:39,450 --> 00:01:41,642 열이 바다로부터 빠져나가, 27 00:01:41,642 --> 00:01:45,720 대기의 온도가 올라가서 더 많은 얼음이 녹게 됩니다. 28 00:01:45,720 --> 00:01:49,211 이와 같은 얘들을 양성피드백이라고 불리는데 29 00:01:49,211 --> 00:01:52,091 양성이라고 부르는 이유는 뭔가 좋은 일을 해서가 아니라 30 00:01:52,091 --> 00:01:54,905 최초의 변화가 같은 방향으로 증폭되기 때문입니다. 31 00:01:54,905 --> 00:01:57,250 반면에 음성피드백은 그 영향이 32 00:01:57,250 --> 00:02:02,261 최초 변화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 이지요. 33 00:02:02,261 --> 00:02:05,276 얼음이 녹는 것은 음성피드백도 발생시킵니다. 34 00:02:05,276 --> 00:02:08,367 대기 중으로 수분이 방출되기 때문이지요. 35 00:02:08,367 --> 00:02:12,119 방출된 수분은 구름의 두께와 양을 증가시키고 36 00:02:12,119 --> 00:02:15,626 더 많은 햇빛을 차단함으로써 대기를 식힐 수 있습니다. 37 00:02:15,626 --> 00:02:18,077 하지만 북극의 여름은 짧기 때문에 38 00:02:18,077 --> 00:02:20,441 음성피드백의 순환은 단기적입니다. 39 00:02:20,441 --> 00:02:22,824 나머지 기간 동안 햇빛은 매우 적고, 40 00:02:22,824 --> 00:02:24,649 증가된 수분과 구름은 오히려 41 00:02:24,649 --> 00:02:28,325 지구의 열을 가둠으로써 표면을 따뜻하게하기 때문에, 42 00:02:28,325 --> 00:02:32,491 한 두 달을 제외하고는 항상 양성 피드백이 작용합니다. 43 00:02:32,491 --> 00:02:38,049 음성피드백이 시스템의 균형을 맞춰서 기후의 안정성을 증가시키는 반면에, 44 00:02:38,049 --> 00:02:43,990 양성피드백은 변화량을 계속 증폭시켜서 기후의 불안정성을 증가시킵니다. 45 00:02:43,990 --> 00:02:47,083 최근 증가된 양성피드백의 영향력은 46 00:02:47,083 --> 00:02:50,387 북극을 훨씬 넘어선 결과를 초래시킬 수 있습니다. 47 00:02:50,387 --> 00:02:51,706 지구가 점점 따뜻해짐에 따라 48 00:02:51,706 --> 00:02:57,072 이런 양성 피드백은 북극의 온도를 적도보다 훨씬 더 빠르게 올립니다. 49 00:02:57,072 --> 00:03:00,058 두 지역 사이의 감소된 기온 차이는 50 00:03:00,058 --> 00:03:02,662 제트 기류의 바람을 느리게 하고 51 00:03:02,662 --> 00:03:06,936 중위도의 대기 순환을 약하게 만듭니다. 52 00:03:06,936 --> 00:03:09,374 그리고 이 지역에 대부분의 인구가 살고 있지요. 53 00:03:09,374 --> 00:03:14,971 많은 과학자들은 날씨 변화가 더 오래 지속되고 더 격해져서 54 00:03:14,971 --> 00:03:17,082 원래는 일시적이고 단기적이었던 현상들이 55 00:03:17,082 --> 00:03:22,539 지속적인 한파, 혹서, 가뭄, 홍수로 변할 것을 걱정하고 있습니다. 56 00:03:22,539 --> 00:03:28,423 북극의 기상변화는 지구 전체의 기후에 대한 신호인것만은 아닙니다. 57 00:03:28,423 --> 00:03:32,593 이것은 우리에게 훨씬 직접적이고 즉각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58 00:03:32,593 --> 00:03:34,654 기후 과학자들이 항상 경고하듯이 59 00:03:34,654 --> 00:03:38,777 북극에 발생하는 일이 언제까지나 북극에 머물러 있지만은 않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