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부분 사람들은
해를 친구처럼 여깁니다.
해는 식물을 자라게 하고
우리를 따뜻하게 해줍니다.
햇볕이 좋은 날 바닷가에 드러눕고
싶지 않은 사람이 있을까요?
하지만 그런 좋은 점도 있지만
햇빛을 많이 쐬면
해로울 수 있습니다.
그런 까닭에
자외선 차단제를 발명한거죠.
자외선 차단제는
햇빛의 자외선에서
몸을 보호하는 것인데
자외선은
햇빛으로 인한 화상과 노화
피부암과 같은
몇 가지 해로운 영향을 끼칩니다.
자외선은
파장의 길이에 따라
장파장 자외선과
중파장 자외선으로 나뉘는데
색깔을 담당하는
분자의 일부인
색소포가
빛을 흡수하는 형태에 따라
다른 영향을 미칩니다.
두 가지 주된 색소포는
적혈구에서 발견되는 헤모글로빈과
살갗에 색깔을 만드는 멜라닌입니다.
중파장 자외선이 살갗을
태우는 것은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장파장 자외선의
역할은 덜 알려져 있고
햇빛에 타는 반응,
발암,
노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입니다.
그렇다면 자외선 차단제가
어떻게 우리를 보호할까요?
자외선 차단제에는
2가지 종류가 있는데
물리적 차단제와
화학적 차단제입니다.
산화 아연이나
이산화 티타늄과 같은
물리적 차단제는
물리적 방어제처럼 작용해서
햇빛을 반사합니다.
코를 하얗게 칠한
구조대원을 보셨다면
이게 어떻게 생긴건지 아시겠죠.
같은 성분이
기저귀 크림의 주성분인데
물리적인 장벽을 만드는 데 쓰이죠.
역사를 보면, 물리적 차단제는
바르기가 쉽지 않지만
살갗에 바르면 뚜렷하게 보입니다.
하지만 새로운 제조법이 나와서
이건 큰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반면에 화학적 차단제는
햇빛을 흡수합니다.
화학적 차단제는 물리적 차단제보다
효과가 빨리 감소하는데
햇빛을 흡수하는 능력이
약해지기 때문이죠.
일반적으로 화학적 차단제는
살갗에 발랐을 때 투명한데
일부 사람들은 특정 화학성분에
알레르기 반응을 보이기도 합니다.
자외선 차단제의 종류와 상관없이
모든 제품이
자외선 차단 지수,
즉 SPF 정도를 파악하는
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SPF는 기본적으로
살갗이 타기 전에
자외선 차단제가
중파장 자외선을 차단하는
정도를 측정하는 것입니다.
살갗이 타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자외선 차단제를
바를 필요가 있습니다.
여러분이 동굴 속에 살지 않는 이상
해가 미치는 영향에서
벗어날 수는 없기 때문이죠.
살갗이 가무잡잡한 사람들과
살갗이 쉽게 그을리는 사람들은
햇빛에 타는데 대한 자체적인
방어 능력을 조금 더 갖고 있지만
그래도 장파장 자외선 영향을
쉽게 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반대로
6개월 미만의 아기들은
햇빛에 노출되어서는 안 됩니다.
아기들은 방어체제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고
아기들의 피부는
자외선 차단제를 바르면
그걸 흡수해버리거든요.
자외선 차단제는
3가지 종류의 피부암을
막는데 도움이 됩니다.
기저 세포암,
편평 세포암,
흑색종이 그것이죠.
우리 세포의 유전자는 매일
변이와 실수를 일으키는데
세포 안의 기계가
알아서 처치해줍니다.
하지만 세포가 자외선으로 인해
견디기 힘든 변이가 일어나면,
이 변이는 제멋대로 커져
마침내 피부암을
일으킬 수도 있습니다.
가장 끔찍한 일은
그런 일이 일어나는지도
모르고 있다가
알게 되었을 때는
이미 너무 늦은 경우죠.
하지만 건강에 이렇게
뚜렷한 위험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자외선 차단제를 발라야겠다는
생각이 들지 않는 데에는
미학적인 까닭도 있습니다.
담배 피우기와 함께
햇빛으로 인한 피부 손상은
실제 나이보다
늙어보이게 만듭니다.
계속해서 햇빛에 노출되어
노화가 일어나면
피부 탄력이 줄어드는데
이는 다른 말로 하면
피부가 축 쳐져보이게 됩니다.
이 트럭 운전기사를 보시죠.
그의 왼쪽 얼굴이
늘 햇빛에 노출되었는데
그 차이를 보세요.
이건 중요합니다.
차 유리창은 살갗을 그을리게 하는
중파장 자외선은 막지만
노화하게 만드는
장파장 자외선은 막지 못합니다.
자외선 차단제를 날마다
바르는게 바람직한데
다음과 같은 경우에 특히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장시간 햇빛에 노출될 때나,
바닷가나
눈이 내리는 곳에 있을 때
조심해야 합니다.
물과 얼음의 반사율은
햇빛을 증폭시키니까요.
이런 경우에는 밖으로 나가기 전
15분에서 30분 전에
자외선 차단제를 28g 쯤 바르고
밖으로 나가자마자
한번 더 발라주세요.
그 뒤로 2-3시간마다
자외선 차단제를 다시 발라야 합니다.
특히 수영이나 땀을 흘린 뒤에는
다시 발라주세요.
그렇지 않으면
자외선 차단 지수, UPF 기능이 있는
옷을 입어야 합니다.
그리고 그늘진 곳에 머무르세요.
나무 아래나
우산 밑 같은 곳 말입니다.
그리고 햇빛이 가장 센
오전 10시부터 오후 4시
사이에는 해를 피해주세요.
그럼 어떤 자외선 차단제가
좋은 걸까요?
사람마다 선택기준이 다르겠지만
다음과 같은 점들을 살펴보세요.
다양한 기능,
적어도 30 이상의
자외선 차단 지수와
물에 지워지지 않는 것 등입니다.
자외선 차단지수가
30인 가벼운 보습제는
날마다 바르기에 좋습니다.
분무형을 쓰고 싶다면
주의하세요.
피부를 효율적으로 다 덮으려면
몇 겹으로 발라야 합니다.
벽을 붓으로 칠할 때와
분무기로 칠할 때를
비교해보세요.
자, 햇빛을 즐기세요.
단, 자외선 차단제를
바른 채로 말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