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33.510,0:00:37.750 이것은 ‘정의’라는 것에 대한 수업입니다. 이 이야기로 수업을 시작하려고 합니다 0:00:37.750,0:00:40.180 여러분이 어떤 전차의 운전사라고 가정해 봅시다 0:00:40.180,0:00:44.640 당신이 시속 60마일로 전차를 몰고 있는데 0:00:44.640,0:00:49.390 트랙 끝에서 다섯 명의 인부들이 일을 하고 있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0:00:49.390,0:00:51.800 차를 멈추려고 하지만 0:00:51.800,0:00:53.830 브레이크가 고장이 났는지 멈출 수가 없습니다 0:00:53.830,0:00:56.780 그대로 돌진한다면 0:00:56.780,0:00:59.590 그 인부들은 모두 죽게 될 것이라는 걸 알기에 0:00:59.590,0:01:01.490 매우 절박한 상황입니다 0:01:01.490,0:01:05.080 그렇게 속수무책으로 달리고 있는데 0:01:05.080,0:01:07.420 그렇게 속수무책으로 달리고 있는데 0:01:07.420,0:01:09.450 갑자기 당신은 샛길을 발견합니다 0:01:09.450,0:01:11.290 갑자기 당신은 샛길을 발견합니다 0:01:11.290,0:01:13.170 갑자기 당신은 샛길을 발견합니다 0:01:13.170,0:01:15.580 그리고 그 트랙 위에는 0:01:15.580,0:01:17.390 한 명의 인부가 0:01:17.390,0:01:19.080 일을 하고 있습니다 0:01:19.080,0:01:21.369 다행히 전차의 조종장치는 작동하고 있어서 0:01:21.369,0:01:23.030 당신이 원한다면 0:01:23.030,0:01:26.010 방향을 바꿀 수 있습니다. 0:01:26.010,0:01:28.840 그렇게 하면 0:01:28.840,0:01:30.399 한 명의 희생으로 끝나겠죠 0:01:30.399,0:01:33.270 다섯 명의 목숨은 살릴 수 있습니다 0:01:33.270,0:01:36.110 여러분에게 묻습니다 0:01:36.110,0:01:38.820 무엇이 옳은 행동입니까? 0:01:38.820,0:01:40.479 여러분이라면 어떻게 하시겠습니까? 0:01:40.479,0:01:42.560 의견을 한번 들어보죠 0:01:42.560,0:01:45.180 차를 샛길로 돌리겠다는 분 0:01:45.180,0:01:52.020 손 들어보세요 0:01:52.020,0:01:53.530 그럼 얼마나 많은 사람이 반대 의견을 가지고 있을까요? 0:01:53.530,0:01:58.180 방향을 바꾸지 않고 그대로 직진하겠다는 분? 0:01:58.180,0:02:04.050 계속 손 들고 계세요. 여러분들은 그대로 직진하겠다는 거죠? 0:02:04.050,0:02:08.379 대부분의 사람들이 방향을 바꾸겠다고 대답했습니다 0:02:08.379,0:02:09.879 이번엔 왜 그렇게 생각했는지 0:02:09.879,0:02:14.149 이유를 들어보도록 하죠 0:02:14.149,0:02:19.799 다수의 의견부터 들어보겠습니다 0:02:19.799,0:02:22.059 샛길을 선택하신 분? 0:02:22.059,0:02:23.670 왜 그렇게 하겠다고 생각했습니까? 0:02:23.670,0:02:25.809 왜 그렇게 하겠다고 생각했습니까? 0:02:25.809,0:02:30.189 누가 말해볼까요? 0:02:30.189,0:02:32.219 좋아요, 일어서서 말해보세요 0:02:32.219,0:02:39.219 왜냐하면 한 명을 희생하는 걸로 끝날 수 있는데도 0:02:39.579,0:02:42.239 5명을 죽이게 되는 것은 0:02:42.239,0:02:47.069 옳지 않기 때문입니다 0:02:47.069,0:02:48.529 음... 그것도 타당한 이유죠[br][br]48[br]00:02:48,529 --> 00:02:52,959[br]좋은 이유입니다 0:02:52.959,0:02:53.779 다른 사람들은 어떻습니까? 0:02:53.779,0:02:56.659 다들 이 의견에 동의하십니까? 0:02:56.659,0:03:01.219 계속해 봅시다 0:03:01.219,0:03:03.620 저도 비슷한 이유입니다 0:03:03.620,0:03:05.459 9/11 테러 때 납치된 비행기 중 한 대를 조종했던 조종사가 0:03:05.459,0:03:08.009 대형 빌딩으로 돌진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0:03:08.009,0:03:09.529 비행기 안에 타고 있던 사람들을 희생하면서까지 0:03:09.529,0:03:11.719 필라델피아의 숲으로 추락하도록 한 것과 0:03:11.719,0:03:14.419 비슷한 맥락이라고 생각합니다 0:03:14.419,0:03:16.109 비슷한 맥락이라고 생각합니다 0:03:16.109,0:03:19.260 9/11 테러 때와 같은 원칙이 적용된다는 거군요 0:03:19.260,0:03:21.639 비극적인 상황 말입니다 0:03:21.639,0:03:25.359 다수를 살릴 수 있다면 소수가 희생하는 것이 낫다 0:03:25.359,0:03:30.749 이것이 대부분이 방향을 바꾸겠다고 대답한 이유입니까? 0:03:30.749,0:03:32.629 그렇다면 이번에는 0:03:32.629,0:03:33.629 소수의 의견을 들어보죠 0:03:33.629,0:03:35.509 소수의 의견을 들어보죠 0:03:35.509,0:03:40.559 방향을 바꾸지 않겠다고 대답한 사람? 0:03:40.559,0:03:45.709 제 생각에는 그런 사고방식은 특정 인종만을 살리기 위해 행해졌던 0:03:45.469,0:03:50.359 테러리즘에서의 대량 학살 행위와 다를 것이 없다고 보입니다 0:03:50.359,0:03:53.279 그렇다면 학생은 이런 상황에서 어떻게 할 겁니까? 0:03:53.279,0:03:55.379 대량 학살의 끔찍함을 다시 겪는 대신에 0:03:55.379,0:03:57.799 그대로 다섯 명에게 돌진해서 0:03:57.799,0:04:03.989 그들을 죽게 만들 겁니까? 0:04:03.989,0:04:07.629 아마도 그럴 것 같습니다 0:04:07.629,0:04:09.930 좋습니다. 또 다른 의견이 있습니까? 0:04:09.930,0:04:14.499 굉장히 용기 있는 답변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 0:04:14.499,0:04:16.079 이번에는 다른 상황에 대해서 0:04:16.979,0:04:20.239 생각해 봅시다 0:04:20.239,0:04:21.689 과연 여러분들 중 대다수가 0:04:21.689,0:04:24.189 '다섯 명을 살릴 수 있다면 0:04:24.189,0:04:27.429 한 명이 희생되는 것이 낫다' 0:04:27.429,0:04:30.990 라는 원칙을 고수할 것인지 아닌지 0:04:30.990,0:04:33.500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0:04:33.500,0:04:38.529 이번에는 운전사가 아니라 그냥 다리에 서서 0:04:38.529,0:04:42.679 그 상황을 보고 있는 사람이라고 가정해 봅시다 0:04:42.679,0:04:45.659 저 멀리서 전차가 오고 있고 0:04:45.659,0:04:49.620 다섯 명의 인부들이 트랙 끝 쪽에서 일을 하고 있습니다. 0:04:49.620,0:04:51.739 하지만 브레이크는 작동하지 않고 0:04:51.739,0:04:55.949 전차는 그대로 그 인부들에게 돌진하려고 합니다 0:04:55.949,0:04:57.219 여러분은 비록 0:04:57.219,0:04:58.789 운전사는 아니지만 0:04:58.789,0:05:01.309 지금 대단히 절박한 상황입니다 0:05:01.309,0:05:03.259 그러다가 문득 0:05:03.259,0:05:06.879 다리에 기대 서 있는 0:05:06.879,0:05:08.639 굉장히 뚱뚱한 남자를 발견합니다 0:05:08.639,0:05:09.889 굉장히 뚱뚱한 남자를 발견합니다 0:05:09.889,0:05:16.889 굉장히 뚱뚱한 남자를 발견합니다 0:05:17.219,0:05:20.179 당신이 그 사람을 0:05:20.179,0:05:22.669 다리 아래로 밀어버린다면 0:05:22.669,0:05:24.729 그 남자는 0:05:24.729,0:05:27.949 전차 바로 앞에 떨어져서 0:05:27.949,0:05:29.539 전차를 막을 수 있고 0:05:29.539,0:05:32.199 전차를 막을 수 있고 0:05:32.199,0:05:33.419 그 남자는 죽겠지만 0:05:33.419,0:05:38.930 다섯 명의 인부들은 살릴 수 있습니다 0:05:38.930,0:05:41.109 자, 그 뚱뚱한 남자를 0:05:41.109,0:05:48.090 다리 아래로 밀겠다는 사람, 손 들어보세요 0:05:48.090,0:05:51.199 지금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그 뚱뚱한 사람이 다리에서 떨어지도록 밀겠습니까? 0:05:51.199,0:05:54.069 대부분의 사람들이 그렇게 하지 않을 겁니다 0:05:54.069,0:05:55.789 여기에 우리의 문제가 있습니다 0:05:55.789,0:05:56.879 여기에 있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투표하고 0:05:56.879,0:06:00.169 우리가 첫 번째 사례에서 만들었던 원칙은 0:06:00.169,0:06:05.110 다섯 명의 목숨을 구하는 것이 0:06:05.110,0:06:07.490 한 명의 희생보다 0:06:07.490,0:06:09.240 더 낫다는 것입니다 0:06:09.240,0:06:12.809 이제 이 두 가지의 사례 모두에서 0:06:12.809,0:06:13.580 다수의 견해에 손을 든 사람들 중 0:06:13.580,0:06:17.759 이 두 사례의 차이를 설명할 사람이 필요합니다 0:06:17.759,0:06:21.860 두 번째 사례에서는 0:06:21.860,0:06:22.510 사람이 밑으로 떨어지도록 0:06:22.510,0:06:24.280 적극적인 선택을 하는 것이 포함되었다고 생각합니다 0:06:24.280,0:06:25.199 제 생각에 그렇지 않았다면 0:06:25.199,0:06:29.830 그 사람은 스스로 그 상황에 전적으로 개입하지 않았을 것입니다 0:06:29.830,0:06:31.270 그래서 제가 생각하기에 0:06:31.270,0:06:33.770 두 번째 사례는 0:06:33.770,0:06:36.770 그를 대신하여 선택하였습니다 0:06:36.770,0:06:39.990 그가 이 상황에 개입하기를 선택하지 않았다면 그는 도망갔겠지요 0:06:39.990,0:06:41.789 생각하기에 우리는 첫 번째 사례에서보다 0:06:41.789,0:06:43.620 두 번째 사례에서 0:06:43.620,0:06:45.969 더 당사자와 같은 입장입니다. 그 운전자와 0:06:45.969,0:06:47.669 두 부류로 나눠진 인부들은 0:06:47.669,0:06:50.599 이미 그 상황에 처해 있는 것이고요 0:06:50.599,0:06:55.109 그러나 옆의 트랙 위에서 혼자 일하는 그 사람은 0:06:55.109,0:07:02.069 그의 생명을 희생하지 않았습니다. 뚱뚱한 남자만큼 그가 뭔가를 했나요? 그렇습니까? 0:07:02.069,0:07:05.420 네, 그렇습니다. 그는 트랙 위에 있었고 0:07:05.400,0:07:10.439 이 사람은 다리 위에 있었습니다 0:07:10.439,0:07:13.550 계속하세요. 당신이 원하면 다시 이야기해도 좋습니다 0:07:13.550,0:07:15.330 네, 좋습니다 0:07:15.330,0:07:18.659 어려운 문제였는데 잘하셨습니다 0:07:19.630,0:07:21.180 이 두 가지 사례에서 0:07:21.180,0:07:22.599 다수 견해의 행동이 0:07:22.599,0:07:26.029 가진 문제점을 0:07:26.029,0:07:30.159 조화시킬 수 있는 다른 사람이 있습니까? 0:07:30.159,0:07:31.550 제 생각에 0:07:31.550,0:07:32.540 첫 번째 사례에서 0:07:32.540,0:07:35.179 우리는 다섯 명에 대하여 한 명의 일꾼을 가졌습니다 0:07:35.179,0:07:37.430 이것은 그 두 가지 사이의 선택입니다. 그리고 우리는 0:07:37.430,0:07:41.219 갑자기 누군가가 죽도록 선택해야만 합니다. 왜냐하면 전차 때문입니다 0:07:41.219,0:07:45.030 전차는 활주로 위에 있고 당신은 몇 초 안에 다른 조치를 취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0:07:45.030,0:07:48.210 반면에 두 번째 사례의 선택에서 그 뚱뚱한 사람을 미는 것은 0:07:48.210,0:07:52.659 사실상 당신이 사람을 죽이는 것과 같은 살인입니다 0:07:52.659,0:07:54.490 왜냐하면 당신은 그 상황을 모두 통제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0:07:54.490,0:07:57.279 당신이 전차를 통제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면요 0:07:57.279,0:08:00.090 그래서 제 생각에 이것은 상황에 따라 살인이 될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0:08:00.090,0:08:04.360 좋습니다. 누가 여기 덧붙여 말해 보시겠습니까? 왜냐하면 이것은 좋은 지적이기 때문입니다 0:08:04.360,0:08:06.319 누가 한 번 대답해 보세요 0:08:06.319,0:08:09.490 이 문제에서 빠져나갈 방법이 있을까요? 0:08:09.490,0:08:12.440 제 생각에 그것은 적당한 이유인 것 같지 않습니다. 어느 하나를 선택하더라도 0:08:12.440,0:08:16.890 차를 돌려 사람이 죽도록 하는 것은 0:08:16.890,0:08:18.500 의식적으로 차를 돌리도록 하는 0:08:18.500,0:08:19.719 생각이기 때문입니다 0:08:19.719,0:08:21.319 또한 당신이 뚱뚱한 남자를 다리 밖으로 밀기로 하는 것 역시 0:08:21.319,0:08:23.609 직접적이고 의식적인 행동입니다 0:08:23.609,0:08:27.689 당신이 어느 선택을 하더라도 말입니다 0:08:27.689,0:08:29.729 이어서 말하고 싶습니까? 0:08:29.729,0:08:34.190 제가 말하고자 하는 것은 각 사례에 대한 행동의 종류가 다르다는 것입니다. 사실상 이것은 매우 다른 행동입니다 0:08:34.190,0:08:38.230 다른 사람이 트랙 위로 떨어지도록 미는 것은 그 사람을 죽이는 것입니다 0:08:38.230,0:08:42.600 당신은 사실상 그 사람을 죽이는 것입니다. 당신이 당신의 손으로 민 것입니다 0:08:42.600,0:08:43.710 네. 그것은 다릅니다 0:08:43.710,0:08:47.090 무엇을 움직이게 하여 그것이 죽음에 이르도록 하는 것은 0:08:47.090,0:08:48.670 다들 알고 있는 것처럼 0:08:48.670,0:08:52.830 옳은 것이 아니라고 생각됩니다 0:08:52.830,0:08:54.740 네, 좋습니다. 좋아요. 이름이 뭔가요? 0:08:54.740,0:08:55.570 앤드류입니다 0:08:55.740,0:08:59.570 앤드류, 내가 질문을 하나 해도 될까요? 0:08:59.570,0:09:02.240 그 뚱뚱한 남자 옆에 서서 0:09:02.240,0:09:03.680 그 뚱뚱한 남자 옆에 서서 0:09:03.680,0:09:04.810 다리 위에 있다고 가정해 봅시다 0:09:04.810,0:09:07.850 나는 그를 밀지 않았습니다. 그는 작은 문 위에 0:09:07.850,0:09:14.850 서 있습니다. 저는 운전대를 이렇게 돌려서 차를 돌립니다 0:09:17.450,0:09:18.690 과연 여러분도 운전대를 돌릴 수 있을까요? 0:09:18.690,0:09:20.960 몇 가지 이유 때문에 0:09:20.960,0:09:24.130 그것은 더 나쁜 것처럼 보이는데요 0:09:24.130,0:09:30.350 제 말은, 만약 교수님꼐서 실수로 손잡이를 돌렸거나, 아니면 그와 비슷한 행동을 해서 0:09:30.350,0:09:31.060 만약 그렇게 하신다면 0:09:31.060,0:09:33.119 아마도 전차는 0:09:33.119,0:09:37.850 선로 위 변환기를 뛰어넘어 작은 문 위로 떨어질 것입니다 0:09:37.850,0:09:39.230 그러면 저는 동의할 수 있습니다 0:09:39.850,0:09:42.230 괜찮은 방법이군요. 하지만 여전히 0:09:42.230,0:09:45.500 운전대를 돌리겠다는 첫 번째 사례에서 그것이 잘못되지 않았다는 방식에서 보면 이상하게 들리는군요 0:09:45.500,0:09:50.420 학생은 또다른 방식으로라면, 예를 들어 첫 번째 상황과 같다면 그 상황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것이지만 0:09:50.420,0:09:52.450 두 번째 상황에서는 그저 지켜보기만 하는 구경꾼과도 같습니다 0:09:52.450,0:09:56.920 학생은 문제에 직접 관여하든지, 아니면 그 뚱뚱한 남자를 밀지 않을 것인지 둘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0:09:56.920,0:09:59.550 이제 이 사례에 대해서는 잊어봅시다 0:09:59.550,0:10:01.270 좋습니다 0:10:01.270,0:10:06.460 다른 경우를 생각해 보죠. 당신은 의사와 함께 응급실에 있습니다 0:10:06.460,0:10:11.630 그리고 여섯 명의 환자가 옵니다 0:10:11.630,0:10:18.500 그들은 심각한 전차 사고로 부상을 입었습니다 0:10:18.500,0:10:23.890 부상자 중에서 다섯 명의 환자는 경상이고, 한 명은 중상입니다. 당신은 중상을 입은 한 명의 환자를 0:10:23.890,0:10:27.720 하루 종일 간호할 수도 있습니다 0:10:27.720,0:10:32.330 그러면 나머지 다섯 명의 환자가 죽습니다. 또는 당신은 다섯 명의 환자를 치료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그렇게 되면 0:10:32.330,0:10:35.490 그 심각한 부상을 입은 환자는 0:10:35.490,0:10:36.470 죽고 말 것입니다 0:10:36.470,0:10:37.660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0:10:37.660,0:10:39.540 그 다섯 명을 구할까요? 0:10:39.540,0:10:40.850 의사로서 말입니다 0:10:40.850,0:10:44.480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한 명을 구하려고 할까요? 0:10:44.480,0:10:46.300 매우 적은 숫자의 사람들이네요 0:10:46.300,0:10:49.270 몇 명 되지 않는 사람들뿐입니다 0:10:49.270,0:10:51.440 제가 생각과 같은 이유일 것입니다 0:10:51.440,0:10:55.570 한 명의 생명 대 다섯 명의 생명? 0:10:55.570,0:10:57.230 이제 다른 의사의 사례를 0:10:57.230,0:10:59.070 생각해 봅시다 0:10:59.070,0:11:02.080 이제 당신은 이식 수술을 하는 의사입니다 0:11:02.080,0:11:06.160 그리고 당신에게는 다섯 명의 절박한 환자들이 있습니다 0:11:06.160,0:11:09.640 그들은 장기 이식을 받아야 살 수 있습니다 0:11:09.640,0:11:12.220 한 명은 심장이 필요하고 한 명은 폐 0:11:12.220,0:11:13.550 한 명은 신장 0:11:13.550,0:11:15.090 한 명은 간 0:11:15.090,0:11:16.680 그리고 다섯 번째 환자는 0:11:16.680,0:11:20.210 췌장이 필요합니다 0:11:20.210,0:11:22.780 그러나 당신에게는 장기 기증자가 없습니다 0:11:22.780,0:11:24.910 당신은 그들이 막 죽으려는 것을 봅니다 0:11:24.910,0:11:27.650 당신은 그들이 막 죽으려는 것을 봅니다 0:11:27.650,0:11:28.860 옆 방에는 0:11:28.860,0:11:30.650 건강한 남자가 0:11:30.650,0:11:32.470 건강 검진을 받으러 와서 기다리고 있습니다 0:11:32.470,0:11:35.720 건강 검진을 받으러 와서 기다리고 있습니다 0:11:39.450,0:11:43.740 그리고 그는 0:11:43.740,0:11:47.160 낮잠을 자고 있습니다 0:11:47.160,0:11:50.740 낮잠을 자고 있습니다 0:11:53.270,0:11:56.770 당신은 아주 조용히 방 안으로 들어가서 0:11:56.770,0:12:00.600 그의 장기를 꺼냅니다. 그러면 그 남자는 죽겠죠 0:12:00.600,0:12:03.170 그러나 당신을 다섯 명을 살릴 수 있습니다 0:12:03.170,0:12:10.170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그렇게 할 겁니까? 아무도 없습니까? 0:12:10.390,0:12:17.390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할 겁니까? 만약 그렇게 할 거라면 손을 드세요 0:12:18.100,0:12:21.840 발코니에도 아무도 없나요? 0:12:21.840,0:12:24.280 당신이 할 겁니까? 몸을 기울이지 않도록 조심하세요 0:12:26.270,0:12:29.340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그렇게 하지 않을까요? 0:12:29.340,0:12:30.360 좋습니다 0:12:30.360,0:12:33.600 당신은 뭐라고 말할 건가요? 발코니에 있는 분, 말씀하세요 0:12:33.600,0:12:35.840 기관들을 꺼낼 겁니까? 왜요? 0:12:35.840,0:12:38.629 그것은 하나로 다섯을 살릴 수 있는 0:12:38.629,0:12:40.189 가능성이 있는 대안이기 때문입니다 0:12:40.189,0:12:44.420 만약 당신이 기관이 필요하면 누군가는 먼저 죽을 것이고 0:12:44.420,0:12:50.230 어기에는 네 개의 건강한 다른 기관들이 있고 당신은 네 사람을 더 살릴 수 있습니다 0:12:50.230,0:12:54.640 네, 좋은 생각입니다 0:12:54.640,0:12:57.830 아주 좋은 생각이에요 0:12:57.830,0:13:00.160 이 사실을 제외하면요 0:13:00.160,0:13:06.160 학생은 논점을 벗어난 선택을 했습니다 0:13:06.160,0:13:07.360 다시 이 이야기로 돌아가 봅시다 0:13:07.360,0:13:10.240 이 논쟁으로요. 이 논쟁을 밝혀낼 0:13:10.240,0:13:12.750 몇 가지 방법에 대해 알아봅시다 0:13:12.750,0:13:17.810 몇 가지 방법에 대해 알아봅시다 0:13:17.810,0:13:18.650 확실한 0:13:18.650,0:13:20.360 도덕 원칙들은 0:13:20.360,0:13:23.340 우리가 하고 있는 이 토론을 통해 0:13:23.340,0:13:25.880 이미 융합되기 시작했습니다 0:13:25.880,0:13:27.570 그리고 마지막으로 우리가 고려할 것은 0:13:27.570,0:13:29.740 이 도덕 원칙들이 0:13:29.740,0:13:31.250 어떻게 보이냐는 것입니다 0:13:31.250,0:13:35.710 우리가 지금 융합하고 있는 첫번째 도덕 원칙은 0:13:35.710,0:13:39.110 무엇을 하는 것이 옳은가? 도덕적인가?를 말합니다 0:13:39.110,0:13:43.140 우리가 결과들에 따라서 나온 것이 0:13:43.140,0:13:45.480 당신의 행동으로부터 나온 결과입니다 0:13:45.480,0:13:47.080 결국에는 0:13:47.080,0:13:49.250 다섯 명이 살아남는 것이 낫습니다 0:13:49.250,0:13:52.320 비록 한 명이 죽어야 된다고 해도요 0:13:52.320,0:13:53.700 이것이 결과주의자들의 0:13:53.700,0:13:56.280 도덕적인 근거의 예입니다 0:13:56.280,0:13:59.460 도덕적인 근거의 예입니다 결과주의자들의 도덕적 근거는 '도덕성은 행동의 결과에 있다' 입니다 규칙으로부터의 탈피에서 결과는 0:14:04.310,0:14:06.550 규칙으로부터의 탈피에서 결과는 0:14:06.550,0:14:09.050 당신이 하고자 한 것입니다 0:14:09.050,0:14:12.790 그러고 나서 우리는 다른 사례를 생각해 보았습니다 0:14:12.790,0:14:15.320 사람들이 결과주의자들이 0:14:15.320,0:14:17.300 더 도덕적인 근거를 가졌다고 0:14:17.300,0:14:20.530 확신하지 못합니다 0:14:20.530,0:14:22.420 사람들은 뚱뚱한 남자를 0:14:22.420,0:14:24.270 다리 너머로 밀거나 0:14:24.270,0:14:25.790 다리 너머로 밀거나 0:14:25.790,0:14:28.640 무고한 환자에게서 장기를 꺼내 0:14:28.640,0:14:29.750 다른 사람을 살리고자 하는 것을 주저할 때 0:14:29.750,0:14:32.260 사람들은 0:14:32.260,0:14:34.260 그렇게 행동하는 이유가 0:14:34.260,0:14:35.380 행동의 본질적 가치 0:14:35.380,0:14:37.250 그 자체에 0:14:37.250,0:14:39.230 관련이 있는 것처럼 0:14:39.230,0:14:40.690 행동합니다 0:14:40.690,0:14:42.770 결과가 어떤지와는 상관 없이 말이죠 0:14:42.770,0:14:45.180 사람들은 단지 0:14:45.180,0:14:47.820 잘못되었다는 것만 생각합니다 0:14:47.820,0:14:49.480 무고한 사람을 죽이는 것이 0:14:49.480,0:14:50.500 무고한 사람을 죽이는 것이 0:14:50.500,0:14:51.409 절대적으로 잘못되었다고요 0:14:51.409,0:14:53.510 절대적으로 잘못되었다고요 0:14:53.510,0:14:54.690 심지어 그것이 0:14:54.690,0:14:55.819 다섯 명의 사람들을 0:14:55.819,0:14:58.500 살리는데도 말입니다. 0:14:58.500,0:15:00.610 이것이 우리가 생각해 본 0:15:00.610,0:15:05.120 두 번째 이야기 입니다. 0:15:05.120,0:15:06.520 그래서 이 화면은 0:15:06.520,0:15:09.540 각 이야기의 0:15:09.540,0:15:10.690 두 번째의 설명을 0:15:10.690,0:15:12.660 위한 것입니다 0:15:12.660,0:15:14.680 도덕적인 추론에 대해서 말이죠 0:15:14.680,0:15:16.430 도덕적인 추론에 대해서 말이죠 0:15:16.430,0:15:22.430 여기서의 중점은 두 번째 의무론이 생각하는 도덕적인 근거로 0:15:22.430,0:15:24.440 의무론적 도덕의무는 도덕성은 결과에 상관없이 0:15:24.440,0:15:27.440 확실한 의무와 권리에서 나온다는 것입니다 0:15:27.440,0:15:29.230 우리는 이제 탐구해 볼 것입니다 0:15:29.230,0:15:33.070 결과주의와 의무론 0:15:33.070,0:15:36.540 그리고 도덕적인 근거의 상반되는 점을요 0:15:36.540,0:15:38.370 가장 영향력 있는 0:15:38.370,0:15:40.420 결과론의 도덕근거적인 예는 0:15:40.420,0:15:45.920 18세기 영국의 정치철학자였던 0:15:45.920,0:15:51.100 제레미 벤담이 고안한 이념인 실용주의입니다 0:15:51.100,0:15:54.140 의무론에서의 도덕근거와 관련하여 0:15:54.140,0:15:56.850 가장 중요한 철학자는 0:15:56.850,0:15:58.170 18세기 독일의 철학자 0:15:58.170,0:16:02.590 임마누엘 칸트입니다 0:16:02.590,0:16:03.860 그래서 우리는 0:16:03.860,0:16:07.260 서로 다른 두 이념의 도덕적 근거를 보고 0:16:07.260,0:16:08.300 그에 접근하고 0:16:08.300,0:16:10.670 또한 다른 것들도 고려해볼 것입니다 0:16:10.670,0:16:16.100 강의계획서를 보면 우리가 유명하면서도 수준 높은 여러 권의 책들을 읽을 것임을 알 수 있습니다 0:16:16.100,0:16:18.310 아리스토텔레스 0:16:18.310,0:16:19.890 존 로크 0:16:19.890,0:16:22.080 임마누엘 칸트, 존 스튜어트 밀 0:16:22.080,0:16:24.030 그리고 다른 철학자들에 의해 쓰인 책들입니다 0:16:24.030,0:16:28.170 그리고 강의계획서를 봤다면 우리는 이 책들을 읽는 것뿐만이 아니라 0:16:28.170,0:16:30.070 현재 논란이 되고 있거나 0:16:30.070,0:16:32.010 민감한 사안들에 대해서도 0:16:32.010,0:16:37.000 살펴 볼 것이라는 사실을 알 수 있겠죠? 0:16:37.000,0:16:40.190 우리는 그 행동들의 특성과 평등에 대해 0:16:40.190,0:16:41.490 논의할 것입니다 0:16:41.490,0:16:43.699 언론의 자유와 편파적 발언의 대립 0:16:43.699,0:16:47.040 동성결혼, 징병제 0:16:47.040,0:16:50.980 이런 실제적인 질문들을 결합하여 0:16:50.980,0:16:55.350 왜 우리의 삶이 이 추상적이고 이질적인 책들과 0:16:55.350,0:17:01.040 떨어질 수 없는지 확실히 할 것입니다 0:17:01.040,0:17:03.520 왜 철학은 우리의 삶, 심지어 정치에 대한 생각에 0:17:03.520,0:17:05.640 깊숙이 들어와 있는지도요 0:17:05.640,0:17:07.720 그래서 우리는 이 책들을 읽고 0:17:07.720,0:17:09.819 이 사안들에 대해 서로 논쟁을 한 뒤에 0:17:09.819,0:17:15.480 하나의 사상이 각각 어떻게 다른 사상과 대립되는지를 알아볼 것입니다 0:17:15.480,0:17:17.600 이것은 아마 충분해 보일지도 모르겠지만 0:17:17.600,0:17:19.110 그러나 저는 여기 있는 0:17:19.110,0:17:22.550 모두에게 경고합니다 0:17:22.550,0:17:25.210 그 경고는 0:17:25.210,0:17:28.500 이 책들을 읽음으로써 0:17:28.500,0:17:31.550 자신의 지식을 실행하는 데 있어 0:17:31.550,0:17:34.120 확실히 어떤 위험에 0:17:34.120,0:17:38.850 놓이게 된다는 것입니다 0:17:38.850,0:17:42.120 위험은 개인적이면서도 정치적입니다 0:17:42.120,0:17:47.800 정치철학을 공부하는 학생들이라면 모두들 알고 있는 위험성이죠 0:17:47.800,0:17:50.690 이 위험들은 0:17:50.690,0:17:52.580 철학이 우리가 이미 알고 있는 것을 0:17:52.580,0:17:54.220 가르치고 있다는 사실에서부터 비롯됩니다 0:17:54.220,0:17:56.400 그리고 우리를 불안하게 합니다 0:17:56.400,0:18:01.390 바로 우리가 알고 있는 것들을 직면하게 함으로써 말입니다 0:18:01.390,0:18:03.390 거기에 철학의 아이러니가 있습니다 0:18:03.390,0:18:09.790 이 강의가 어려운 이유는 여러분이 이미 알고 있는 것을 가르치기 때문입니다 0:18:09.790,0:18:12.160 이것은 여러 가지로 여러분에게 0:18:12.160,0:18:16.470 친숙한 질문들을 묻는 방식으로 작용합니다 0:18:16.470,0:18:20.370 그리고 이상하게 만듭니다 0:18:20.370,0:18:22.390 그것은 어떻게 작용하는가에 0:18:22.390,0:18:23.120 대한 예입니다 0:18:23.120,0:18:29.030 우리가 시작할 때 다뤘던 문제들은 현실적인 문제가 매우 다양하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0:18:29.030,0:18:33.940 이것은 또한 우리가 이 추상적인 책들을 어떻게 대할지도 보여줍니다. 철학은 0:18:33.940,0:18:35.640 우리에게 친숙해서 0:18:35.640,0:18:37.520 오히려 이상합니다 0:18:37.520,0:18:40.390 새로운 정보를 제공함으로써가 아니라 0:18:40.390,0:18:41.780 이미 알고 있는 것을 가르칩니다 0:18:41.780,0:18:43.600 새로운 관점을 공격하고 0:18:43.600,0:18:47.420 불러일으킵니다 0:18:47.420,0:18:49.970 그러나 위험성 또한 존재합니다 0:18:49.970,0:18:50.720 일단 0:18:50.720,0:18:54.300 친숙함이 이상함으로 돌아서면 0:18:54.300,0:18:58.260 다시는 원래대로 돌아가지 않습니다 0:18:58.260,0:19:00.210 자기 이해는 0:19:00.210,0:19:03.200 순수함을 잃는 것과 같습니다 0:19:03.200,0:19:04.720 그러나 일단 0:19:04.720,0:19:06.030 당신을 불안하게 하는 것이 무엇인지 알아내면 0:19:06.030,0:19:07.290 다시는 0:19:07.290,0:19:09.720 무지의 상태로 0:19:09.720,0:19:13.390 돌아가지 않을 것입니다 0:19:13.390,0:19:17.260 무엇이 '처음 들어가기'를 어렵게 할까요? 0:19:17.260,0:19:19.970 또한 논박합니다 0:19:19.970,0:19:20.880 이 도덕적이고 정치적인 철학은 0:19:20.880,0:19:25.400 바로 이야기입니다 0:19:25.400,0:19:29.340 당신은 이 이야기가 어디에 근거하는지는 모르지만 0:19:29.340,0:19:31.320 당신은 이것이 0:19:31.320,0:19:34.480 당신에 대한 이야기임을 알고 있습니다 0:19:34.480,0:19:37.080 그것은 개인적인 위험입니다 0:19:37.080,0:19:40.220 이제 정치적인 위험이 무엇인지에 대해 말해 보죠 0:19:40.220,0:19:43.039 이 강의를 소개하는 한 방법은 0:19:43.039,0:19:44.730 당신에게 약속하는 것이 될 것입니다 0:19:44.730,0:19:46.460 그 약속은 책을 읽음으로써 0:19:46.460,0:19:48.070 그리고 논쟁함으로써 0:19:48.070,0:19:51.770 당신이 좀 더 책임감 있는 시민이 될 것이라는 점입니다 0:19:51.770,0:19:56.450 당신은 공공정책에 대해 조사하고 자신의 정치적인 견해를 0:19:56.450,0:19:57.290 가질 것입니다 0:19:57.290,0:20:02.820 당신은 좀 더 공공의 사안에 대해 참여하고 관여하게 될 것입니다 0:20:02.820,0:20:06.870 그러나 이것은 부분적이고 잘못된 약속입니다 0:20:06.870,0:20:11.490 정치철학의 대부분은 이런 방식으로 작용하지 않습니다 0:20:11.490,0:20:14.660 당신은 가능성을 최대한 허용해야 합니다 0:20:14.660,0:20:19.100 그 정치철학은 아마도 당신을 최악의 시민으로 만들 것입니다 0:20:19.100,0:20:21.970 선한 시민으로 만들기보다 말이죠 0:20:21.970,0:20:23.810 적어도 최악의 시민은 더 낫습니다 0:20:23.810,0:20:25.630 그래요, 후자가 더 낫습니다 0:20:25.630,0:20:27.950 그래요, 후자가 더 낫습니다 0:20:27.950,0:20:30.400 왜냐하면 철학은 0:20:30.400,0:20:32.620 심지어 분명한 것일지라도 0:20:32.620,0:20:34.710 평가하는 학문이기 때문입니다 0:20:34.710,0:20:36.600 평가하는 학문이기 때문입니다 0:20:36.600,0:20:37.760 소크라테스로 돌아가서 0:20:37.760,0:20:39.890 다시 한 번 책을 살펴 보면 0:20:39.890,0:20:42.290 '고르기아스'라는 대화편이 있습니다 0:20:42.290,0:20:44.680 이 대화에서 소크라테스의 친구들 중 한 명인 0:20:44.680,0:20:45.620 칼리클레스가 나오는데 0:20:45.620,0:20:47.240 어려운 철학적 이야기를 하지 않도록 0:20:47.240,0:20:49.970 노력하는 모습이 보입니다 0:20:49.970,0:20:54.400 칼리클레스가 소크라테스에게 말했습니다. 0:20:54.400,0:20:57.980 "철학은 적절한 때에 적당히 사용하기만 한다면 좋은 장난감과도 같네. 0:20:57.980,0:21:03.780 하지만 필요 이상으로 쓴다면 그것만큼 나쁜 게 없지." 0:21:03.780,0:21:06.820 "내 충고를 받아들이게나."라고 칼리클레스가 재차 말합니다 0:21:06.820,0:21:08.370 "이제 논쟁은 그만하지. 0:21:08.370,0:21:11.670 대신 활동적인 삶이 얼마나 좋은지를 배우게. 0:21:11.670,0:21:16.880 사소한 불평이나 불만을 털어 놓는 사람들이 아니라 0:21:16.880,0:21:20.080 안정적인 삶을 살며 명성과 다른 장점들을 지닌 사람들을 0:21:20.080,0:21:22.320 생각하라는 말일세." 0:21:22.320,0:21:26.809 그래서 칼리클레스가 실제로 소크라테스에게 이렇게 말했다고 합니다. 0:21:26.809,0:21:28.690 "철학 논쟁 따위는 그만두고 0:21:28.690,0:21:30.550 현실로 돌아와서 0:21:30.550,0:21:35.170 경영이나 공부하게." 0:21:35.170,0:21:38.300 칼리클레스의 말에도 일리는 있습니다 0:21:38.300,0:21:39.690 그 이유는 0:21:39.690,0:21:42.210 철학으로 인하여 0:21:42.210,0:21:45.010 우리가 규약이나 이미 인정받는 가정 혹은 믿음으로부터 0:21:45.010,0:21:46.750 멀어지는 것은 사실이기 때문입니다 0:21:46.750,0:21:48.650 여기에도 개인적이면서 정치적인 0:21:48.650,0:21:49.970 위험성이 존재합니다 0:21:49.970,0:21:54.090 하지만 이러한 위험성에도 불구하고 철학 특유의 '회피 방법'이 있습니다 0:21:54.090,0:21:57.470 그 방법이 바로 회의론이라고 하는 것입니다. 이 회의론은 0:21:57.470,0:21:58.990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이루어집니다 0:21:58.990,0:22:03.660 우리는 수업을 시작하면서 논의했던 여러 가지 경우 혹은 원칙들을 0:22:03.660,0:22:09.760 한 번에 해결할 수는 없습니다 0:22:09.760,0:22:11.390 만약 아리스토텔레스나 0:22:11.390,0:22:17.220 로크, 칸트 그리고 밀조차도 이러한 문제들을 풀 수 없었다면 0:22:17.220,0:22:19.590 과연 그 누가 0:22:19.590,0:22:23.730 여기 샌더스 극장에서 단지 한 학기만 공부한 우리가 0:22:23.730,0:22:26.430 그에 대한 해답을 제시할 수 있을까요? 0:22:26.430,0:22:29.460 개인적인 원칙을 가진 0:22:29.460,0:22:33.520 우리들 각자의 문제일 수도 있습니다. 더 이상 이야기할 필요도 0:22:33.520,0:22:34.170 그럴 수도 없습니다 0:22:34.170,0:22:36.590 그럴 수도 없습니다 0:22:36.590,0:22:37.650 이것이 바로 0:22:37.650,0:22:39.440 회의론에서의 '회피'라는 것입니다 0:22:39.440,0:22:41.280 바로 이어서 0:22:41.280,0:22:42.660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0:22:42.660,0:22:43.720 이러한 철학적인 질문들은 0:22:43.720,0:22:47.560 매우 오랜 시간 논의되어 왔는데 0:22:47.560,0:22:49.060 이것이 끊임없이 반복되고 지속된다는 0:22:49.060,0:22:52.700 바로 그 사실로 인하여 0:22:52.700,0:22:54.650 그런 질문이 어떻게 보면 말이 안 되지만 0:22:54.650,0:22:57.169 또 다른 측면에서는 불가피하다는 설명이 0:22:57.169,0:22:59.800 나온다는 것은 사실입니다 0:22:59.800,0:23:02.300 그리고 그 철학적인 질문들이 불가피하며 0:23:02.300,0:23:06.500 피할 수 없는 것인 이유는 우리 자신이 매일 그 질문들에 대한 답을 하며 0:23:06.500,0:23:10.070 살고 있기 때문입니다 0:23:10.070,0:23:16.130 따라서 도덕적 반성 없이 단순히 포기하기만 하는 회의론은 0:23:16.130,0:23:18.280 전혀 해결책이 되지 못합니다 0:23:18.280,0:23:19.990 임마누엘 칸트는 0:23:19.990,0:23:23.710 "회의론은 독선적인 인간 이성을 위한 0:23:23.710,0:23:26.309 휴식처는 될 수 있을지 몰라도, 0:23:26.309,0:23:29.100 영원한 안식처는 될 수 없다."라는 말로 0:23:29.100,0:23:33.070 회의론이 가진 문제점을 명쾌하게 묘사했습니다 0:23:33.070,0:23:35.940 칸트는 또한 "쉽사리 회의론에 동조하는 것은 0:23:35.940,0:23:42.660 끊임없이 사고하는 이성을 압도하는 데 절대 충분하지 않다."라고 서술했죠 0:23:42.660,0:23:47.040 저는 칸트의 주장을 통해 회의론이 가진 0:23:47.040,0:23:49.899 위험성과 유혹, 그리고 가능성을 0:23:49.899,0:23:55.590 여러분께 제시해 드리고 싶었습니다 0:23:55.590,0:23:58.100 이번 강의의 목적이 0:23:58.100,0:23:59.630 끊임없는 사고하는 것과 0:23:59.630,0:24:02.240 그 결과를 살펴 보는 것이라는 말로 0:24:02.240,0:24:04.380 정리가 가능하겠네요 0:24:04.380,0:24:11.380 감사합니다 0:24:15.440,0:24:16.980 절망적인 상황이라면 0:24:16.980,0:24:21.260 -우리는 살아남기 위해 해야 하는 그 무언가를 해야만 합니다 -우리가 해야만 하는 그 무언가를 해야 한다고요?[br]-네. 우리는 당연히 0:24:21.260,0:24:22.780 해야 할 일을 0:24:22.780,0:24:23.620 다해야만 합니다 0:24:23.620,0:24:25.700 만약 지금까지 식량 없이 19일을 버텨 왔다면 0:24:25.700,0:24:32.700 이제 누군가는 희생을 감수해야만 합니다 -'누군가는 희생을 감수해야 하고, 그러면 다른 사람들은 살아남을 수 있을 것이다', 좋습니다, 좋아요. 학생, 이름이 뭐죠? -마커스입니다 0:24:33.570,0:24:40.350 마커스, 좋습니다. 학생은 마커스에게 뭐라고 말할 건가요? 0:24:40.350,0:24:44.570 첫 시간에 0:24:44.570,0:24:46.960 우리는 전차 이야기 0:24:46.960,0:24:48.980 그리고 의사와 0:24:48.980,0:24:51.020 장기 이식 수술의 0:24:51.020,0:24:53.050 피해자가 되기 쉬운 0:24:53.050,0:24:54.510 건강한 환자의 이야기를 통해 0:24:54.510,0:24:56.270 몇 가지 0:24:56.270,0:24:57.560 도덕적 딜레마에 0:24:57.560,0:25:00.910 대해 배웠습니다 0:25:00.910,0:25:04.090 그리고 우리가 가진 0:25:04.090,0:25:06.890 두 가지 주장 중에서 하나가 0:25:06.890,0:25:10.830 우리의 토론 방식과 관련이 있다는 것입니다 0:25:10.830,0:25:13.570 특정한 경우에 우리가 어떻게 판단하는지로부터 시작하죠 0:25:13.570,0:25:18.470 우리는 판단 그 이면에 있는 근거와 원칙들을 0:25:18.470,0:25:22.550 분명히 하려고 했습니다 0:25:22.550,0:25:25.400 그리고 새로운 사례를 접하게 된 우리는 0:25:25.400,0:25:30.760 그러한 원칙들을 재점검하고 다른 사람들을 고려하여[br]알맞게 수정하는 작업을 하게 되었습니다 0:25:34.020,0:25:38.920 어떤 특정한 경우 혹은 우리가 지지하게 될 0:25:38.920,0:25:41.680 원칙에 대한 우리의 판단을 옹호하는 데는 0:25:41.680,0:25:43.940 어쩔 수 없이 중압감을 느끼게 된다는 것도 0:25:43.940,0:25:46.360 알게 되었고요 0:25:46.360,0:25:50.590 또한 이번 토론에서 드러나게 된 0:25:50.590,0:25:55.250 그러한 철학적 논쟁의 본질에 대해서도 깨닫게 되었습니다 0:25:55.250,0:26:00.860 때로는 우리가 행동의 도덕성을 결과, 성과 혹은 그로 인해 초래되는 상태와 0:26:00.860,0:26:06.520 결부시키고 싶어 한다는 것도 말입니다 0:26:06.520,0:26:09.020 이것을 '결과주의적 도덕 추론'이라고 부릅니다 0:26:09.020,0:26:11.690 이것을 '결과주의적 도덕 추론'이라고 부릅니다 0:26:11.690,0:26:13.240 하지만 0:26:13.240,0:26:16.440 어떤 경우에는 0:26:16.440,0:26:18.610 단지 결과만 보고서는 0:26:18.610,0:26:22.090 동요하지 않는 때도 있죠 0:26:22.090,0:26:23.400 여러분들 중 대다수는 0:26:23.400,0:26:25.350 행동의 결과뿐만이 아니라 0:26:25.350,0:26:31.670 본질적인 특성 혹은 특징도 0:26:31.670,0:26:35.370 도덕적으로 중요하다고 생각할 때가 있을 겁니다 0:26:35.370,0:26:40.980 설령 어떤 행동이 좋은 결과를 불러오거나 0:26:40.980,0:26:42.580 한 명의 목숨을 희생하여 0:26:42.580,0:26:44.460 다섯 명을 살릴 수 있었다고 하더라도 0:26:44.460,0:26:45.490 그것은 단언코 잘못된 행동이라고 0:26:45.490,0:26:47.200 말할 수 있는 경우들이 있다고 0:26:47.200,0:26:49.789 주장하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0:26:49.789,0:26:52.730 그래서 결과주의적 도덕 원칙과 0:26:52.730,0:26:54.570 정언적 도덕 원칙을 0:26:54.570,0:26:58.140 비교해 보려고 합니다 0:26:58.140,0:26:59.790 오늘부터 얼마간은 0:26:59.790,0:27:00.820 오늘부터 얼마간은 0:27:00.820,0:27:06.570 결과주의적 도덕 이론에서 0:27:06.570,0:27:08.840 가장 중요한 해석 중 하나를 0:27:08.840,0:27:10.970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0:27:10.970,0:27:16.330 그 해석이 바로 공리주의 철학입니다 0:27:16.330,0:27:17.430 공리주의적 0:27:17.430,0:27:19.080 도덕 이론에 대해서 0:27:19.080,0:27:21.690 처음으로 0:27:21.690,0:27:22.910 명확하고 체계적인 해석을 0:27:22.910,0:27:26.630 제시한 사람은 0:27:26.630,0:27:28.670 영국의 정치철학자 0:27:28.670,0:27:32.210 제레미 벤담이었습니다 0:27:32.210,0:27:36.400 벤담의 근본적인 사상은 0:27:36.400,0:27:38.440 벤담의 근본적인 사상은 0:27:38.440,0:27:42.930 매우 단순한 것이었습니다 0:27:42.930,0:27:44.809 수많은 0:27:44.809,0:27:46.330 도덕적인 것을 0:27:46.330,0:27:48.430 직관에 0:27:48.430,0:27:50.450 의존하여 판단하는 0:27:50.450,0:27:51.590 벤담의 생각은 다음과 같습니다 0:27:51.590,0:27:54.440 그는 마땅히 해야 하는 것 0:27:54.440,0:27:57.800 바로 그것은 0:27:57.800,0:27:58.820 공공의 0:27:58.820,0:28:01.370 이익을 0:28:01.370,0:28:02.340 최대화하는 것이라고 했습니다 0:28:02.340,0:28:06.330 벤담이 생각하는 공공의 이익이란 과연 무엇이었을까요? 0:28:06.330,0:28:11.490 그는 공공의 이익이 0:28:11.490,0:28:14.000 쾌락과 고통 사이의 0:28:14.000,0:28:16.779 균형이라고 보았습니다 0:28:16.779,0:28:18.210 벤담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0:28:18.210,0:28:19.259 '공리(公利) 최대화의 원칙'에 도달했습니다 0:28:19.259,0:28:22.309 '공리(公利) 최대화의 원칙'에 도달했습니다 0:28:22.309,0:28:24.450 사람들을 모두 관찰하여 0:28:24.450,0:28:26.399 모든 인간은 고통과 쾌락 0:28:26.399,0:28:27.750 각기 독립적인 두 가지 요소에 의해 0:28:27.750,0:28:31.490 지배를 받는다는 0:28:31.490,0:28:34.620 결론을 내렸습니다 0:28:34.620,0:28:37.480 우리 인간은 쾌락을 좋아하고 0:28:37.480,0:28:42.309 고통을 싫어한다고 말이죠 0:28:42.309,0:28:45.840 우리는 도덕성에 근거를 두어야 합니다 0:28:45.840,0:28:49.170 우리가 살면서 무엇을 해야 하는지 0:28:49.170,0:28:50.490 아니면 입법자나 시민으로서 0:28:50.490,0:28:52.580 어떤 일을 해야 하는지 0:28:52.580,0:28:57.030 과연 법은 무엇이어야 하는지 생각하는 것처럼요 0:28:57.030,0:29:02.070 개인이건 집단이건 상관 없이 0:29:02.070,0:29:05.839 사회 구성원 모두가 0:29:05.839,0:29:07.660 행복할 수 있는 방향으로 0:29:07.660,0:29:11.520 행동해야 합니다 0:29:11.520,0:29:15.430 벤담의 공리주의는 0:29:15.430,0:29:18.870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이라는 말로 요약됩니다. 0:29:18.870,0:29:20.399 공공의 이익에 대한 0:29:20.399,0:29:22.990 이 기본 원칙을 이용해서 0:29:22.990,0:29:26.410 공리주의를 점검해 보고 0:29:26.410,0:29:28.409 기본 원칙을 또다른 사례나 0:29:28.409,0:29:30.620 이야기에 적용해서 검토해 보도록 하죠 0:29:30.620,0:29:32.640 이번에는 가상의 이야기가 아닌 0:29:32.640,0:29:34.120 실제 있었던 일입니다 0:29:34.120,0:29:35.060 영국 여왕 대 두들리, 스티븐스 사건을 0:29:35.060,0:29:38.330 이용해서 공리주의를 설명해 드릴 겁니다 0:29:38.330,0:29:41.890 법학 수업에서 자주 다루어지는 0:29:41.890,0:29:44.010 유명하고 널리 알려진 0:29:44.010,0:29:47.539 19세기 영국의 판례입니다 0:29:47.539,0:29:50.060 그 사건에서 어떤 일이 벌어졌던 것인지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0:29:50.060,0:29:51.870 제가 간략하게 내용을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0:29:51.870,0:29:54.910 대신 여러분들이 그 때의 배심원단이었다면 0:29:54.910,0:29:57.640 과연 어떤 판단을 했을 것인지 0:29:57.640,0:30:04.350 듣고 싶군요 0:30:04.350,0:30:06.179 당시 신문들은 사건의 정황을 0:30:06.179,0:30:09.290 다음과 같이 서술했습니다 0:30:09.290,0:30:11.460 해상 재난이라는 0:30:11.460,0:30:12.790 끔찍한 사건이 있었는데 0:30:12.790,0:30:15.289 단 한 번도 범선 미뇨네트호의 생존자들 입장에서는 0:30:15.289,0:30:16.240 전해진 적이 없었습니다 0:30:16.240,0:30:19.110 남대서양에서 표류 중이었던 0:30:19.110,0:30:21.790 미뇨네트호에는 0:30:21.790,0:30:24.000 네 사람이 있었습니다 0:30:24.000,0:30:26.500 두들리가 선장 0:30:26.500,0:30:28.400 스티븐스가 일등 항해사 0:30:28.400,0:30:30.220 브룩스가 선원이었는데 0:30:30.220,0:30:31.280 이들은 모두 0:30:31.280,0:30:32.490 흠잡을 데 없는 사람들이었다고 0:30:32.490,0:30:34.249 당시의 신문 기사에 0:30:34.249,0:30:35.820 쓰여 있습니다 0:30:35.820,0:30:38.640 그리고 네 번째 인물이 0:30:38.640,0:30:40.300 하급 선원이었던 0:30:40.300,0:30:42.850 17세의 리차드 파커입니다 0:30:42.850,0:30:44.630 파커는 고아였습니다 0:30:44.630,0:30:46.930 가족이 아무도 없었죠 0:30:46.930,0:30:51.410 미뇨네트호가 그의 첫 번째 장기 항해였습니다 0:30:51.410,0:30:53.700 기사에 따르면 그는 친구들의 충고를 무시하고 0:30:53.700,0:30:56.730 배를 탔다고 합니다 0:30:56.730,0:31:00.210 파커는 이번 항해가 자신을 진짜 남자로 만들어줄 거라는 0:31:00.210,0:31:03.390 젊은이다운 열망과 희망에 가득차 있었습니다 0:31:03.390,0:31:05.140 그러나 애석하게도 그렇지 않았습니다 0:31:05.140,0:31:07.780 이 사건의 진상은 명확합니다 0:31:07.780,0:31:08.970 파도가 배를 강타했고 0:31:08.970,0:31:12.000 미뇨네트호는 침몰하기 시작했습니다 0:31:12.000,0:31:14.860 네 명의 뱃사람들은 구명보트를 타고 탈출했습니다 0:31:14.860,0:31:16.200 그들이 가진 0:31:16.200,0:31:18.380 음식이라고는 0:31:18.380,0:31:19.659 고작 절인 순무 0:31:19.659,0:31:20.990 두 캔뿐이었고 0:31:20.990,0:31:21.780 깨끗한 물은 0:31:21.780,0:31:23.980 전혀 없었습니다 0:31:23.980,0:31:26.610 그들은 처음 3일동안 아무 것도 먹지 못했습니다 0:31:26.610,0:31:30.460 4일째가 되던 날, 그들은 순무 캔 하나를 열어 0:31:30.460,0:31:31.590 그것을 먹었습니다 0:31:31.590,0:31:34.450 다음날에는 거북이를 잡았습니다 0:31:34.450,0:31:36.960 다 같이 남은 순무 캔 하나를 0:31:36.960,0:31:38.550 나눠 먹었기 때문에 0:31:38.550,0:31:40.059 이후 며칠 간 거북이를 먹으며 0:31:40.059,0:31:43.070 간신히 버틸 수 있었습니다. 그러나 그 이후로 8일간 0:31:43.070,0:31:44.039 그들은 먹을 것을 찾지 못했습니다 0:31:44.039,0:31:47.070 음식도, 물도 전혀 없었죠 0:31:47.070,0:31:50.070 여러분 자신이라면 그 상황에서 0:31:50.070,0:31:52.850 어떻게 했을 것인지 생각해 보세요 0:31:52.850,0:31:55.120 그들은 이렇게 했습니다 0:31:55.120,0:32:00.970 지금껏 하급 선원인 파커는 구명보트 한 쪽 구석에 누워 있었는데 0:32:00.970,0:32:03.230 다른 이들의 충고를 듣지 않아 0:32:03.230,0:32:05.490 바닷물을 너무 많이 마셨고 0:32:05.490,0:32:07.230 그 결과 병이 나서 0:32:07.230,0:32:10.669 사경을 헤메고 있었습니다 0:32:10.669,0:32:14.619 19일째가 되던 날, 선장인 두들리가 0:32:14.619,0:32:17.350 제비뽑기를 해서 0:32:17.350,0:32:18.760 누가 다른 사람들을 위해 0:32:18.760,0:32:19.620 자신의 목숨을 0:32:19.620,0:32:20.860 희생할지를 0:32:20.860,0:32:24.080 결정하자고 했습니다 0:32:24.080,0:32:25.210 하지만 브룩스가 0:32:25.210,0:32:26.540 거절했습니다 0:32:26.540,0:32:29.140 제비뽑기는 좋은 방식이 아니라고 생각했던 거죠 0:32:29.140,0:32:30.619 우리는 그가 0:32:30.619,0:32:35.999 운에 맡기는 것을 원하지 않아서 그런 것인지, 아니면 정언적 도덕 원칙을 믿었기 때문에 0:32:35.999,0:32:36.870 투표하기를 거부한 것인지는 모릅니다 0:32:36.870,0:32:38.620 그렇지만 어떤 경우라도 0:32:38.620,0:32:42.130 '100퍼센트'라는 건 없습니다 0:32:42.130,0:32:43.230 다음날에도 0:32:43.230,0:32:45.029 여전히 시야에는 배 한 척 들어오지 않았고 0:32:45.029,0:32:48.470 그래서 두들리는 브룩스의 시선을 외면한 채 0:32:48.470,0:32:50.720 스티븐스에게 파커를 죽이는 것이 좋겠다는 0:32:50.720,0:32:53.929 몸짓을 해 보였습니다 0:32:53.929,0:32:55.850 두들리는 잠시 기도를 드린 뒤 0:32:55.850,0:32:58.480 이제 때가 왔다고 말하고 0:32:58.480,0:33:00.679 주머니칼로 파커의 경정맥을 찔러 0:33:00.679,0:33:03.900 그를 죽였습니다 0:33:03.900,0:33:09.750 양심 때문에 거부하던 브룩스마저도 이 끔찍한 사건에 동참하게 되었습니다 0:33:09.750,0:33:11.030 이후 사흘간 0:33:11.030,0:33:15.230 그들 세 명은 파커의 살점과 피를 먹으며 연명했습니다 0:33:15.230,0:33:17.220 이것은 실제로 있었던 일입니다 0:33:17.220,0:33:19.390 이후 그들은 구조되었습니다 0:33:19.390,0:33:22.840 두들리는 일기에 그들의 구조 과정을 0:33:22.840,0:33:24.679 믿기 어려운 '완곡한 표현'으로 0:33:24.679,0:33:27.570 다음과 같이 써 놓았습니다 0:33:27.570,0:33:29.649 "24일째 되던 날, 0:33:29.649,0:33:34.750 우리가 아침을 먹고 있었는데 0:33:34.750,0:33:38.600 마침내 배 한 척이 나타났습니다." 0:33:38.600,0:33:44.310 세 명의 생존자들은 독일 선박 덕분에 목숨을 구했습니다.[br]그들은 잉글랜드의 팰머스로 되돌아온 뒤 0:33:44.310,0:33:47.080 체포되었고, 재판을 받았습니다 0:33:47.080,0:33:47.830 브룩스는 0:33:47.830,0:33:49.950 증인으로 소환되었습니다 0:33:49.950,0:33:54.450 두들리와 스티븐스는 피고로 재판에 서게 되었죠. 그들은 사실을 부인하지는 않았습니다 0:33:54.450,0:33:55.390 그들은 어쩔 수 없이 0:33:55.390,0:33:58.140 그런 행동을 하게 되었다고 주장했습니다 0:33:58.140,0:33:59.430 파커를 죽인 것은 생존을 위해서였다고 말이죠 0:33:59.430,0:34:01.220 사실상 나머지 셋을 살리기 위해서 0:34:01.220,0:34:03.250 하나가 죽는 것이 더 낫지 않겠냐고 0:34:03.250,0:34:06.420 말하기도 했습니다 0:34:06.420,0:34:08.619 그러나 검사는 0:34:08.619,0:34:10.849 이런 주장에도 흔들리지 않았습니다 0:34:10.849,0:34:12.509 살인은 살인이며 0:34:12.509,0:34:16.429 그렇기 때문에 사건이 재판까지 오게 된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제 여러분이 배심원단이라고 생각해 보세요 0:34:16.429,0:34:19.489 토론을 쉽게 하기 위해서 0:34:19.489,0:34:21.989 법적인 문제는 제쳐 두기로 하겠습니다 0:34:21.989,0:34:23.010 단순히 여러분이 배심원으로서 0:34:23.010,0:34:25.879 세 선원들의 행동이 0:34:25.879,0:34:28.279 도덕적으로 허용되는 것인지 아닌지를 0:34:28.279,0:34:31.009 판단하는 자리에 있다고 0:34:31.009,0:34:34.379 가정해 보는 겁니다 0:34:34.379,0:34:36.609 얼마나 많은 학생들이 0:34:36.609,0:34:39.809 무죄, 다시 말하자면 0:34:39.809,0:34:46.809 선원들의 행동이 도덕적으로 허용되는 것이라고 판단할까요? 0:34:49.529,0:34:51.640 그 반대로 그들의 행동이 도덕적으로 허용될 수 없다고 하는 0:34:51.640,0:34:54.859 유죄 판단의 경우는 어떨까요? 0:34:54.859,0:34:57.999 꽤 많은 학생들이 손을 들었네요 0:34:57.999,0:35:03.809 이제 여러분이 그런 선택을 한 이유를 알아보죠. 소수 의견에 손을 든 학생부터 시작하겠습니다 0:35:03.809,0:35:07.739 두들리와 스티븐스를 옹호하는 의견을 0:35:07.739,0:35:10.099 먼저 들어보도록 하겠습니다 0:35:10.099,0:35:14.160 학생은 왜 그들이 도덕적으로 죄가 없다고 생각하나요? 0:35:14.160,0:35:17.989 그 이유가 뭐죠? 0:35:17.989,0:35:20.799 저는 그들의 행동이 도덕적으로는 비난받아 마땅하지만 0:35:20.799,0:35:24.349 도덕적인 비난을 받을 행동과 법적인 책임을 져야 하는 행동 사이에는 0:35:24.349,0:35:26.609 분명히 차이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0:35:26.609,0:35:30.690 다시 말하자면, 앞선 사례에서 판사가 말한 것처럼 0:35:30.690,0:35:34.789 항상 도덕적인 것이 필연적으로 위법성을 지니지는 않는다는 겁니다 0:35:34.789,0:35:36.169 그리고 제가 필요가 절도나 살인 같은 불법 행위를 0:35:36.169,0:35:38.579 정당화한다고 생각하는 건 아니지만 0:35:38.579,0:35:43.509 어떤 관점, 그러니까 각자가 생각하는 필요의 정도에 의해서라면 0:35:43.509,0:35:45.849 어떠한 책임도 지지 않아도 될 것 같습니다. 좋습니다 0:35:45.849,0:35:50.589 다른 의견을 또 들어 보죠. 두들리와 스티븐스를 옹호하는 다른 분 없습니까? 0:35:50.589,0:35:53.039 그들의 행동이 0:35:53.039,0:35:56.989 도덕적으로 정당화된다는 의견을 가지신 분? 0:35:56.989,0:35:57.619 감사합니다 0:35:58.799,0:35:59.570 절망적인 상황이라면 0:35:59.570,0:36:03.139 우리는 살아남기 위해 해야 하는 그 무언가를 해야만 합니다 0:36:03.139,0:36:04.679 우리가 해야만 하는 그 무언가를 해야 한다고요? 0:36:04.679,0:36:06.789 네. 우리는 당연히 해야 할 일을 다해야만 합니다. 할 수 있는 만큼요 0:36:06.789,0:36:07.849 만약 지금까지 식량 없이 0:36:07.849,0:36:09.899 19일을 버텨 왔다면 0:36:09.899,0:36:14.710 누군가는 희생을 감수해야만 합니다. 누군가 자신을 희생한다면 다른 사람들은 살아남을 수 있습니다 0:36:14.710,0:36:16.140 이 문제는 둘째치고 0:36:16.140,0:36:21.300 세 선원이 살아남아 사회의 생산적인 일꾼이 되었다고 해 보겠습니다. 일이 끝나고 0:36:21.300,0:36:26.230 수많은 자선단체에 참여할 수 있는 사람들이요. 제가 말하고 싶은 것은 그들이 결국에는 모두를 이롭게 한다는 것입니다. 0:36:26.230,0:36:28.520 그들이 사건 이후에 어떤 행동을 했는지는 모르지만, 아마 어딘가로 가서, 음... 0:36:28.520,0:36:30.479 아마도 더 많은 사람들을 죽였을 수도 있죠 0:36:30.479,0:36:32.890 제 생각은 그렇습니다 0:36:32.890,0:36:35.709 지금 뭐라고 했습니까? 그들이 일이 끝나면 암살범으로 돌변하는 것 아니냐고 말한 건가요? 0:36:35.709,0:36:38.909 그들이 정말 일이 끝난 뒤 집에 돌아가서는 암살범으로 변한다면 어떨까요? 0:36:38.909,0:36:42.879 그렇다면 학생은 누가 그들을 암살자로 만들었는지 알고 싶겠군요. 0:36:42.879,0:36:45.849 맞아요. 저는 그것이 알고 싶습니다. 0:36:45.849,0:36:49.609 누가 그들을 그렇게 만든 것인지 궁금합니다. 0:36:49.609,0:36:50.709 좋습니다. 좋아요. 학생 이름이 뭔가요? 마커스입니다. 0:36:50.709,0:36:52.489 지금까지 선원들의 행동을 옹호하는 의견을 들어 보았습니다 0:36:52.489,0:36:54.050 지금까지 선원들의 행동을 옹호하는 의견을 들어 보았습니다 0:36:54.050,0:36:55.660 이번에는 비판하는 의견을 들어봐야겠네요 0:36:55.660,0:36:57.299 이번에는 비판하는 의견을 들어봐야겠네요 0:36:57.299,0:36:59.339 대부분의 사람들은 그들의 행동이 0:36:59.339,0:37:05.069 잘못되었다고 생각합니다. 왜 그럴까요? 0:37:05.069,0:37:09.899 제가 처음으로 생각했던 건 그들이 그들이 정말로 오랫동안 먹지 못했고, 0:37:09.899,0:37:11.410 그렇다면 아마도 0:37:11.410,0:37:12.469 그렇다면 아마도 0:37:12.469,0:37:15.140 정신적으로 영향을 받았을 것이기 때문에 0:37:15.140,0:37:16.409 그것이 변명이 될 수도 있을 것 같아요 0:37:16.409,0:37:20.619 그들은 정신적으로 불안한 상태였고 0:37:20.619,0:37:24.179 따라서 그런 끔찍한 결정 말고는 다른 선택을 할 수 없었을 것이라고 0:37:24.179,0:37:28.519 주장할 수도 있고요. 그리고 이런 주장으로 인해 0:37:28.519,0:37:33.609 그들과 같은 행동을 하는데 있어 우리들의 사고방식이 바뀌었다면 0:37:33.609,0:37:36.109 그런 주장을 확신하는 사람들은 0:37:36.109,0:37:40.089 그들이 도덕적으로 잘못된 행동을 했다고 생각하는 것이겠죠[br]- 저는 학생이 그들을 옹호하는 입장인지 알고 싶군요 0:37:40.089,0:37:41.249 죄송합니다. 지금 비판하는 입장을 말하라고 하셨죠? 네. 저는 그들이 도덕적으로 올바른 행동을 했다고 0:37:45.549,0:37:49.449 생각하지 않아요. 그럴 수도 있지 않나요? - 그럼 여기 있는 마커스의 의견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합니까? 0:37:49.449,0:37:51.089 그는 선원들을 옹호하는 입장입니다 0:37:51.089,0:37:52.909 학생도 마커스의 의견을 들었죠? 0:37:52.909,0:37:53.880 학생도 마커스의 의견을 들었죠? 0:37:53.880,0:37:55.249 네, 들었어요 0:37:55.249,0:37:56.559 네, 들었어요 0:37:56.559,0:38:00.119 그러면 학생도 그런 경우라면 할 일을 해야만 할 겁니다 0:38:00.119,0:38:04.789 마커스에게는 뭐라고 답할 건가요? 0:38:04.789,0:38:06.439 그들은... 음... 0:38:06.439,0:38:13.439 그 어떤 상황에서도 인간이 그들 자신의 손으로 0:38:13.579,0:38:17.959 다른 사람의 운명이나 목숨을 빼앗는 행동이 허락되어서는 안 된다고 생각해요. 우리에게는 그럴 만한 0:38:17.959,0:38:19.329 힘이 없으니까요 0:38:19.329,0:38:21.399 좋습니다, 네 0:38:21.399,0:38:24.130 감사합니다. 학생은 이름이 뭔가요? 0:38:24.130,0:38:24.549 브릿이요, 알겠습니다 0:38:24.549,0:38:26.029 또 다른 의견 없습니까? 0:38:26.029,0:38:28.160 학생은 뭐라고 생각합니까? 일어나서 이야기해 주십시오 0:38:28.160,0:38:35.160 저는 만약 두들리와 스티븐이 리차드 파커를 죽이는 것에 대해 그의 동의를 받았다면, 0:38:35.430,0:38:37.569 그 동의 때문에 이 두 명의 선원이 살인이라는 행동에 대해 0:38:37.569,0:38:41.229 책임을 지지 않아도 되는 것인지, 0:38:41.229,0:38:45.449 그렇다면 또한 두들리와 스티븐의 행동이 도덕적으로 정당화될 수 있는 것인지가 궁금합니다. 0:38:45.449,0:38:51.720 흥미로운 주장입니다. '동의'라는 단어가 나왔군요. 잠깐만요. 이름이 뭔가요?[br]- 캐슬린입니다 0:38:51.720,0:38:56.089 지금 캐슬린이 두들리와 스티븐이 파커의 동의를 받았다는 가정을 해 보았습니다. 과연 그 내용은 어떨까요? 0:38:56.089,0:38:56.619 이야기 속에서 0:38:56.619,0:39:00.410 두들리가 한 손에 주머니칼을 쥐고 서 있는데 0:39:00.410,0:39:02.609 기도를 하는 대신에 0:39:02.609,0:39:04.589 아니면 기도하기 전에 0:39:04.589,0:39:07.599 이렇게 말했을 것입니다. "파커, 0:39:07.599,0:39:11.519 우리가 이렇게 해도 되겠나?" 0:39:11.519,0:39:14.349 "우리는 지금 심각하게 굶주려 있는 상태야." 0:39:14.349,0:39:17.679 마커스가 강조한 부분이었죠. 0:39:17.679,0:39:19.769 "'심각하게' 굶주려 있는 상태라고." 0:39:19.769,0:39:22.169 "넌 어차피 오래 살지 못할 거야." 0:39:22.169,0:39:23.499 그건 순교자가 되라는 말과도 같아요 0:39:23.499,0:39:25.749 "우리를 위해서 희생할 수 있겠나?" 0:39:25.749,0:39:29.469 어떻게 생각하나, 파커?" 0:39:29.469,0:39:33.220 그러면 여기서 0:39:33.220,0:39:37.640 학생은 어떻게 생각합니까? 그 선원들의 행동이 도덕적으로 정당화될까요? 파커가 0:39:37.640,0:39:38.220 반쯤 인사불성인 상태에서 0:39:38.220,0:39:40.169 "네."라고 대답했다고 0:39:40.169,0:39:42.499 가정해 봅시다 0:39:42.499,0:39:47.890 저는 그들의 행동이 도덕적으로 정당화될 거라고는 생각하지 않아요. 하지만 제가 궁금한 건... - 어쨌든 그들의 행동이 도덕적으로 옳지 않을 거라는 말이죠? - 네. 0:39:47.890,0:39:50.650 학생은 그들이 파커의 동의를 받았더라도 0:39:50.650,0:39:52.490 살인이 도덕적으로 정당하다고 생각하지 않는 것이죠? 0:39:52.490,0:39:54.569 혹시 캐슬린의 '동의 이론'에 덧붙여 0:39:54.569,0:39:56.369 이야기 하고 싶은 분 있습니까? 0:39:57.200,0:40:01.689 선원들의 행동이 도덕적으로 정당하다고 생각하는 분 있습니까? 정당하다고 생각되면 0:40:01.689,0:40:05.869 손을 들어 주십시오 0:40:05.869,0:40:07.589 재미있군요 0:40:07.589,0:40:09.169 왜 동의가 있었다면 0:40:09.169,0:40:15.889 도덕적으로 차이가 생기는 건가요? 그 이유가 궁금하군요 0:40:15.889,0:40:18.509 전 단지, 만약 파커가 스스로 희생해야겠다는 생각을 하고 0:40:18.509,0:40:20.969 그런 행동이 이루어진 거라면 0:40:20.969,0:40:23.779 그 상황에 한해서는 어떤 식으로든지 0:40:23.779,0:40:25.940 살인이라는 행동도 적절한 것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뿐이에요. 자신의 결정이었다면 0:40:28.359,0:40:30.580 그가 압력을 받았다고는 할 수 없으니까요 0:40:30.580,0:40:32.759 3대 1의 상황이긴 했지만요 0:40:32.759,0:40:34.070 또 파커가 그의 목숨을 내놓고 그 자신을 희생했다면 0:40:34.070,0:40:38.009 그를 존경의 눈빛으로 바라보는 사람도 있을 것이고 0:40:38.009,0:40:42.669 아니면 그의 결정을 탐탁지 않아 하는 사람도 0:40:42.669,0:40:45.449 있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0:40:45.449,0:40:49.099 파커가 희생하겠다는 생각을 스스로 한 것이라면 0:40:49.099,0:40:52.820 그건 도덕적인 신뢰를 얻을 수 있는 것이고 0:40:52.820,0:40:55.359 그렇기 때문에 괜찮다는 말이군요 0:40:55.359,0:40:57.269 아니면 0:40:57.269,0:40:59.789 상황에 따라 '강요에 의한 동의'가 될 수도 있다는 0:40:59.789,0:41:01.469 이야기이기도 하고요 0:41:01.469,0:41:05.279 이야기이기도 하고요 0:41:05.279,0:41:07.349 파커의 동의가 있었다 하더라도 0:41:07.349,0:41:10.979 그들의 살인이 0:41:10.979,0:41:13.420 정당화될 수는 없다고 0:41:13.420,0:41:15.479 생각하는 분 있습니까? 0:41:15.479,0:41:18.089 정당화될 수 없다고 생각하는 분? 좋습니다. 0:41:18.089,0:41:19.539 일어서서 그 이유를 말해 주십시오. 0:41:19.539,0:41:21.260 저는 다른 선원들이 0:41:21.260,0:41:22.319 구조될 거라는 희망을 가지고 0:41:22.319,0:41:26.559 파커를 죽였을 거라고 생각해요 0:41:26.559,0:41:29.250 파커가 죽임을 당한 것에는 분명한 이유는 없는 것 같아요 0:41:29.250,0:41:31.199 남은 선원들이 0:41:31.199,0:41:35.809 언제 구조될 것인지를 모르니까요. 그렇기 때문에 만약 교수님께서 그를 죽였다고 한다면, 그건 아무런 쓸모도 없는 행동이에요. 0:41:35.809,0:41:38.039 교수님이라면 어차피 결국에 사람은 다 죽는 존재이기 때문에 구조될 때까지 0:41:38.039,0:41:40.309 남아 있는 선원들을 계속 죽이고 아무도 없이 홀로 남으실 건가요? 0:41:40.309,0:41:44.199 글쎄요, 그 상황에서 도의상의 논리는 아마도 이게 될 것 같군요 0:41:44.199,0:41:45.829 선원들이 구조될 때까지 0:41:45.829,0:41:50.319 가장 약한 사람부터 하나씩 처리하면서 0:41:50.319,0:41:51.819 버텼다는 것 말입니다 0:41:51.819,0:41:57.679 그리고 이 경우에는 다행히도 선원들이 적어도 셋은 살아있을 때 구조되었습니다 0:41:57.679,0:41:58.880 이제 0:41:58.880,0:42:01.299 파커의 동의가 있었다면 그 살인이 옳은 것이었지에 대한 의견을 들어 보죠. 0:42:01.299,0:42:04.069 학생은 어떻게 생각합니까? 0:42:04.069,0:42:06.329 아니오, 여전히 옳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0:42:06.329,0:42:08.030 그러면 왜 그렇게 생각하는지를 설명해 주십시오 0:42:08.030,0:42:10.029 무엇보다도 카니발리즘(인육(人肉)을 먹는 풍습)은 0:42:10.029,0:42:13.229 도덕적으로 잘못된 행동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0:42:13.229,0:42:14.510 어떤 상황이든지 사람을 먹을 수는 없어요 0:42:14.510,0:42:17.449 말하자면 0:42:17.449,0:42:19.380 카니발리즘은 도덕적으로 용인될 수 없는 행동이고 0:42:19.380,0:42:22.400 따라서 누군가 죽기를 0:42:22.400,0:42:24.569 기다릴 뿐인 상황에서도 0:42:24.569,0:42:27.019 옳지 못한 행동이라는 말이군요 0:42:27.019,0:42:27.930 네. 저는 개인적으로 0:42:27.930,0:42:29.739 이 모든 문제는 0:42:29.739,0:42:31.200 개인의 도덕성에 0:42:31.200,0:42:35.289 달려 있다고 생각해요. 단지 제 의견일 뿐이기 때문에 0:42:35.289,0:42:39.339 물론 반대하는 사람이 있을 수도 있어요 0:42:39.339,0:42:41.499 좋아요. 그럼 반대 의견을 한 번 들어 보죠 0:42:41.499,0:42:42.640 그리고 그 의견이 0:42:42.640,0:42:44.259 학생을 설득할 수 있는지 없는지도 0:42:44.259,0:42:46.229 알아 보겠습니다 0:42:46.229,0:42:48.359 그럼 한 번 해 볼까요? 0:42:48.359,0:42:50.099 한 번 조사해 봅시다 0:42:50.099,0:42:53.249 동의가 있었으면 된다는 분들 중에서 0:42:53.249,0:42:57.909 동의가 있었으면 된다는 분들 중에서 0:42:57.909,0:42:59.779 왜 동의가 0:42:59.779,0:43:02.029 도덕적인 차이를 만들어 내는지 0:43:02.029,0:43:03.359 설명해줄 수 있는 분 있습니까? 0:43:03.359,0:43:05.650 제비뽑기의 경우는 어떤가요? 0:43:05.650,0:43:08.930 과연 제비뽑기도 동의의 경우에 포함되는 것일까요? 처음에 배웠던 것을 떠올려 보십시오 0:43:08.930,0:43:11.309 선장인 두들리가 제비뽑기를 하자고 제안했습니다 0:43:11.309,0:43:13.839 그들이 제비뽑기를 하기로 0:43:13.839,0:43:16.339 동의했다고 합시다 0:43:16.339,0:43:17.369 자, 이제 0:43:17.369,0:43:20.799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0:43:20.799,0:43:23.929 그 결정이 옳은 것이라고 대답할까요? 하급 선원인 파커를 0:43:23.929,0:43:25.380 죽이는 것을 제비뽑기로 결정했다고 합시다 0:43:25.380,0:43:32.380 거기에 이어서 이야기를 해 보죠. 이 경우에는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제비뽑기가 도덕적으로 허용되는 것이라고 말할까요? 0:43:33.199,0:43:37.030 제비뽑기가 들어가니 손을 드는 사람들의 숫자가 늘어나는군요.[br]제비뽑기가 0:43:37.030,0:43:41.609 도덕적인 차이를 만든다는 의견부터 들어봅시다 0:43:41.609,0:43:43.459 왜 그렇게 생각합니까? 0:43:43.459,0:43:44.740 제 생각에 0:43:44.740,0:43:45.719 선원들의 행동이 0:43:45.719,0:43:47.859 범죄인지를 결정하는 본질적인 요소는 0:43:47.859,0:43:53.849 어떤 면에서 그들이 파커의 목숨보다 자신들의 목숨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했는지의 문제인 것 같습니다 0:43:53.849,0:43:56.609 제 말은, 이 논리가 실제로 모든 범죄에 적용될 수 있는 원칙 같은 거라는 말입니다 0:43:56.609,0:43:57.689 이건 제 욕구와도 0:43:57.689,0:44:01.949 같은 것입니다. 제 욕구는 다른 사람들의 것보다 더 중요하고, 제 욕구를 보고 배울 수도 있습니다 0:44:01.949,0:44:04.799 그리고 그 선원들이 누군가가 죽어야만 한다는 것에 0:44:04.799,0:44:06.479 모두 동의하고 제비뽑기를 했다면 0:44:06.479,0:44:09.240 그것은 그들 모두가 나머지를 살리기 위해 0:44:09.240,0:44:11.009 희생한 것과 동일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0:44:11.009,0:44:12.949 그러니까, 도덕적으로 괜찮을 거라는 말이죠? 0:44:12.949,0:44:15.880 잘못된 부분이 좀 있기는 하지만... 0:44:15.880,0:44:18.959 어쨌든 도덕적으로 용인될 수 있다는 말인가요? 네 0:44:18.959,0:44:22.689 이름이 뭔가요? 맷입니다 0:44:22.689,0:44:25.579 그럼 학생에게 있어서 0:44:25.579,0:44:27.329 문제가 되었던 건 카니발리즘 자체가 아니라 0:44:27.329,0:44:31.389 그들이 적법 절차를 밟지 않았다는 것이군요 0:44:31.389,0:44:34.689 아마도요 0:44:34.689,0:44:38.170 그럼 맷의 의견에 동의하는 분들은 0:44:38.170,0:44:40.499 왜 그 관점에서는 0:44:40.499,0:44:41.379 제비뽑기가 도덕적으로 허용되는 0:44:41.379,0:44:43.690 적절한 선택이었는지에 대해서 0:44:43.690,0:44:47.099 좀 더 이야기해 줄 수 있겠네요 0:44:47.099,0:44:50.979 좀 더 이야기해 줄 수 있겠네요 0:44:50.979,0:44:55.569 제가 이해한 바로는 이 모든 문제는 하급 선원인 파커가 0:44:55.569,0:44:56.399 그에게 대체 어떤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0:44:56.399,0:45:00.479 전혀 몰랐다는 것에서 비롯되었다는 것입니다. 심지어는 0:45:00.479,0:45:01.089 원래 제비뽑기는 0:45:01.089,0:45:04.420 그를 희생의 문제에 참여시킬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었는데도 0:45:04.420,0:45:08.170 실제로는 파커를 죽일 것을 정하는 상황일 뿐이었고요. 맞습니다. 그것이 실제 사례에서 일어났던 일입니다 0:45:08.170,0:45:11.900 그렇지만 제비뽑기라는 절차에 모두가 동의했다면 0:45:11.900,0:45:13.540 괜찮다고 생각하는 건가요? 0:45:13.540,0:45:16.419 네. 왜냐하면 모두 누군가 죽을 거라는 사실을 0:45:16.419,0:45:17.080 알고 있었지만 0:45:17.080,0:45:18.879 파커는 그런 이야기가 0:45:18.879,0:45:21.039 오간 사실조차 몰랐고 0:45:21.039,0:45:21.919 아무도 그에게 0:45:21.919,0:45:23.579 "너가 죽을 수도 있다"라고 0:45:23.579,0:45:28.829 말해 주지 않았기 때문이에요. 좋습니다. 이번에는 모두가 제비뽑기에 동의했다고 가정하겠습니다 0:45:28.829,0:45:35.089 그들은 제비뽑기를 했고, 파커가 졌습니다. 그리고 파커는 마음을 바꿨습니다 0:45:35.089,0:45:40.989 교수님께서는 이미 결론을 내리신 것 같은데, 이건 구두 계약과도 비슷한 거예요. 이미 내린 결정을 다시 번복할 수가 없어요. 결과가 이미 나온 거나 마찬가지죠 0:45:40.989,0:45:45.139 다른 사람을 살려야 한다는 이유로 교수님께서 죽어야만 한다는 것을 알았거나 0:45:45.139,0:45:45.999 아니면 다음처럼 0:45:45.999,0:45:47.689 누군가 다른 사람이 죽었다면 0:45:47.689,0:45:51.969 교수님이 그것을 먹을 수 있고, 그렇기 때문에... 0:45:51.969,0:45:57.429 맞습니다. 하지만 그는 이렇게 말할 수도 있었습니다. "나도 알아. 하지만 내가 졌잖아."라고 말이죠 0:45:57.429,0:46:01.939 전 단지 모든 도덕적인 문제는 선원들이 파커와 상의 없이 결정을 내렸고 0:46:01.939,0:46:04.299 가장 끔찍한 사실은 그들 스스로도 0:46:04.299,0:46:08.909 어떤 일이 벌어질 것인지 몰랐다는 것과 관련이 있다고 생각할 뿐이에요. 어떤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알았다면 0:46:08.909,0:46:10.599 아마 좀 더 이해하기 쉬운 0:46:10.599,0:46:13.109 상황이었을 것 같아요 0:46:13.109,0:46:14.510 그렇군요. 좋은 의견이었습니다 0:46:14.510,0:46:17.049 아마 20퍼센트 정도밖에 안 되겠지만 0:46:17.049,0:46:18.709 마커스의 의견에 따라 선원들의 행동이 0:46:18.709,0:46:24.049 도덕적으로 허용되는 것이라고 0:46:24.049,0:46:26.559 생각하는 분들이 있을 겁니다 0:46:26.559,0:46:28.439 그리고 이 사건에서 0:46:28.439,0:46:30.209 정말로 문제가 되는 건 0:46:30.209,0:46:32.839 동의가 부족했다는 것 0:46:32.839,0:46:37.139 다시 말해 공정한 절차에 의한 제비뽑기에 있어서의 동의의 부족 0:46:37.139,0:46:38.589 혹은 0:46:38.589,0:46:39.690 캐슬린의 의견처럼 0:46:39.690,0:46:40.749 죽음의 순간에 0:46:40.749,0:46:42.929 동의가 부족했다고 0:46:42.929,0:46:45.139 말하는 분들이 있을 것입니다 0:46:45.139,0:46:48.319 우리가 여기에 0:46:48.319,0:46:49.020 동의를 덧붙인다면 0:46:49.020,0:46:51.889 더 많은 사람들이 당연히 파커의 희생은 0:46:51.889,0:46:54.529 도덕적으로 정당화되는 것이라고 할 겁니다 0:46:54.529,0:46:56.640 마지막으로 0:46:56.640,0:46:58.549 동의 0:46:58.549,0:47:00.199 제비뽑기 0:47:00.199,0:47:01.899 그리고 0:47:01.899,0:47:02.520 최후의 순간에 0:47:02.520,0:47:04.579 파커가 암묵적인 0:47:04.579,0:47:06.950 동의를 했더라도 0:47:06.950,0:47:08.019 여전히 0:47:08.019,0:47:09.180 잘못되었다고 0:47:09.180,0:47:10.839 생각하는 분의 의견을 0:47:10.839,0:47:12.640 들어 보죠 0:47:12.640,0:47:14.249 왜 잘못된 행동이라고 생각합니까? 0:47:14.249,0:47:16.999 그 의견을 듣고 싶네요 0:47:16.999,0:47:18.819 저는 정언적 도덕 추론에 동의하는 입장에서 0:47:18.819,0:47:22.639 제비뽑기라는 아이디어도 0:47:22.639,0:47:25.569 괜찮을 것이라는 0:47:25.569,0:47:29.609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하고, 그리고 제비뽑기에서 진 사람이 0:47:29.609,0:47:31.440 스스로 죽은 거라면 0:47:31.440,0:47:32.749 스스로 죽은 거라면 0:47:33.680,0:47:37.359 살인이라는 행위는 없었던 것입니다. 하지만 여전히 어떤 방법이든지 0:47:37.359,0:47:42.279 강요에 의한 것이라고 봅니다. 또 저는 0:47:42.279,0:47:43.339 두들리가 일기에 0:47:43.339,0:47:44.909 "우리는 아침을 먹고 있었습니다."라고 쓴 것으로 보아 0:47:44.909,0:47:47.659 그들이 잘못을 뉘우치고 있다고는 생각하지 않습니다 0:47:47.659,0:47:51.440 이건 마치 그가 다른 사람의 생명에 어떠한 가치도 두지 않고 있다는 것을 보여 줄 뿐인 것 같고요 0:47:51.440,0:47:53.639 그의 행동을 보면 제가 정언적 도덕 원칙을 0:47:53.639,0:47:57.969 따라야 할 것만 같습니다. 그가 잘못을 뉘우치지 않았고 나쁜 행동만 했기 때문에 0:47:57.969,0:48:02.299 학생은 그에게 책이라도 집어던지고 싶은 기분이군요. 네 0:48:02.299,0:48:06.969 그렇군요. 좋습니다. 동의가 있었는지 여부와는 상관 없이 0:48:06.969,0:48:08.769 선원들의 행위는 0:48:08.769,0:48:13.269 절대적으로 잘못되었다고 생각하는 다른 분 있습니까? 네. 일어나서 말씀해 주십시오. 왜 그렇게 생각합니까? 0:48:13.269,0:48:17.289 저는 의심할 여지 없이 이 사회에서는 살인은 살인이라고 받아들여진다고 생각합니다 0:48:17.289,0:48:21.829 살인은 그것이 어떤 방식이었든 살인일 뿐이고, 우리 사회는 모든 살인을 동급으로 취급합니다 0:48:21.829,0:48:24.780 따라서 어떤 경우에도 예외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좋습니다. 제가 질문을 하나 해 보겠습니다 0:48:24.780,0:48:27.119 세 명의 목숨이 한 명에게 0:48:27.119,0:48:30.489 달려 있는 상태였습니다 0:48:30.489,0:48:33.029 나머지 한 명인 하급 선원 파커에게는 가족도 0:48:33.029,0:48:34.509 돌봐야 할 사람도 없었습니다 0:48:34.509,0:48:38.739 하지만 나머지 세 명에게는 영국에 돌아갈 가족이 있었습니다 0:48:38.739,0:48:41.419 먹여살려야 할 아내와 아이들이 있었죠 0:48:41.419,0:48:43.329 벤담에 대해 다시 생각해 봅시다 0:48:43.329,0:48:44.989 벤담은 0:48:44.989,0:48:48.049 복리, 공공의 이익, 모든 사람의 행복 등을 0:48:48.049,0:48:51.289 생각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이 모든 것을 고려해보면 0:48:51.289,0:48:54.640 단순히 3대 1이라는 숫자가 아닙니다 0:48:54.640,0:48:58.759 집에 있는 가족들의 숫자까지 더해야 합니다 0:48:58.759,0:49:00.910 사실, 당시 런던의 신문과 여론은 0:49:00.910,0:49:04.249 두들리와 스티븐스를 0:49:04.249,0:49:05.479 옹호하는 입장이었습니다 0:49:05.479,0:49:07.920 또한 신문에서는 0:49:07.920,0:49:08.280 만약 이 두 사람이 0:49:09.640,0:49:13.489 걱정하고 염려하지 않았다면 그러한 행동을 0:49:13.489,0:49:15.969 하지 않았을 거라고 했습니다. 네, 그런 급박한 상황이라면 0:49:15.969,0:49:17.369 그들의 가족을 먹여살리고자 하는 사람은 0:49:17.369,0:49:21.109 누구나 다를 바 없이 같은 행동을 할 것입니다. 하지만 저는 어떤 경우에든지 0:49:21.109,0:49:25.280 예를 들어 제가 신분 상승을 위해서 교수님을 죽이게 되었다면 그것 또한 살인입니다. 그리고 0:49:25.280,0:49:28.430 동일한 경우라면 우리는 어떤 행동을 0:49:28.430,0:49:30.279 범죄로 규정하고 0:49:30.279,0:49:33.760 특정 행위를 좀 더 폭력적이고 끔찍한 행위로 보기보다 0:49:33.760,0:49:36.760 모두 같은 선상에 놓고 봐야만 한다고 생각합니다. 모두 가족을 먹여살리기 위해서 불가피하게 0:49:36.760,0:49:40.150 살인을 하게 되었다는 생각 하에서 이루어진 동일한 행위이기 때문입니다. 0:49:40.150,0:49:43.029 사람이 3명이 아니라 30명 0:49:43.029,0:49:44.609 아니, 300명이라고 가정해 봅시다 0:49:44.609,0:49:47.359 300명의 목숨의 한 사람의 생명에 달려 있습니다 0:49:47.359,0:49:48.350 아니면 숫자를 더 늘려 0:49:48.350,0:49:49.590 3천 명이라고 해 봅시다 0:49:49.590,0:49:51.040 3천 명 이상이 될 수도 있습니다 0:49:51.040,0:49:52.779 아무리 숫자가 커진다고 해도 0:49:52.779,0:49:54.609 다 같은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0:49:54.609,0:49:58.109 학생은 전체의 행복을 더 크게 해야 한다는 0:49:58.109,0:49:58.929 벤담의 주장이 0:49:58.929,0:50:02.479 잘못되었다고 생각합니까? 그가 틀렸다고 생각하는 건가요? 0:50:02.479,0:50:06.729 벤담이 틀렸다는 것은 아니지만, 어떤 경우든 살인은 살인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렇다면 벤담이 확실히 틀린 것이 맞네요 0:50:06.729,0:50:09.569 학생이 맞다면, 벤담이 잘못 생각한 것이죠. 네, 그가 틀렸다고 생각합니다 0:50:09.569,0:50:12.819 그래요. 감사합니다. 좋은 의견이었습니다 0:50:12.819,0:50:14.359 좋습니다. 자, 이제 0:50:14.359,0:50:16.390 토론으로 다시 돌아가서 0:50:16.390,0:50:19.729 선원들의 행동에 대한 0:50:19.729,0:50:23.259 얼마나 많은 반대 의견이 있었는지 확인해 봅시다 0:50:23.259,0:50:26.049 우리는 그들을 옹호하는 몇 분의 의견도 들어 보았습니다 0:50:26.049,0:50:28.509 옹호하는 입장은 0:50:28.509,0:50:28.919 불가피성 0:50:28.919,0:50:32.589 그들이 처했던 대단히 어려운 상황 0:50:32.589,0:50:33.410 아니면 적어도 숫자가 중요하다는 생각과 0:50:33.410,0:50:36.019 관련이 있습니다 0:50:36.019,0:50:37.859 여기서 중요한 것은 단순히 숫자가 아니라 0:50:37.859,0:50:40.380 파급 효과입니다 0:50:40.380,0:50:43.459 선원들에게는 돌아갈 집, 그리고 부양해야 하는 가족들이 있었습니다 0:50:43.459,0:50:44.769 파커는 고아였기 때문에 0:50:44.769,0:50:47.979 그를 보고 싶어 하는 사람은 그 누구도 없었을 것입니다 0:50:47.979,0:50:49.579 그렇기 때문에 0:50:49.579,0:50:50.829 여러분이 평화로운 행복의 상태와 0:50:50.829,0:50:52.649 고통을 계산해 보면 0:50:52.649,0:50:53.999 그들의 살인과 같은 행동이 0:50:53.999,0:50:56.599 정당한 것이었다고 0:50:56.599,0:50:58.839 말할 수 있는 경우가 0:50:58.839,0:51:02.769 생길 수도 있습니다 0:51:02.769,0:51:09.469 또한 우리는 세 가지 유형의 각기 다른 반대 의견을 들었습니다 0:51:09.469,0:51:11.690 그 반대 의견은 0:51:11.690,0:51:14.109 그들의 행동이 절대적으로 잘못되었다는 내용이었습니다 0:51:14.109,0:51:15.750 여기 이 마지막 학생의 의견처럼 0:51:15.750,0:51:17.389 단연코 잘못된 행동이었다는 이야기였습니다 0:51:17.389,0:51:19.820 살인은 살인이며, 그것은 항상 잘못된 행동이다 0:51:19.820,0:51:20.969 설사 살인이라는 행위가 0:51:20.969,0:51:23.349 사회 전체의 행복을 0:51:23.349,0:51:25.639 증가시킨다고 해도 0:51:25.639,0:51:28.499 그것은 잘못된 행동이라는 강력한 반대 주장입니다 0:51:28.499,0:51:30.739 하지만 왜 0:51:30.739,0:51:32.749 '살인은 절대적으로 잘못된 행동'인지를 0:51:32.749,0:51:35.449 알아봐야 합니다 0:51:35.449,0:51:38.579 파커가 어떤 기본적인 권리를 0:51:38.579,0:51:42.339 가지고 있었기 때문일까요? 0:51:42.339,0:51:44.400 만약 그것이 이유라면 0:51:44.400,0:51:47.880 그 권리는 과연 어디로부터 발생하는 것일까요? 0:51:47.880,0:51:53.209 더 많은 혜택 혹은 공공의 이익, 행복으로부터 나오는 것이 아니라면요.[br]첫 번째 질문입니다 0:51:53.209,0:51:56.309 어떤 사람들은 0:51:56.309,0:51:58.449 맷이 말한 '공정한 절차'에 의해서라면 0:51:58.449,0:52:00.039 제비뽑기를 하는 것이 0:52:00.039,0:52:05.949 차이점을 만든다고 생각합니다 0:52:05.949,0:52:08.769 그리고 그 의견에 동요하는 사람들도 있을 것입니다 0:52:08.769,0:52:12.189 이것은 정확히 말해 '절대적 부정'이 아닙니다 0:52:12.189,0:52:13.829 결국 가장 중요한 것은 0:52:13.829,0:52:16.799 누군가 전체의 이익을 위하여 0:52:16.799,0:52:18.469 희생될 수도 있다는 것임에도 0:52:18.469,0:52:20.769 모든 사람들은 반드시 동등하게 취급되어야 한다고 0:52:20.769,0:52:23.289 말하는 것과도 같습니다 0:52:23.289,0:52:26.059 이 주장은 우리에게 또 다른 의문점을 남깁니다 0:52:26.059,0:52:29.670 왜 어떤 절차에 의해 0:52:29.670,0:52:31.969 특히 '공정한 절차'에 의해 이루어진 동의는 0:52:31.969,0:52:34.739 그 절차에 의해 어떠한 결과가 나오더라도 0:52:34.739,0:52:38.089 정당화되는 것입니까? 0:52:38.089,0:52:39.899 이것이 두 번째 질문입니다 0:52:39.899,0:52:42.399 세 번째 질문은 0:52:42.399,0:52:45.339 동의의 기본적인 개념에 관한 것입니다 0:52:45.339,0:52:48.529 캐슬린이 이야기했던 내용입니다 0:52:48.529,0:52:52.719 만약 파커가 협박에 의하지 않고 0:52:52.719,0:52:54.499 그 스스로 동의를 한 것이라면 0:52:54.499,0:52:57.069 나머지 사람들을 살리기 위해 0:52:57.069,0:53:01.919 그의 목숨을 희생하는 것이 괜찮을 것이라고 했습니다 0:53:01.919,0:53:04.900 특히나 더 많은 수의 사람들이 이 생각에 동의했다면요 0:53:04.900,0:53:06.630 하지만 이 주장은 0:53:06.630,0:53:08.529 철학적인 세 번째 질문을 불러일으킵니다 0:53:08.529,0:53:11.009 '동의는 도덕적으로 0:53:11.009,0:53:12.839 어떤 작용을 하는가?' 0:53:12.839,0:53:14.439 어떤 작용을 하는가?' 0:53:14.439,0:53:16.979 동의라는 행동은 왜 0:53:16.979,0:53:19.189 도덕적인 차이를 만드는가? 0:53:19.189,0:53:23.819 동의가 없다면 잘못된 행동일 타인의 생명을 빼앗는 행위가 0:53:23.819,0:53:25.370 왜 동의에 의한 것이면 0:53:25.370,0:53:26.359 도덕적으로 0:53:26.359,0:53:29.619 허용이 되는 것인가? 0:53:29.619,0:53:31.699 이 세 가지 질문에 대해 더 알아보기 위해서 0:53:31.699,0:53:34.109 철학 서적을 몇 권 읽어 보려고 합니다 0:53:34.109,0:53:35.729 다음 시간부터는 0:53:35.729,0:53:36.940 공리주의 철학자인 0:53:36.940,0:53:37.720 벤담 0:53:37.720,0:53:43.799 그리고 존 스튜어트 밀의 책으로 공부할 예정입니다 (자막작업: 김수연) 0:53:43.799,0:53:47.299 〈정의란 무엇인가?〉를 읽은 다른 독자들과 함께 토론할 기회를 놓치지 마십시오 0:53:43.799,0:53:47.299 대화에 같이 참여하고 0:53:49.869,0:53:56.869 퀴즈도 풀어 보십시오. 여러분이 놓친 강의가 있다면 다시 보고 더 많은 것을 배우세요. JusticeHarvard.org로 방문하시면 됩니다. 이것이야말로 해야 할 일입니다. 0:54:36.219,0:54:40.269 이 프로그램의 제작 지원처는 다음과 같습니다 0:54:40.269,0:54:41.679 추가 지원은 다음 단체로부터 받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