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BVTT 00:00:00.198 --> 00:00:03.563 연필을 쓸 때 들리는 특유의 소리가 큰 부분을 차지해요. 00:00:03.588 --> 00:00:07.064 사각거리는 소리가 아주 잘 들리죠. NOTE Paragraph 00:00:07.088 --> 00:00:09.290 (사각사각) NOTE Paragraph 00:00:10.286 --> 00:00:11.546 [사소한 것에 담긴] 00:00:11.546 --> 00:00:12.806 [위대한 아이디어] NOTE Paragraph 00:00:13.985 --> 00:00:16.313 [캐롤라인 위버가 들려주는 연필 이야기] NOTE Paragraph 00:00:16.556 --> 00:00:18.926 연필은 매우 단순한 물건입니다. 00:00:18.950 --> 00:00:21.435 여러 겹 칠한 나무와 00:00:21.459 --> 00:00:22.975 지우개와 심지로 만들어졌습니다. 00:00:22.999 --> 00:00:25.395 연필심은 흑연과 점토, 물로 이루어졌어요. 00:00:25.419 --> 00:00:27.951 디자인이 완성되기까지 수 세기에 걸친 00:00:27.975 --> 00:00:29.651 수백 명의 노력이 있었어요. 00:00:29.675 --> 00:00:32.956 오랜 협업의 역사가 00:00:32.980 --> 00:00:35.638 현재의 완벽한 연필을 만들었다고 생각합니다. NOTE Paragraph 00:00:36.075 --> 00:00:38.349 연필의 역사는 흑연에서 시작합니다. 00:00:38.373 --> 00:00:41.290 사람들은 이 새로운 광물을 유용하게 활용할 방법을 00:00:41.314 --> 00:00:42.925 발견하기 시작했습니다. 00:00:42.949 --> 00:00:45.107 그들은 흑연을 작은 막대 형태로 잘라 00:00:45.131 --> 00:00:47.599 끈, 양피 또는 종이로 말아 00:00:47.623 --> 00:00:49.617 런던 거리에서 팔았습니다. 00:00:49.641 --> 00:00:51.797 글을 쓰고 그림을 그리는 용도였어요. 00:00:51.821 --> 00:00:54.313 많은 경우, 농부와 목동이 자기 가축을 표시하는 데 00:00:54.337 --> 00:00:55.996 흑연을 썼습니다. 00:00:56.020 --> 00:00:57.263 프랑스에서는 00:00:57.287 --> 00:01:01.441 니콜라스 자크 콩테가 흑연을 분쇄해서 00:01:01.465 --> 00:01:04.584 분말 점토와 물과 섞어 반죽을 만드는 방법을 개발했습니다. 00:01:04.608 --> 00:01:07.777 틀에 반죽을 부어 가마에서 구웠고, 00:01:07.801 --> 00:01:10.751 그 결과, 아주 단단한 흑연심이 탄생했습니다. 00:01:10.775 --> 00:01:13.894 부러지지 않지만 부드럽고, 쓸 만한 심이었어요. 00:01:13.918 --> 00:01:17.014 당시 존재했던 어떤 필기구보다 우수했습니다. 00:01:17.038 --> 00:01:20.848 그 때 완성된 제조법을 오늘날까지 여전히 사용합니다. NOTE Paragraph 00:01:21.461 --> 00:01:24.588 한편 미국에서는, 매사추세츠 콩코드에 사는 00:01:24.612 --> 00:01:27.660 헨리 데이비드 소로가 연필의 경도에 따른 등급을 00:01:27.684 --> 00:01:29.770 만들었습니다. 00:01:29.794 --> 00:01:31.717 등급은 1에서부터 4까지로, 00:01:31.741 --> 00:01:35.392 일반적인 사용에 가장 적합한 것은 2등급이었습니다. 00:01:35.416 --> 00:01:37.966 연필심이 무를수록 흑연의 비율이 높아서, 00:01:37.990 --> 00:01:40.355 선이 더 진하고 부드럽습니다. 00:01:41.495 --> 00:01:43.782 심이 딱딱할수록 점토의 비율이 높아서 00:01:43.806 --> 00:01:45.816 더 연하고 세밀한 선을 그릴 수 있습니다. NOTE Paragraph 00:01:46.607 --> 00:01:49.774 연필을 수제작했던 초기의 연필 모양은 둥글었습니다. 00:01:49.798 --> 00:01:51.472 연필을 만드는 방법은 어려웠는데 00:01:51.496 --> 00:01:54.758 미국인들이 그 공정을 기계화했습니다. 00:01:54.782 --> 00:01:56.728 많은 이들이 조셉 딕슨을 00:01:56.752 --> 00:02:00.440 연필 만드는 기계를 최초로 발명한 사람 중 하나로 여깁니다. 00:02:00.464 --> 00:02:04.371 기계가 나무 판자를 자르고 홈을 파서, 00:02:04.395 --> 00:02:05.604 접착제를 발랐습니다. 00:02:05.628 --> 00:02:08.439 그 과정에서 사람들은 육각형 연필이 더 만들기 쉽고 00:02:08.463 --> 00:02:10.091 낭비도 적다는 걸 알게 되었습니다. 00:02:10.115 --> 00:02:11.973 그래서 육각형이 표준 모양이 되었습니다. NOTE Paragraph 00:02:12.558 --> 00:02:14.121 연필이 등장한 초기부터, 00:02:14.145 --> 00:02:16.210 사람들은 연필이 지워진다는 점을 매우 좋아했습니다. 00:02:17.942 --> 00:02:21.630 초기에는 빵가루로 연필 자국을 지웠습니다. 00:02:21.641 --> 00:02:23.210 그 후에 고무와 부석이 등장했죠. 00:02:23.675 --> 00:02:26.967 지우개가 달린 연필이 처음 등장한 때는 1858년으로 00:02:26.991 --> 00:02:29.572 미국의 문구점 주인이었던 하이멘 리프만이 00:02:29.572 --> 00:02:32.354 지우개가 달린 연필로 특허를 냈습니다. 00:02:32.378 --> 00:02:34.250 이를 계기로 연필의 판도가 바뀌었습니다. 00:02:34.965 --> 00:02:38.359 세계 최초의 노란 연필은 코이누어 1500입니다. 00:02:38.383 --> 00:02:42.828 코이누어는 연필에 노랑 페인트를 14번이나 입히고 00:02:42.849 --> 00:02:44.782 끝을 14캐럿 금에 담그는 미친 짓을 했습니다. NOTE Paragraph 00:02:45.442 --> 00:02:47.016 누구나 연필을 갖고 있습니다. 00:02:47.040 --> 00:02:49.447 그리고 모든 연필에는 각자의 이야기가 있습니다. 00:02:50.046 --> 00:02:54.425 블랙윙 602는 많은 작가들이 사랑한 연필로 유명합니다. 00:02:54.449 --> 00:02:57.409 그 중에는 존 스타인벡과 블라디미르 나바코브도 있습니다. 00:02:57.433 --> 00:03:00.037 딕슨 연필 회사도 빼놓을 수 없죠. 00:03:00.061 --> 00:03:02.998 딕슨 티콘데로가 연필을 만든 회사입니다. 00:03:03.022 --> 00:03:04.173 연필의 아이콘이죠. 00:03:04.197 --> 00:03:06.724 우리가 연필 생각을 하거나 학교를 생각할 때 00:03:06.748 --> 00:03:09.171 떠올리는 연필이지요. 00:03:09.195 --> 00:03:11.409 연필은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00:03:11.433 --> 00:03:13.910 어떻게 만들어지고, 왜 이런 형태로 만드는지 00:03:13.934 --> 00:03:16.079 딱히 생각해보지 않는 물건입니다. 00:03:16.103 --> 00:03:18.047 늘 이런 모양이었으니까요. NOTE Paragraph 00:03:19.050 --> 00:03:21.284 제 생각에는 연필을 이보다 더 00:03:21.308 --> 00:03:23.172 잘 만들 수는 없을 것 같아요. 00:03:24.267 --> 00:03:25.417 연필은 완벽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