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rsula von Rydingsvard: "오나"] [기계 소리] [폴릭 탈릭스 미술 주조 공장, 락 태번, 뉴욕] 색상의 폭넓은 변화를 확인하고 싶어요 색상의 다양한 변화를요. [Von Rydingsvard] 그래서 이런 변화를 줬죠. [Philip Castore] 네, 그렇네요. 좋아 보여요. [Von Rydingsvard] 이렇게도 해봤어요. 좀 과장을 했죠. [Castore] 좋아요. [Von Rydingsvard] 당신이 만든 균열된 선이 가장 멋져 보여요. 정말 그래요. [Philip Castore, 파티나 예술가] [Castore] 두고 봐야죠! [Von Rydingsvard] 한번 지켜봅시다. 어떤 게 좋을 지 고민 중이에요! 대형 코르틴 철강 건물 옆에 세워야 하니까요. 바클레이즈 센터의 "오나"는 청동으로 만든 작품 중 최대였어요. 그 정도 규모는 처음이에요. "오나"는 폴란드어로 '그녀의' 또는 '그녀'를 뜻하는데 저 조각을 볼 때마다 왠지 여성스러움이 느껴져요. 작품명이 간단한데, 작품의 외형과 어울리는 이름인 것 같아요. 놀랍게도 다양한 색을 사용해봤어요. 저는 색을 싫어하거든요. 색을 잘 쓸 줄 모르죠. 왠지 거슬리거든요. 그래서 파티나에 색을 입히며 놀랬죠. 어떻게 될 지 몰랐고 작업 과정 내내 고민했어요. "까만 색을 썼어야 했어!" 그런데 바클레이 센터는 금속 느낌이 강합니다. 녹슨 코르틴 강철이죠. 전 뭔가 가볍고 밝은 게 필요했어요. [Castore] 가열하면 청동의 틈새로 화학물질이 스며들죠. 습식법이나 건식법 모두 가능하죠. 모습이 달라져요. [Von Rydingsvard] 나무가 곡예를 하고 있죠. 여기 저기 비틀어서 모양을 잡았어요. 상상하기 힘든 모양으로 말이죠. 금속으로는 불가능했을 겁니다. 금속은 마음대로 모양을 잡을 수 없어 답답하죠. 나무의 장점은 세부적인 묘사가 가능하다는 거죠. 작업할 수 있는 심리적인 토대를 마련해주고 세부적인 표현을 가능케 하죠. 나무 느낌을 살리려고 하는 건 아니고요, 금속 느낌을 주려고요. 그렇게 될 겁니다. 금속으로 보이게 하고 싶어요. 시간이 지나면 청동의 경우 파티나 느낌이 살아나죠. 그리고 독특한 모습으로 자리를 잡게 돼요. 이 조각들은 거대해요. 비계를 이용해야 하죠. 실은 인생의 1/3을 비계 위에서 보내죠. 늘 긴박감이 있어요. 몇 년 안 남았으니까요. 혹자는 나이 들면 인생이 편해진다고 하지만 그렇지 않아요. 가장 큰 소망은 더 큰 용기와 자신에 대한 더 큰 믿음과 더 큰 신념을 갖는 거죠. 전에 하지 못했던 일들을 할 수 있게요. 이런 재능이 있어 큰 행운이죠. 지능이 있기에 작업을 할 수 있죠. 브루클린에서 34년째 일하고 있어요. 제 분신이 이 곳에 있어 기쁘답니다. 물론 박물관 전시품은 아니죠. 누구나 다가올 수 있게 하고 싶었어요. 심리적으로 끌리게요. 물리적으로도 말이죠. 이 둘의 영향이 모두 필요하죠. 어쩌면, 이 작품을 만지게 되면 손으로도 뭔가를 볼 수 있을 것 같아요. 사람들에게 예술을 보여줄 수 있어 너무 기쁩니다. 물론, 원한다면 말이죠. 강요하고 싶지는 않아요. 그냥 나누고 싶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