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친구 카바 아크바는 동료 시인입니다. 카바는 인터넷에서 사진 한 장을 발견했는데요. 흰긴수염고래의 해부된 심장 사진이었습니다. 과학자들이 그걸 천장에 매달아 두었는데 사람이 안에 들어가 설 수 있을 정도로 심장이 거대하다는 것을 과학자들이 이를 통해 관찰할 수 있었죠. 카바는 인터넷에 이 사진을 공유하고는 밑에 이런 글을 달았습니다. "이 사진이 말해주는 것은 여러분이 쓰려 했던 시를 우주가 벌써 써두었다는 사실입니다." 처음에 그걸 봤을 땐 충격받았습니다. 제 반응은 "이봐, 난 새로운 은유를 찾으러 노력 중이었다고! 아직 발견 안 된 아름다움을 찾으려 노력 중이었다고. 우주는 항상 나보다 앞서 있다니, 무슨 말이야?" 이게 시에만 관련된 문제는 아니란 걸 알지만 어느 날 이 세상이 이상하게 크게 느껴지거나 혹은 불가능하다고 느껴지거나 거대함으로 가득 차 있다고 느껴지면 이렇게 느끼는 날일 겁니다. "이 모든 것에 기여하기 위해 내가 할 수 있는 것이 있을까?" 최근에 여러분 중 몇몇은 이미 보셨을 수도 있는 영상을 봤습니다. 이 영상은 몇 달간 인터넷에 떠돌았습니다. 찌르레기라 불리는 새가 있는데 “찌르레기 떼”라 불리는 새로 이루어진 거대한 구름 형태로 날아다닙니다. 누군가가 이 찌르레기 떼들이 날아다니는 것을 발견하고 핸드폰으로 급히 찍은 것이죠. 처음에는 형태 없는 덩어리였다가 새들이 방향을 바꾸는 때에 찌르레기 떼를 이루었습니다. 하늘에서요! (웃음) 그걸 보자마자 느꼈습니다. (숨막히듯) "우주는 사람들이 쓰려고 한 시를 이미 썼구나!" (웃음) 하지만 이번엔 처음으로 절망감을 느끼지 않았습니다. 대신 제가 느낀 것은.. “좋아. 새로운 걸 발명하는 건 내 일이 아닐지도 몰라. 대신 내 일은 아마 우주가 내게 보여주는 걸 듣고 우주가 주는 것을 열린 마음으로 받아들이고 내 차례가 오면 무언가를 빛에 비춰볼거야. 잠시 동안이든. 가능한 오래든.” 우주는 여러분이 쓰려고 생각한 시를 이미 썼습니다. 바로 그렇기 때문에 여러분은 찌르레기 떼를 가리키는 것 말고는 할 수 있는 게 없죠. 본능적인 안무로 오르락 내리락하고 거대한 커튼인 하늘에 모여 그 맹렬한 순간 동안 한 치의 실수 없이 거대한 새의 형상을 만듭니다. 하늘로 날개짓하는 새처럼 말이죠. 여러분의 입 모양이 “오” 모양으로 되는 이유는 숨이 막혀서가 아니라 오히랴 이 말을 하려는 것이죠. “오. 그래 당연하지.” 마치 흰긴수염고래의 심장이 사람이 안에 들어가 설 수 있는 방들이 있는 거대한 집처럼 큰 것 처럼요. 물론 무화과는 열매를 맺습니다. 암컷 말벌이 꽃 속에 알을 낳은 후 죽고 시체가 썩어가면 맺어지는 그 열매는 말벌이 변한 증거입니다. 가끔 시라는 건 아주 성숙하기에 성숙하지 않은 언어는 안 맞을 겁니다. 가끔 시는 정말 진실하기에 아무도 당신을 믿지 않을 것입니다. 저는 한 마리의 새이고 새들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 푸른 심장은 당신이 안에 들어가 설 수 있는 집입니다. 저는 죽어갑니다. 이곳에서 이 꽃 안에서. 하지만 괜찮습니다. 그게 여기서 제가 할 일이기 때문입니다. 이 열매를 받으세요. 이게 제가 드려야 할 것입니다. 이게 첫 번째이거나 최고는 아닐지라도 이것이 제가 살았다고 확신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입니다. (박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