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BVTT 00:00:02.760 --> 00:00:08.540 인터넷 | 유선, 케이블과 와이파이 00:00:09.640 --> 00:00:12.780 안녕하세요, 저는 테스 윈록이에요. Google에서 일하는 소프트웨어 엔지니어죠. 00:00:12.780 --> 00:00:17.740 여기 질문이 있어요. 사진, 텍스트 메시지, 이메일은 어떻게 이쪽 기기에서 저쪽 기기로 00:00:17.740 --> 00:00:25.050 전송되는 걸까요? 인터넷이 가능하게 만들죠. 인터넷은 정보를 이동하게 하는 물리적 시스템이에요. 00:00:25.050 --> 00:00:29.660 인터넷은 우편 서비스와 무척 흡사하지만, 전송되는 것은 살짝 다르죠. 00:00:29.660 --> 00:00:36.910 인터넷은 상자나 봉투 대신에 바이너리 정보를 전송합니다. 00:00:36.910 --> 00:00:41.360 정보는 비트로 이루어져 있죠. 비트는 서로 반대되는 것의 한 쌍으로 정의됩니다. 00:00:41.360 --> 00:00:48.400 on 또는 off, 예 또는 아니요 처럼요. 보통 1은 on이고 0은 off에요. 00:00:48.400 --> 00:00:56.150 비트에는 2개의 상태가 있으므로, 이진 코드라고 부르죠. 8비트가 모이면 1바이트가 되요. 00:00:56.150 --> 00:01:00.720 1000바이트는 킬로바이트이고, 1000킬로바이트는 1메가바이트이죠. 00:01:00.720 --> 00:01:07.940 노래는 보통 3-4MB로 인코딩되어요. 사진이든, 비디오이든, 노래이든 00:01:07.940 --> 00:01:12.860 인터넷의 모든 것은 비트로 나타나고 전송되죠. 이것은 정보의 원자입니다. 00:01:12.860 --> 00:01:18.180 하지만 1과 0을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보내는 것과는 다르죠. 00:01:18.180 --> 00:01:22.200 그러면 실제 유무선으로 보내지는 물리적인 것은 무엇일까요? 00:01:22.200 --> 00:01:26.970 조그만 예를 살펴볼까요. 어떻게 인간은 한 곳에서 다른 곳으로 조그만 정보를 00:01:26.970 --> 00:01:30.750 보낼 수 있는 걸까요. 우리가 1에 대해서는 불을 켜고 00:01:30.750 --> 00:01:36.590 0에 대해서는 불을 끈다고 해보죠. 아니면 삐 소리나 모르스 부호도 좋고요. 00:01:36.590 --> 00:01:42.000 이 방법도 괜찮지만 매우 느리고, 오류도 많고, 전적으로 인간에게 의존합니다. 00:01:42.000 --> 00:01:46.610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기계입니다. 역사를 통틀어, 인간은 이 이진 정보를 00:01:46.610 --> 00:01:51.210 보낼 수 있는 시스템을 많이 만들었어요. 다양한 종류와 매개체를 통해서요. 00:01:51.210 --> 00:02:00.250 오늘날, 우리는 전기, 빛과 라디오 주파수로 비트를 전송합니다. 전기로 비트를 전송하려면, 00:02:00.250 --> 00:02:04.799 구리선으로 연결된 2개의 전구를 상상해 보세요. 한쪽 장치의 오퍼레이터가 전기를 켜면 00:02:04.799 --> 00:02:09.280 전구의 불이 켜집니다. 전기가 없으면, 불도 안켜지죠. 양쪽의 오퍼레이터가 00:02:09.280 --> 00:02:14.139 불을 켜면 1이고 끄면 0이라고 합의합니다. 그러면 우리는 전기를 사용하여 00:02:14.139 --> 00:02:19.599 한 사람에게서 다른 사람에게로 정보를 보낼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든 것입니다. 00:02:19.599 --> 00:02:24.999 그러나 조그만 문제가 있어요. 만약 0을 5번 연달아 보내야 한다면, 00:02:24.999 --> 00:02:29.989 어떻게 보내야 하고 양쪽의 사람은 0의 수를 어떻게 셀 수 있을까요? 00:02:29.989 --> 00:02:34.599 해결 방법은 시계나 타이머를 사용하는 겁니다. 오퍼레이터들은 보내는 사람이 초당 1비트를 보내고 00:02:34.600 --> 00:02:38.769 받는 사람은 앉아서 매초를 기록하고 라인을 읽기로 합의할 수 있습니다. 00:02:38.769 --> 00:02:43.980 0을 연달아 5번 보내려면, 불을 끈 다음 00:02:43.980 --> 00:02:48.200 5초를 기다리면, 다른 쪽 사람이 5초를 기록하겠죠. 00:02:48.200 --> 00:02:53.909 1을 연달아 5번 보내려면, 불을 켠 다음 5초를 기다리고, 매 초를 기록하면 되죠. 00:02:53.909 --> 00:02:57.629 분명 우리는 초당 1비트보다 좀 더 빠른 걸 원할 겁니다. 그래서, 대역폭을 늘려야겠죠. 00:02:57.629 --> 00:03:04.260 대역폭이란 장치의 최대 전송량입니다. 대역폭은 비트 전송률로 측정됩니다. 00:03:04.260 --> 00:03:08.840 비트 전송률은 보통 1초의 시간 동안 보낼 수 있는 비트의 수를 말합니다. 00:03:08.840 --> 00:03:13.980 속도의 다른 측정 방법은 지연 속도입니다. 이것은 한 곳에서 다른 곳으로, 소스에서 요청 장치로 00:03:13.980 --> 00:03:21.739 1비트가 이동하는 데 걸리는 시간의 양을 말합니다. 00:03:21.739 --> 00:03:26.559 인간의 유추 능력으로 볼 때, 초당 1비트면 무척 빠른 겁니다. 하지만, 사람이 따라가기 힘들겠죠. 00:03:26.559 --> 00:03:31.419 예를 들어, 3MB 짜리 노래를 3초에 다운로드하고 싶어한다고 해보죠. 00:03:31.419 --> 00:03:37.079 이것은 메가바이트 당 8백만 비트이고 즉, 비트 전송률이 초당 8백만 비트라는 얘기죠. 00:03:37.079 --> 00:03:40.949 인간이 초당 8백만 비트를 보내거나 받을 수는 없습니다. 하지만 기계는 충분히 가능하죠. 00:03:40.949 --> 00:03:45.370 하지만 어떤 종류의 케이블로 메시지를 보내고 신호는 얼마나 00:03:45.370 --> 00:03:50.059 멀리 갈 수 있을까요. 집, 사무실, 학교에서 흔히 볼 수 있는 00:03:50.059 --> 00:03:55.939 이더넷 유선을 사용하면 신호가 끊기거나 몇 백 미터만 떨어져도 간섭이 생길겁니다. 00:03:55.939 --> 00:04:01.059 인터넷의 경우, 전 세계에서 사용하려면 정말 먼 거리에 비트를 보낼 수 있는 00:04:01.059 --> 00:04:06.139 다른 방법을 사용해야 합니다. 바다를 건너야 되는 거죠. 00:04:06.139 --> 00:04:11.400 그럼 어떤 방법을 사용할 수 있을까요? 전선을 통하는 전기보다 훨씬 더 빠른 것이 00:04:11.400 --> 00:04:17.720 무엇일까요? 빛입니다. 광섬유 케이블을 사용하여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광선처럼 00:04:17.720 --> 00:04:22.550 비트를 보낼 수 있습니다. 광섬유 케이블은 빛을 반사하도록 엔지니어링된 유리 실입니다. 00:04:22.550 --> 00:04:27.090 광선을 케이블로 쏘아 보내면, 빛은 다른 쪽 끝에 닿을 때까지 케이블의 길이만큼 00:04:27.090 --> 00:04:31.240 위아래로 파장을 일으킵니다. 이 파장의 각도에 따라, 다수의 비트를 00:04:31.240 --> 00:04:35.575 동시에 보낼 수 있게 됩니다. 이 모두는 빛의 속도로 이동하죠. 00:04:35.575 --> 00:04:40.897 따라서 광섬유는 정말로 빠릅니다. 하지만, 신호는 오랜 거리를 이동해도 저하되지 않습니다. 00:04:40.897 --> 00:04:44.860 이렇게 신호 손실없이 수 백 마일을 이동할 수 있는 것입니다. 00:04:44.860 --> 00:04:50.720 해저를 가로지르는 광섬유 케이블을 사용하여 한 대륙과 다른 대륙을 연결합니다. 00:04:50.720 --> 00:04:55.659 2008년 이집트의 알렉산드리아 근처에 있는 케이블이 절단되어 중동과 인도 대부분의 00:04:55.659 --> 00:05:00.349 지역에 인터넷이 차단되는 사건이 있었습니다. 우리는 인터넷을 당연한 것으로 여기지만, 00:05:00.349 --> 00:05:05.300 사실 인터넷은 정말로 취약한 시스템입니다. 그리고 광섬유는 획기적이지만 00:05:05.300 --> 00:05:09.470 정말 값이 비싸며 작업하기가 어렵습니다. 대부분의 경우에는, 구리 케이블을 사용합니다. 00:05:11.700 --> 00:05:16.580 그런데 선이 없으면 비트를 어떻게 이동할까요? 무선으로 보낼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일까요? 00:05:16.580 --> 00:05:21.530 무선 비트 전송 기계는 보통 무선 신호를 사용하여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비트를 전송합니다. 00:05:21.530 --> 00:05:28.910 이 기계는 1과 0을 다양한 주파수의 전파로 번역합니다. 00:05:28.910 --> 00:05:33.440 수신하는 기계는 이 프로세스를 거꾸로 하여 전파를 컴퓨터가 이해하는 이진수로 바꿉니다. 00:05:33.440 --> 00:05:38.139 이러한 무선 통신으로 인터넷이 모바일로 됩니다. 하지만 무선 신호가 멀리 이동하면 00:05:38.139 --> 00:05:42.140 완전히 알아 들을 수 없게 됩니다. 시카고에서 로스앤젤레스의 라디오 방송을 00:05:42.140 --> 00:05:48.180 들을 수 없는 거죠. 무선 통신이 위대하긴 하지만, 오늘날 여전히 00:05:48.180 --> 00:05:52.920 유선 인터넷에 의존합니다. 와이파이를 사용하는 커피숍에 있다면, 비트는 무선 라우터로 간 다음 00:05:52.920 --> 00:05:57.860 물리적인 선을 통해 전송되어 인터넷의 정말 먼 거리를 이동합니다. 00:05:57.860 --> 00:06:01.940 비트를 보내는 물리적인 방법이 미래에 바뀔 수도 있습니다. 00:06:01.940 --> 00:06:06.199 위성간의 레이저 송신이나, 풍선 또는 드론에서 쏘는 전파처럼요. 00:06:06.199 --> 00:06:09.359 하지만, 기본적인 정보의 이진수 표현과 그러한 정보를 보내고 받는 프로토콜은 00:06:09.359 --> 00:06:13.710 상당 부분 동일할 것입니다. 단어, 이메일, 이미지, 고양이 동영상, 00:06:13.710 --> 00:06:19.349 강아지 동영상 등 인터넷에 있는 모든 것은 이러한 1과 0으로 분할되어 00:06:19.349 --> 00:06:26.649 전기 펄스, 광선, 전파 등의 수 많은 수단으로 전송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