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비드 브룩, 예술가] [뉴욕 클로즈업] 저는 작은 마을에서 자랐습니다. 인디애나 주 브라질에서요. 저는 1990년대 중반에 뉴욕으로 와서 쿠퍼 유니온에 위치한 학교에 다녔어요. ["데이비드 브룩이 도로 위를 스케이트를 타고 달리다"] 저는 스케이트를 타고 마을 전체를 돌아다녔습니다. 저는 스케이트를 타고 모든 미술관에 갔습니다. 그때마다 제 스케이트보드는 임시보관소에 맡겨뒀어요. 실제로 저는 아주 분명하게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으로가서 뉴기니 지역에 있는 조상들의 토템을 발견했던 일을 아주 분명하게 회상할 수 있습니다. 처음에 그들을 보면 아주 이국적이라는 알게 됩니다. 그렇지만 그 얼굴들 각각은 모두 실제 사람입니다. 그들 뒤에 무엇이 있는지 깨달았을 때 예술이 무엇이었는지에 대한 기존의 고정관념이 무너지는 경험을 했습니다. 예술 작품과 삶이 어떤 관계를 맺는지 예술을 둘러싼 삶과 사회에서 예술이 어떤 기능을 하는지를 그곳에서 배웠습니다. 그런 작품들이 어떻게 미국으로 들어왔는지 그리고 예술과 관련하여 사람들이 어떤 삶을 꾸려 나갔는지를 배웠어요. 예술작품의 이면에 사람들의 삶이 녹아 있으며 진실도 그 안에 들어 있습니다. 그것은 정말로 특별하고 겉으로 드러나는 영역을 훨씬 넘어섭니다. 제가 플스 1을 했을 때 제 땅에 50그루의 나무를 심었습니다. 그렇게 하니 아마존 숲을 가로지르는 땅처럼 보였습니다. 그 뒤에 저는 전체 숲에 콘크리트를 20톤을 부었습니다. [웃음] 그런 일은 행위라고 할 수 있고 이런 일은 끔찍할 수도 있지만 동시에 아름다움이 존재합니다. 시간이 지나면 콘크리트를 뚫고 숲에서 나무가 다시 자랍니다. 이런 생활주기는 1년 반정도 계속되었습니다. 우리는 역사와 예술의 영역에서뿐 아니라 문화의 영역에서도 폭력의 이미지를 줄여왔습니다. 그러므로 프로젝트가 실제로 전달하고자 하는 바는 실재하는 사실들을 찾아내고 속박을 풀어주는 일입니다. 스케이트를 타는 일과 마찬가지로 시행착오를 반복하지 않는 이데올로기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실제세계에는 언제나 시행착오가 수반됩니다. 스케이트는 시작합니다. 저는 꽤 어렸고 처음에는 참 서툴렀습니다. 제 형이 한 지점에서 저를 웃겨주었던 일이 기억이 나네요. "스케이트를 그렇게 오래 타는데 아직도 그러고 있냐?" 13살 즈음에 전환점이 저한테 왔습니다. 그 일을 계기로 저는 대단히 강해졌습니다. 하루에 하나씩 스케이트 기술을 배우기 시작했어요. 저는 집 밖으로 몰래 나가서 새벽 2시에 운전을 해서 시카고나 [웃음] 루이스빌로 갔습니다. 스케이트보드는 도시에서 새로운 경험을 할 수 있게 해주는 수단입니다. 스케이트보드를 타다보면 다른 방식으로 생각을 하게 될 수도 있어요. 밖으로 나가서 세계를 탐험하는데도 유용합니다. [탐험자 클럽] 탐험자 클럽은 탐험에 열정을 가진 다수의 사람들이 모여 1904년에 설립된 사적인 모임입니다. 그들은 함께 모여 살 수 있는 센터를 필요로 했어요, 그곳에서 그들은 어떤 모험을 해야 할지 만나서 의논했습니다. 정보를 나누어주는 장소였습니다. 설립되던 시기에 북극과 남극을 오가며 탐험을 하던 사람들고 있었습니다. 그들은 지구에서 가장 높은 에베레스트 산 정상에 오르려고 했습니다. 궁극적으로 우리는 달에도 갈 수 있습니다. 오늘날 우리는 탐험의 정의에 무엇인지에 대해서 완전히 다른 이해를 가지고 살아갈 수 있게 되었습니다. 그런 것들이